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종대황(種大黃) Rhei Rhabarbari Rhizoma

종대황(種大黃) Rhei Rhabarbari Rhizoma

[ 포라메디카닷넷은 옛버전의 인터넷익스플로러(IE)와 호환되지 않습니다. Microsoft Edge나 FirefoxChromeOperaSafari 등의 브라우저를 권장합니다. ]

이 글은 포라메디카닷넷의 구 사이트에 올린 내용(위 스크린샷)을 사이트개편과 함께 옮긴 것입니다.

대황(大黃)의 감별에 대한 새로운 글은 여기에 있습니다.


 

종대황(種大黃) :: Rhei Rhabarbari Rhizoma

 

[이명]

種大黃≪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波葉大黃≪中藥志≫ 台黃 土大黃≪東北常用中草藥手冊≫ 北大黃≪吉林中草藥≫ 山大黃≪內蒙古中草藥≫ 苦大黃≪中藥材品種論述≫ 唐大黃≪中國藥用植物志≫

 

[기원]

  마디풀과(蓼科:Polygonaceae)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대황(波葉大黃) Rheum rhabarbarum L.뿌리뿌리줄기로, 늦은 가을에 줄기와 잎이 마를 때 채취하거나 또는 이른 봄에 채취하여 鬚根과 外皮를 제거하고 切片하여 曬乾

대황 (波葉大黃 ; 華北大黃 ; 山大黃) Rheum rhabarbarum L.
Rheum undulatum L.
Rheum undulatum var. longifolium C. Y. Cheng & T. C. Kao
Rheum franzenbachii Münter
Rheum franzenbachii var. mongolium Münter

 

[분류] 瀉下藥 ; 攻下藥

속씨식물군(被子植物 ;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군(眞雙子葉植物 ; Eudicots)

    석죽목 (石竹目 ; Caryophyllales)

      마디풀과 (蓼科 ; Polygonaceae)

        대황속(大黃屬 ; Rheum) [1]

 

[산지]

우리나라의 중북부 고산지대, 중국의 河北 黑龍江 湖北 吉林 內蒙古 山西, 몽고, 러시아의 동부시베리아 등 [2]

 

[약성]

  性味 : 性寒 味苦

  歸經 : 胃 大腸經

  效能 : 瀉熱解毒 涼血行瘀

  主治 : 濕熱黃疸 痢疾 經閉腹痛 吐血 衄血 跌撲瘀痛 癰腫疔瘡 瘀血經閉 口舌糜爛 外用燒燙傷

  用量用法 : 3~10 g

  注意禁忌 : 實熱이 없거나 體虛한 자 및 孕婦는 복용을 禁한다.

 

[특이사항]

  2011년 현재 본초학공동교재의 ‘대황’에는 수재되지 않은 품종[3]이나 ‘국산 대황’으로 광범위하게 유통되고 있는 약재이다. 장군풀 Rheum coreanum과 더불어 토대황계로 분류[4]되는 이 약재는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이하 한규집)에 수재[5]되어 있다. 한규집에서는 ‘종대황의 뿌리줄기’로 규정하였으나, 이 ‘종대황’이라는 이름이 언제 붙었는지는 확실치 않다. KPNI(국가표준식물목록)에 ‘대황’을 정명으로, ‘당대황’을 이명으로 한 것[6]을 보아, 대황(금문대황)과의 구분을 위해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될 따름이다. 학명 또한  Rheum rhabarbarum이 정명[6-8]이므로 있으므로 차후 본초관련서적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로 우리나라와 중국의 동북부의 고산지대(해발 1000-1600 m)에서 자라나, 지금은 순화에 성공하여 고도가 낮은 일반 노지에서도 재배한다. 예로부터 금문대황을 구하기 어려웠던 한반도에서는 이것으로 대용하였다. ≪중화본초≫에서 ‘이 약은 사하력이 비교적 약해서 많은 양을 써야 服滿腹痛을 치료할 수 있다’라고 언급한 것[9]과 같이, 임상응용에 있어 약효(특히, 사하력)가 금문대황에 미치지 못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므로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참고로, 현재(2010년) 대한약전에는 대황의 기준을 “이 약은 정량할 때 환산한 건조물에 대하여 센노사이드 A (C42H38O20 : 862.74)로서 0.25 % 이상을 함유한다.”라고 설정[10]하고 있는데, 이 기준을 적용하면 ‘금문대황(탕구트대황 또는 장엽대황)’과 ‘약용대황’, ‘종대황’간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있다. 더욱이, 이 기준을 적용하면 종대황이 금문대황으로 둔갑할 수 있으므로 약재를 구입할 때에는 감별법을 숙지하여 임상 목적에 맞는 약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대한민국약전 제11판에서 ‘대황’의 성분 규격이 개정되었다. ‘종대황’의 지표성분은 설정되지 않은 상태(2019년) 그대로이다.

 

[형태특징]  2008-2010년. 국내 홍릉수목원 등에서 촬영.

 

원래는 고산지대에서 자라나 지금은 노지에서 재배가 가능하고, 높이가 약 1-2m에 달한다.

중국의 북쪽지역에서 산출되어 ‘화북(華北)대황’이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다.

근생엽의 잎자루는 길고 잎은 두터우며 크기는 너비가 약 50cm에 달한다.
잎몸은 달걀꼴로 잎가가 물결모양을 이루고 있다.
이 잎의 형태때문에 ‘파엽(波葉)’라는 이름이 붙었다.

곧게 선 줄기는 원형으로 세로의 홈이 있으며 마디가 있고 속이 비어있다.

늦여름-초가을에 겹총상꽃차례가 모여 원줄기끝에서 원추꽃차례로 연노란색의 꽃이 달린다.

꽃이 지고 난 뒤에는 수과(瘦果)가 달린다.

꽃은 아주 작고 연두빛이 도는 연한노랑색이며 전체적으로 공모양이다.
꽃받침이 6개이고 수술은 9개이며 암술대는 3개다.
수과(瘦果)는 처음에는 연두빛의 연한노랑색이다가 점차로 붉은 색으로 변하며 시과(翅果)를 형성한다.

대체로 원형이고 종으로 절단된 것도 있다. 횡단면은 채도가 낮은 회갈색-황갈색이다.

형성층은 암갈색이며 간혹 흰색의 무늬가 있기도 하나 ‘금문대황’에 비해선 적은 편이다.

금문(錦紋)은 약하게 있으며, 아주 근접해서 보거나 실체확대경으로 관찰하면 이형유관속(星點)을 확인할 수 있다.

맛은 떫고 종대황 특유의 냄새가 난다.

[글] 감수: 주영승, 김홍준 / 사진: 주영승, 김홍준, 이금산 / 글 & 편집: 이금산


1: Angiosperm Phylogeny Group.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2009 Oct ; 161(2) p.105–121

2: Flora of China Editorial Committee. Flora of China. Beijing: Science Press;2003. 341-350 p. (Vol. 5).

3: Herbology Editorial Committee of Korean Medicine schools. Herbology[Boncho-hak]. 2007 ed. Seuol: Yeonlim-sa; 2007. 283-285 p. Korean.

4: Young-sung Ju. Ungok bonchohak[Ungok herbology]. Soeul: Seolimje ; 2004. 287-292 p. (vol. I). Korean.

5: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KFDA).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The KFDA Notification 2009-53. 2009 : 317 p. Korean.

6: The Korean Plant Names Index [Internet]. Seoul: Korea Forest Service; c2004 [updated 2011 Jan 07; cited 2011 Jan 07]. Available from: http://www.nature.go.kr/kpni

7: 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Internet]. [place unknown]: The Plant Names Project; c2004-2010 [updated 2010 Dec 01; cited 2011 Jan 07]. Available from: http://www.ipni.org
8. Tropicos.org [Internet]. St Louis(MO): Missouri Botanical Garden; c2011 [updated 2011 Jan 07; cited 2011 Jan 07]. Available from: http://www.tropicos.org

9: The Health Department and National Chinese Medicine Management Office. Zhong Hua Ben Cao[Materia medica of China]. China: Shanghai science technology publication; 1999. 704-705 p. (vol. 2). Chinese.

10: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KFDA). Korean Pharmacopeia 9th ed. The KFDA Notification 2007-89. 2007. Korean.

[Latest updated May 24,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