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이인(薏苡仁) Coicis Semen
구 사이트 내용을 여기에 옮겨 놓습니다.
의이인(薏苡仁) Coicis Semen
[이명] 解蠡 起英 贛米 感米 薏珠子 回回米 草珠兒 贛珠 薏米 米仁 薏仁 苡仁 玉秣 六穀米 珠珠米 藥玉米 水玉米 溝子米 裕米 益米
[약성] 薏苡味甘除濕痺 治肺癰痿狗攣類
- 性味 : 凉 甘淡 無毒
- 歸經 : 脾 胃 肺
- 效能 : 健脾渗濕 除痺止瀉
- 主治 : 淸熱排膿 治水腫脚氣 小便不利 濕痺拘攣 脾虛泄瀉 肺癰 腸癰 扁疣
[분류] 利水藥 – 利水退腫藥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群)
외떡잎식물군 (Monocots ; 單子葉植物群)
닭의장풀군(Commelinids ; 鴨跖草群)
벼목 ( Poales ; 禾本)
벼과 (Poaceae ; 禾本科)
기장아과 (Panicoideae)
[기원] 벼과(Poaceae ; 禾本科)에 속한 한해 또는 여러해살이풀인 율무(薏米) Coix lacryma-jobi var. mayuen (Rom.Caill.) Stapf 의 成熟한 씨(種子)을 건조한 것으로, 가을에 果實이 성숙하였을 때 채취하여 건조한 다음 外殼과 外皮를 제거한다.
[산지] 원산지는 열대아시아이며, 우리나라와 중국 등의 동북아 각지에서도 재배한다.
[특이사항] ‘율무(薏米)’ 는 염주(薏苡) Coix lachryma-jobi L.의 여러 변종 중의 하나이다. 이 두가지 종이 약용으로 혼용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효능차이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사진설명] 전북 진안군의 율무 재배지와 한국도로공사수목원의 염주
전북 진안의 율무 재배지
2004년을 전후로 다이어트 식품 및 선식이 유행하면서 가격이 상승하여 농가 재배가 늘었다고 한다.
율무(薏米)
줄기는 곧게 자라고 여러 대로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피침모양(披針形)이고 잎가(엽연)가 거칠며 잎집(엽초)은 반들반들하며 미끄럽다.
율무(薏米)
영과(穎果)가 성숙하여 암갈색을 띤 포과(胞果)의 형태가 된다.
염주(薏苡)
식물형태는 율무와 거의 비슷하여 열매가 맺히지 않았을때는 두 종을 구분하기가 어렵다.
좌 : 율무(薏米)
우: 염주(薏苡)
율무(좌측 사진)는 포과(胞果; utricle)에 줄무늬가 있고 홈이 있으며 그 질이 좀 더 연하고,
염주(우측 사진)는 줄무늬와 홈이 없으며 그 질이 율무에 비해 딱딱하다.
그리고, 형태에 있어 염주는 율무에 비해 전체적으로 구형에 가깝다. 구형이며 딱딱하므로 ‘염주’라 했다.
껍질을 제거한 율무.
감수: 주영승, 김홍준 / 사진: 주영승, 김홍준 / 설명 및 편집: 이금산 /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초학공동교재, 운곡본초학각론, APG III, WIKI, IPNI.ORG, 국가표준식물목록, 중국식물지
[Last updated] 2019.05.31. 학명 명명자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