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패모(貝母) Fritillariae Bulbus, etc.

천패모(川貝母) :: Fritillariae Cirrhosae Bulbus

[ Fritillariae Cirrhosae seu Unibracteatae seu Przewalskii seu Delavayii Bulbus ]

평패모(平貝母) :: Fritillariae Ussuriensis Bulbus

절패모(浙貝母)  :: Fritillariae Thunbergii Bulbus

호북패모(湖北貝母) :: Fritillariae Monanthae Bulbus

[ Fritillariae Hupehensis Bulbus ]

이패모(伊貝母) :: Fritillariae Pallidiflorae Bulbus

토패모(土貝母) :: Bolbostemmatis Rhizoma

 


도서출반 우석

주영승(우석대 한의대 본초학교실)교수님의 저서 ‘운곡본초도감‘ 및 ‘운곡본초학‘의 내용을 발췌 및 편집, 개정하여 소개하오니 상세한 내용은 해당 서적을 참고 바랍니다.

또한, 이 글에 사용한 공정서 관련 약어는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Written & Pictured by : Young-Sung Ju. Department of Herbology, Woosuk Univ.
Rewritten by : Guemsan Lee. Department of Herbology, Wonkwang Univ.
Revised by : Jung-Hoon Kim. Division of Pharmacology, Pusan National Univ.
Goya Choi.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blished online : April 19, 2019.


 

[주. Flora of China에 의하면 Fritillaria cirrhosa D.Don의 식물이름은 ‘川貝母’이다. 이는 약재 이름 川貝母와 같아 혼동하기 쉽다. 그러므로 여기에서는 식물을 지칭할 때에는 과거에 많이 사용된 이름인 ‘卷葉貝母’로, 4-6가지 식물이 기원인 약재를 통칭할 때에는 ‘川貝母’로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

 패모(貝母)는 약용부위인 비늘줄기(鱗莖)의 모습이 조개모양(形似聚貝子)과 같다하여 이름 붙은 약재로 대표적인 化痰止咳平喘藥이다. 《神農本草經》에도 기록이 있을만큼 연원이 오래된 약재이나 《本草綱目拾遺》에서야 천패모(川貝母)와 절패모(浙貝母)로 효능과 쓰임새가 구분되어 현재에 이른다.

[주. 과거에 보이차의 집산지였던 여강(麗江)에서 출발한 마방(馬幇)이 사천과 티벳의 고산지대에서 추가 소득을 얻기 위해 천패모를 채취하는 장면이 차마고도(茶馬古道)를 주제로 한 다큐멘터리에 묘사된 적이 있다. 그와 같이 채취된 천패모는 약물보다는 고급 음식의 보조 재료로 더 각광을 받았고, 그 결과 현재 중국에서 유통되는 패모는 일일이 언급할 수 없을 정도로 그 종류가 실로 다양해졌다. 고급 요리 재료로서의 가치가 종국에는 한약재 ‘패모’의 품질 관리를 한층 더 어렵게 만들고 있는 요인이 된다.]

여기에서는 서술의 어려움을 피하여 수많은 패모 중에서 국내 공정서에 수재된 것을 위주로 살펴보고자 한다.

[주. 현재 ‘패모’에 대한 연구는 그 기원식물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공정서 수재품에 국한된 경우가 많다. 최근 (2018년 기준)까지 국내 연구자 및 연구기관에 의해 수집된 패모는 11 종으로 문헌에 묘사된 것(23종)보다 상당히 모자란 형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고야의정서의 발효로 각 나라가 유전자원 반출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어 관련 연구가 탄력 받기 힘들 전망이다. 몇 년 전 한국한의학연구원과 주영승교수님의 협조로 11종의 패모가 전국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에 분양된 바가 있으므로 연구 등에 필요하다면 가까운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또는 한국한의학연구원으로 문의하여 실물을 접할 수 있다.]

 

1. 천패모(川貝母)와 평패모(平貝母), 절패모(浙貝母), 호북패모(湖北貝母), 이패모(伊貝母), 토패모(土貝母)

 

 한약재로서의 패모(貝母)는 크게 절패모(浙貝母)와 천패모(川貝母)로 나뉘며 국내 공정서도 이에 기준하여 수재하고 있다.
천패모(川貝母)는 대체로 ① 권엽패모(卷葉貝母) ② 암자패모(暗紫貝母) ③ 감숙패모(甘肅貝母) ④ 사사패모(棱砂貝母)의 비늘줄기(鱗莖)인데, ChP는 태백패모(太白貝母)와 와포패모(瓦布貝母)까지 모두 인정하고 있다. 기원 식물과는 별개로 모양에 따라 ‘송패(松貝)’ 또는 ‘청패(靑貝)’, ‘노패(爐貝)’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주. 이렇게 구분되어 유통되는 천패모 중 송패와 청패의 대다수는 暗紫貝母나 瓦布貝母인 것으로 추정된다. 瓦布貝母는 暗紫貝母를 기반으로 육종한 실체가 불분명한 종인데 비늘줄기가 작을 때는 천패모로 계란만큼 키워서는 제약 원료로 사용된다고 한다.
현재 시장에서 송패가 가장 좋고 청패, 노패, 재배품의 순서로 품질이 낮은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아, 이 용어가 특산지를 뜻하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는 품질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송패는 사천의 송번(松潘)현의, 청패는 사천성 청천(靑川)현의 특산이라는 점에서 유래한 이름이고, 노패는 청해나 운남, 사천 등에서 생산되어 사천성 타전노(打箭爐 ; 현재의 康定시)에 집산되었음에 유래한 이름이다. 노패는 다시 산출되는 지역에 따라 청해의 옥수(玉樹)나 사천의 감자(甘孜)현과 같이 북쪽에서 나는 것을 북로화(北路貨), 운남의 금사강(金砂江) 중전(中甸) 여강(麗江)과 같이 남쪽에서 나는 것을 남로화(南路貨)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는 서두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마고도의 두 갈래에서 각기 산출된 것에 유래한 이름으로 보인다.]

 이와는 달리 절패모(浙貝母)는 대체로 중국패모의 비늘줄기로 기원이 단순하나, 국내에서는 인정하지 않는 이패모(伊貝母)나 신강패모(新疆貝母), 호북패모(湖北貝母) 등이 혼입되고 있다. 절패모 중 크기가 큰 것은 심아(芯芽)를 제거하고 ‘대패(大貝)’라 하고, 작은 것은 심아를 제거하지 않고 ‘주패(珠貝)’라 하며, 껍질과 심아를 제거하고 절편하여 ‘절패편(浙貝片)’이라 한다.

 앞의 천/절패모와는 별개로 DP와 ChP, HKCMMS는 과거에 검나리 또는 조선패모라 불리던 F. ussuriensis 의 비늘줄기를 ‘평패모(平貝母)’라고 규정하고 있으나 국내 공정서에는 별도의 기술이 없다.

[주. 경제성을 이유로 평패모 생산과 응용이 미미하나 나고야의정서 등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한반도 특산으로 볼 수 있는 이 종을 검증하여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 외에 중국은 자국에서 산출되는 다양한 패모를 ChP에 규정하고 있는데, 심지어는 패모와는 동떨어진 ‘土貝母’와 같은 것도 별도로 규정하였다.

[주. 자국의 유전자원 확보라는 측면에서 이해되는 면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약물 ‘패모’의 유통 혼란을 부추기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본다.]

 절패모(浙貝母)는 한반도 남부와 중국의 華東(浙江 江蘇 安徽 山東), 華中(湖南 江西) 등에 분포하며 浙江省 象山縣이 원산지인 것은 ‘象貝’라 불리고 있다. 천패모(川貝母)는 중국과 네팔의 해발 2,800~5,600 m의 고산지대에 분포하는데, 중국의 西南(四川 雲南 西藏), 西北(甘肅 靑海 陜西 寧夏) 등이 주산지이다. 평패모(平貝)는 한반도의 중북부와 중국의 東北지방이 주산지이다.

 모든 패모(貝母)는 크고 완전하고 質이 단단하며 粉性이 풍부하고, 단면이 白色인 것이 좋다고 하였다.

 

2. 유통 현황

 

1) 천패모(川貝母) Fritillariae Cirrhosae Bulbus [ Fritillariae Cirrhosae seu Unibracteatae seu Przewalskii seu Delavayii Bulbus ]

 나리과(Liliaceae ; 百合科)에 딸린 川貝母(卷葉貝母) Fritillaria cirrhosa D.Don 또는 暗紫貝母 F. unibracteata P.K.Hsiao & K.C.Hsia, 甘肅貝母 F. przewalskii Maxim. ex Batalin, 梭砂貝母 F. delavayi Franch.의 비늘줄기(鱗莖)

⊂ KP 11, ChP 2015

성상에 따라 ‘송패(松貝)’ 또는 ‘청패(靑貝)’, ‘노패(爐貝)’, ‘재배품’으로 구별한다.

[주. ChP는 太白貝母 F. taipaiensis P.Y.Li와 瓦布貝母 F. unibracteata var. wabuensis (S.Y.Tang & S.C.Yueh) Z.D.Liu, Shu Wang & S.C.Chen를 추가로 인정한다. 또한, ‘노패(爐貝)’, ‘재배품’의 구별은 ChP에만 기술되어 있다. KP의 감숙패모의 종소명 ‘prezewalskii‘는  ‘przewalskii‘의 誤記이다. ]

 

2) 평패모(平貝母) Fritillariae Ussuriensis Bulbus

 나리과(Liliaceae ; 百合科)에 딸린 패모(平貝母) Fritillaria ussuriensis Maxim.의 비늘줄기(鱗莖)

⊂ DP VII, ChP 2015, HKCMMS 3

[주. 최근의 DP는 ‘검나리’라는 식물 이름 대신 ‘패모’를 사용한다.]

 

3) 절패모(浙貝母)  Fritillariae Thunbergii Bulbus

 나리과(Liliaceae ; 百合科)에 딸린 중국패모(浙貝母) Fritillaria thunbergii Miq. [= F. verticillata var. thunbergii (Miq.) Baker]의 비늘줄기(鱗莖)

⊂ KP 11, DP VII, ChP 2015, HKCMMS 3, JP 17

[주. 특이하게도 JP는 천패모와 절패모의 구분 없이 ‘패모 = 중국패모의 비늘줄기’로 단일하게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일본에서 약으로 사용했던 패모로서는 거의 유일하게 재배했던 종이고 古方에 치우쳐 발달한 Kampo의 특성상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는 등의 이유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과거에 한반도에서도 재배하였으나 현재는 시장성이 없어 생산이 중단되었다.]

 

4) 호북패모(湖北貝母) Fritillariae Monanthae Bulbus [Fritillariae Hupehensis Bulbus]

 나리과(Liliaceae ; 百合科)에 딸린 天目貝母 Fritillaria monantha Migo [= F. hupehensis P.K.Hsiao & K.C.Hsia]의 비늘줄기(鱗莖)

⊂ ChP 2015

[주. 크기가 작은 것은 천패모로, 큰 것은 절편하여 절패모로 혼입된다.]

 

5) 이패모(伊貝母) Fritillariae Pallidiflorae Bulbus

 나리과(Liliaceae ; 百合科)에 딸린 伊貝母 Fritillaria pallidiflora Schrenk 또는 新疆貝母 F. walujewii Regel의 비늘줄기(鱗莖)

⊂ ChP 2015

[주. 크기가 작은 것은 천패모로, 큰 것은 절패모로 혼입된다.]

 

6) 토패모(土貝母) Bolbostemmatis Rhizoma

 박과(Cucurbitaceae ; 葫蘆科)에 딸린 假貝母 Bolbostemma paniculatum (Maxim.) Franquet의 덩이줄기(塊莖)

⊂ ChP 2015

 

3. 한방 효능

 

본초명 川貝母 平貝母 浙貝母
생약명 Fritillariae Cirrhosae Bulbus Fritillariae Ussuriensis Bulbus Fritillariae Thunbergii Bulbus
성미 微寒 甘苦 無毒 微寒 苦辛 無毒 寒 苦 無毒
귀경 肺 心 肺 心
효능 淸熱潤肺 化痰止咳 散結消腫 淸熱潤肺 化痰止咳 淸熱化痰 降氣止咳 散結消腫
주치 肺虛久咳 虛勞咳嗽 燥熱咳嗽 肺癰 瘰癧 癰腫 乳癰 肺熱燥咳 乾咳小痰 陰虛勞嗽 咯痰帶血 瘰癧 乳癰 風熱/痰熱咳嗽 肺癰吐膿 瘰癧癭瘤 瘡癰腫毒
효능분류 化痰止咳平喘藥 化痰止咳平喘藥 化痰止咳平喘藥
효능소분류 淸化熱痰藥 淸化熱痰藥 淸化熱痰藥

 

① 문헌상 모두 化痰止咳平喘藥 중 淸化熱痰藥의 효능을 지닌다.

② 虛證에는 川貝母가, 虛證의 초기에는 平貝母가, 實證에는 浙貝母가 적당하다.

③ 川貝母와 平貝母는 陰虛/肺燥로 인한 咳嗽 등이 虛證일 경우 潤肺化痰止咳의 목적으로 응용 가능하고,
(川貝母는 平貝母에 비해 상대적으로 심한 虛證에 적용)

④ 浙貝母는 風熱/痰火鬱結로 인한 咳嗽 등이 實證일 경우 淸火散結의 목적으로 응용 가능하다.

 

본초명 湖北貝母 伊貝母 土貝母
생약명 Fritillariae Monanthae Bulbus Fritillariae Pallidiflorae Bulbus Bolbostemmatis Rhizoma
성미 凉 微苦 微寒 苦甘 微寒 苦
귀경 肺 心 肺 心 肺 脾經
효능 淸熱化痰 止咳散結 淸熱潤肺 化痰止咳 解毒散結 消腫
주치 熱痰咳嗽 瘰癧痰核 癰腫瘡毒 肺熱燥咳 乾咳少痰 陰虛勞嗽 咳痰帶血 乳癰 瘰癧 痰核
효능분류 化痰止咳平喘藥 化痰止咳平喘藥 淸熱藥
효능소분류 淸化熱痰藥 淸化熱痰藥 淸熱解毒藥

 

⑤ 伊貝母는 平貝母와, 湖北貝母는 浙貝母와 대체로 효능 및 주치가 유사하여 각각의 대용품으로 고려할 수 있으나, 그와는 무관하게 국내에서는 ‘위품’에 해당하므로 사용할 수 없다.

⑥ 土貝母는 언뜻 유사하게 보이나 淸熱解毒藥에 해당하며, 처방에 응용된 예가 드물어 문헌 검증이 어렵고, 유전적 거리가 상당하여 약물의 효능을 예상할 수 없으므로 패모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4. 형태 특징

 

1) 천패모(川貝母) Fritillariae Cirrhosae Bulbus [ Fritillariae Cirrhosae seu Unibracteatae seu Przewalskii seu Delavayii Bulbus ]

[ 卷葉貝母(좌), 暗紫貝母(중), 棱砂貝母(우) ]

① 卷葉貝母 : 葉狀苞片이 3枚이며, 花被는 黃色∼黃綠色이며 斑點 또는 紫色의 小方格이 있다.

② 暗紫貝母 : 葉狀苞片이 1枚이며, 花被는 深紫色이며 黃色의 小方格이 있다.

③ 甘肅貝母 : 葉狀苞片이 1枚이며, 花被가 淺黃色이고 黑紫色의 斑點이 있다.

④ 棱砂貝母 : 葉狀苞片이 1枚이며, 花被가 淺黃色이고 斑點 또는 紅褐色의 小方格이 있다.

[ 卷葉貝母(좌상), 暗紫貝母(우상), 甘肅貝母(좌하), 棱砂貝母(우하)]

① 卷葉貝母 : 1∼2枚의 鱗葉으로 크기가 비슷하며, 끝부분이 열려있다.

② 暗紫貝母 : 鱗葉의 크기가 다르고, 類白色표면으로 초승달모양이며, 아래부분은 편평하다.

③ 甘肅貝母 : 暗紫貝母와 비슷하나 윗부분이 뾰족하다.

④ 棱砂貝母 : 菱狀의 長圓椎形(馬牙嘴)이며, 표면은 黃褐色으로 갈색반점(虎皮斑)이 있다.

 

2) 평패모(平貝母) Fritillariae Ussuriensis Bulbus

① 식물특징 : 葉狀苞片이 4∼6枚이며, 花被는 紫色으로 黃色의 小方格이 있다.

② 약재특징 : 偏圓形의 주판알모양이고, 외층 鱗葉이 2개이고 통통하며 크기가 비슷하거나 약간 차이가 나며 다른 쪽을 끌어안고 있다.

 

3) 절패모(浙貝母)  Fritillariae Thunbergii Bulbus

[ 大貝(우상), 珠貝(우중), 浙貝片(우하)]

① 식물 특징 : 葉狀苞片이 3∼4枚이며, 花被는 淡黃色이다.

② 약재 특징 : 大貝는 鱗莖 외층의 單瓣鱗葉이 초승달모양(元寶貝)이고, 珠貝는 大貝와 비슷하나 크기가 보다 작으며, 浙貝片의 단면은 粉白色이고 粉性이 풍부하다.

 

5. 감별 요점

 

1) 기원식물 검색표

1. 葉狀苞片이 1枚이다

2. 花被는 深紫色이며 黃色의 小方格이 있다 —– 暗紫貝母 Fritillaria unibracteata

2. 花被는 淺黃色이다

3. 花被에 黑紫色의 斑點이 있다 —————-甘肅貝母 F. przewalskii

3. 花被에 斑點 또는 紅褐色의 小方格이 있다 — 棱砂貝母 F. delavayi

1. 葉狀苞片이 3枚이상이다

4. 葉狀苞片이 3枚이며, 花被는 黃色∼黃綠色이며 斑點 또는 紫色의 小方格이 있다
—————————————————- 卷葉貝母 F. cirrhosa

4. 葉狀苞片이 3∼6枚이다

5. 葉狀苞片이 4∼6枚이며, 花被는 紫色이며 黃色의 小方格이 있다
————————————————– 平貝母 F. ussuriensis

5. 葉狀苞片이 3∼4枚이며, 花被는 淡黃色이며 綠色의 脈이 있다
————————————————– 浙貝母 F. thunbergii

2) 한약재 검색표

1. 外層 鱗葉의 크기가 다르며, 大小鱗葉 크기차이가 3/5이상이다

2. 상대적으로 작고(지름 0.3∼0.9cm) 끝부분은 합해져 있으며, 안쪽 鱗葉은 1∼2개이다
————————————————– 暗紫貝母 Fritillariae Unibracteatae Bulbus

2. 상대적으로 크고(지름 0.4∼1.6cm) 끝부분은 약간 벌어지며, 안쪽 鱗葉은 2∼3개이다
————————————————– 甘肅貝母 Fritillariae Przewalskii Bulbus

1. 外層 鱗葉의 크기가 비슷한 편이다

3.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지름 1.0∼1.5cm) 類白色이다 ——————————-
————————————————— 卷葉貝母 Fritillariae Cirrhosae Bulbus

3.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지름 1.0∼3.5cm)

4. 표면에 褐色斑點이 있으며, 菱狀의 長圓錐形(馬牙嘴)으로 黃褐色이다 ———-
———————————————– 棱砂貝母 Fritillariae Delavayii Bulbus

4. 표면에 褐色斑點이 없다

5. 표면이 白色이며 偏圓形의 주판알모양으로, 안쪽 鱗葉이 크다 —————
—————————————— 平貝母 Fritillariae Ussuriensis Bulbus

5. 표면이 淡黃色으로 偏圓形이고, 鱗葉이 비후되어 있다 ———————–
——————————————- 浙貝母 Fritillariae Thunbergii Bulb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