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우슬(牛膝) Achyranthis seu Cyathulae Radix

우슬(牛膝) Achyranthis seu Cyathulae Radix, etc.

토우슬(土牛膝) :: Achyranthis Japonicae Radix

회우슬(懷牛膝) ::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첨우슬(甛牛膝, 川牛膝) :: Cyathulae Officinalis Radix

마우슬(麻牛膝) :: Cyathulae Capitatae Radix

광동토우슬(廣東土牛膝) :: Eupatorii Radix

 


도서출반 우석

이 글은 주영승(우석대 한의대 본초학교실)교수님의 저서 ‘운곡본초도감‘ 및 ‘운곡본초학‘의 내용을 발췌 및 편집, 개정하여 소개한 것이니 상세한 내용은 해당 서적을 참고 바랍니다.

또한, 이 글에 사용한 공정서 관련 약어는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Written & Pictured by : Young-Sung Ju. Department of Herbology, Woosuk Univ.
Revised by : Guemsan Lee. Department of Herbology, Wonkwang Univ.
Jung-Hoon Kim. Division of Pharmacology, Pusan National Univ.
Goya Choi.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blished online : June 20, 2019.


 

  우슬(牛膝)은 줄기의 마디가 소(牛)의 무릎(膝)과 같이 부풀어 오른 모양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실은 (털)쇠무릎이라는 식물의 줄기마디에 비름혹파리1라는 곤충의 애벌레의 집(충영)이 생겨 부풀어 오른 것인데 옛사람은 이를 튼튼하다고 오인한 듯하다.

  그 유래가 어떠하던 한방에서는 대표적인 活血祛瘀藥으로 사용하며 술에 쪄서 强筋骨의 목적으로도 응용하는 약물이다. 민간에서도 담금주의 재료로도 활용하는 등 그 쓰임새가 다양하여 예로부터 여러 우슬이 유통되었다. 여기에서는 국내외에 유통되는 牛膝을 위주로 유래와 효능 차이, 감별 요점 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1. 토우슬(土牛膝)과 회우슬(懷牛膝), 천우슬(川牛膝), 마우슬(麻牛膝), 광동토우슬(廣東土牛膝)

 

  회우슬(懷牛膝)懷慶(현재의 河南省 武陟과 沁陽懸 일대)의 것이 좋다는 ≪名醫別錄≫의 기록이 내려오며 굳어진 이름으로 보인다. 이 일대에서 생산되는 우슬은 뿌리가 곧게 뻗어 튼실하고 잔뿌리가 적어 약용 가치를 높게 보았던 듯하다. 국내에도 ‘털쇠무릎’이라는 동일한 식물이 있지만 대체로 懷牛膝처럼 뿌리가 실하지는 않다.

  토우슬(土牛膝)은 지역에 따라 Achyranthes속에 딸린 여러 근연종을 牛膝로 사용한 것으로 한반도에서는 ‘쇠무릎의 뿌리’가 대표적이다.

[주. ≪中華本草≫에서 ‘牛膝’의 기원에 털쇠무릎이 있지만 ‘土牛膝’의 기원에도 털쇠무릎을 기재하고 ‘지역마다 다양한 우슬-鈍葉牛膝, 紅褐粗毛牛膝, 柳葉牛膝, 日本牛膝-을 사용한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언급된 우슬 중 柳葉牛膝은 현재의 ‘털쇠무릎(懷牛膝)’을, 日本牛膝은 ‘쇠무릎(土牛膝)’을 지칭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懷牛膝과 土牛膝의 구별은 품질 차이가 주요 기준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천우슬(川牛膝, 甛牛膝)의 정확한 유래는 알기 어렵다. 혹자는 唐代에 처음 약재 이름이 등장한다고는 하지만, 고대에 四川省 일대에서 산출되는 약재에 습관적으로 ‘川’이라는 글자를 붙였으므로 형태 차이에 대한 묘사가 없다면 그 약재가 무엇인지 알 도리가 없기에 현재의 川牛膝과 동일시하기 어렵다. 근대의 張山雷가 ≪本草正義≫2에서 말하길 川牛膝이라는 이름은 古書에는 없고 ≪本經逢原≫에서 언급한 川牛膝이 당시(1920-30년대)에 유통되던 크고 질이 성긴 川牛膝과 같지 않다고 하였다. 즉, ≪本經逢原≫에서의 川牛膝은 지금의 四川産 懷牛膝을 뜻한다고 보았다. 張山雷가 ‘其形甚大而性質空鬆’이라고 묘사한 것은 지금의 川牛膝로 보이는데 肩背手臂의 脈絡을 疏通시키고 骨節을 流利하는 효과가 자못 분명하다하여 懷牛膝의 直下하는 효능과 차이가 있다 하였다.

  마우슬(麻牛膝)川牛膝의 동류로 취급되다가 식물분류학의 개념이 도입된 후로 별도의 약물로 취급된 것으로, 이 약을 씹었을 때 약간 얼얼함이 있다는 점에서 이름이 유래한 듯하다. 현재 중국 시장에서는 川牛膝의 대용품 정도로 간주된다.

  광동토우슬(廣東土牛膝)은 중국의 동남부 지역에서 사용하던 우슬로 지금의 土牛膝과는 완전히 다른 약물이다. 기원식물은 국화과(Asteraceae)에 딸린 ‘벌등골나물’로 佩蘭으로 사용하는 식물의 뿌리를 말한다.

  토우슬(土牛膝)과 회우슬(懷牛膝)은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에 고르게 분포한다. 천우슬(川牛膝)과 마우슬(麻牛膝)은 四川, 貴州, 雲南省의 고산지대에서 생산된다.

 

 

2. 유통 현황

 

1) 토우슬(土牛膝) Achyranthis Japonicae Radix

  비름과(Amaranthaceae;莧科)에 딸린 쇠무릎(少毛牛膝) Achyranthes bidentata var. japonica Miq.3뿌리(根)

⊂ KP 11, DPRKP VII

[주. 그간 소외받았던 국산 ‘쇠무릎’이나 ‘털쇠무릎’의 재배 기술이 나고야의정서 등을 이유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므로 수입산 회우슬과의 품질 차이가 줄어들 전망이다.]

 

2) 회우슬(懷牛膝)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비름과(Amaranthaceae;莧科)에 딸린 털쇠무릎(牛膝) Achyranthes bidentata Blume4뿌리(根)

⊂ KP 11, ChP 2015, THP II, JP17, HKCMMS

[주. 현재 경동시장에서 川牛膝로 유통되는 것은 대부분 懷牛膝이다. 이렇게 유통되는 천우슬은 중국의 ‘사천성에서 산출된 懷牛膝’을 뜻한다. 약재 이름에 ‘川’자를 붙이는 이유는 사천성 특산(도지약재)이라는 의미인데 우슬의 특산지는 예로부터 회경이었다는 점에도 어긋나므로 정확한 이름으로 유통할 필요가 있다. ]

 

3) 첨우슬(甛牛膝) Cyathulae Officinalis Radix

  비름과(Amaranthaceae;莧科)에 딸린 川牛膝 Cyathula officinalis K.C.Kuan뿌리(根)

⊂ ChP 2015, THP II

[주. 현재 국내에서 懷牛膝이 川牛膝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고 있으므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이명인 甛牛膝로 표기하였다. THP에서는 ‘두우슬(杜牛膝)’이라고도 한다. ]

 

4) 마우슬(麻牛膝) Cyathulae Capitatae Radix

비름과(Amaranthaceae;莧科)에 딸린 頭花杯莧 Cyathula capitata Moq.뿌리(根)

⊂ 수재 공정서 없음

 

5) 광동토우슬(廣東土牛膝) Eupatorii Radix

국화과(Asteraceae;菊科)에 딸린 벌등골나물(多須公;華澤蘭) Eupatorium chinense L.뿌리(根)

⊂ ChP 2015(부록)

 

 

3. 한방 효능

 

본초명 土牛膝 懷牛膝 甛牛膝 麻牛膝 廣東土牛膝
생약명 Achyranthis Japonicae Radix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Cyathulae Officinalis Radix Cyathulae Capitatae Radix Eupatorii Radix
성미 寒 甘 微苦 微酸 平 苦酸 平 甘 微苦 平 微苦 凉 味苦 甘 有毒
귀경 肝 腎 肝 腎 肝 腎
효능

活血祛瘀

瀉火解毒

利尿通淋

補肝腎

强筋骨

活血通經

引血下行

利尿通淋

活血祛瘀

祛風利濕

祛風濕

逐瘀血

淸熱利咽

凉血散瘀

解毒消腫

주치 閉經 跌打損傷 風濕關節痛 痢疾 白喉 咽喉腫痛 瘡癰 淋證 水腫 腰膝酸痛 下肢痿軟 血滯經閉 痛經 産後血瘀腹痛 癥瘕 胞衣不下 熱淋 血淋 跌打損傷 癰腫惡瘡 咽喉腫痛 血瘀經閉 難産 胞衣不下 産後瘀血腹痛 熱淋 石淋 痛經 風濕腰膝疼痛 跌打損傷 風寒濕痺 腰膝疼痛 血瘀經閉 産後惡露不盡 咽喉腫痛 白喉 吐血 血淋 赤白下痢 跌打損傷 癰瘡腫毒 毒蛇咬傷 水火燙傷
분류 活血祛瘀藥
祛風濕藥
活血祛瘀藥
祛風濕藥
活血祛瘀藥 活血祛瘀藥 淸熱藥
비고 生用: 活血通經藥
酒蒸: (補肝腎) 强筋骨
生用: 活血通經藥
酒蒸: –
淸熱解毒藥

 

① 현재(2019년) 국내에 규격품으로 유통되는 牛膝은 土牛膝과 懷牛膝이다. 이 둘 중에서 대체로 懷牛膝의 품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② 土牛膝, 懷牛膝, 川牛膝, 麻牛膝은 모두 活血祛瘀(生用)의 효능이 있다.

③ 川牛膝과 麻牛膝에 비해 土牛膝懷牛膝宣導下行의 효능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주. ≪本草正義≫에서 懷牛膝의 작용을 疏通壅滯와 破瘀導滯라 하고 以通爲補 濕熱除則眞陰長이라 한 것과, ≪本草思辨錄≫5에서 下利其陰氣라 하였음을 참고한다.]

土牛膝懷牛膝酒蒸하여 (補肝腎) 强筋骨의 목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

[주. 懷牛膝의 ‘補肝腎 强筋骨’은 酒蒸한 후의 효능으로 보인다. ≪本草正義≫6牛膝을 生用하면 滑利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酒蒸한 것인데 이것이 補肝腎으로 와전되었다고 거듭 강조하였다. 이와 위 ③을 보건대, 六味地黃湯에 酒蒸한 牛膝과 炒炙한 車前子를 가미하여 사용한 이유 중에 熟地黃의 泥滯를 감소시키는 부가효과도 있었다고도 볼 수 있다.]

⑤ 학계에서는 대체로 土牛膝과 懷牛膝에 비해 甛牛膝麻牛膝活血祛瘀力이 낫다고 보고 있다. 다만, 현재 국내 공정서는 이 둘을 인정치 않으므로 규격품으로는 유통될 수 없다.

[주. 문헌상 Achyranthes속 식물이 기원인 여러 본초은 공통적으로 活血化瘀 利尿通淋 淸熱解毒의 효능7을 지니나, Cyathula속 식물이 기원인 본초는 대체로 利尿通淋의 효능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더불어 ≪本草正義≫에서 川牛膝은 肩背手臂의 脈絡을 疏通시키고 骨節을 流利하는 효과가 자못 분명하다 언급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⑥ 廣東土牛膝은 牛膝로 응용할 수 없다.

[주. 上焦의 熱證에 사용했다 할지라도 廣東土牛膝은 淸熱의 효과인 반면, 土/懷牛膝은 引血下行의 효과임을 구분하여야 한다.]

 

 

4. 형태 특징

 

1) 토우슬(土牛膝) Achyranthis Japonicae Radix

 

토우슬(土牛膝) Achyranthis Japonicae Radix 토우슬(土牛膝) Achyranthis Japonicae Radix

① 전형 : 主根은 짧으며 細根이 많다. 표피는 灰黃色-淡黃色이다.

② 단면 : 지름이 약 0.3-0.5 cm이며 횡절면은 角質이다.

 

2) 회우슬(懷牛膝)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회우슬(懷牛膝) Achyranthis Bidentatade Radix 회우슬(懷牛膝) Achyranthis Bidentatade Radix

① 전형 : 圓柱形의 主根이 대부분이다. 표피는 淡黃色이다.

② 단면 : 지름이 약 0.4-1 cm이며 횡절면은 角質로서 油潤하다. 유관속은 2∼4輪의 同心環을 이룬다.

 

 

3) 첨우슬(甛牛膝)과 마우슬(麻牛膝) Cyathulae Officinalis seu Capitatae Radix

 

천우슬(川牛膝)과 마우슬(麻牛膝) Cyathulae Officinalis seu Capitatae Radix

[사진. 甛牛膝의 기원식물(좌), 甛牛膝(우상), 麻牛膝(우하)]

① 전형 : 세로로 꽈배기 모양의 주름이 있으며 圓柱形이다. 표피는 회갈색이다.

② 단면 : 지름이 1 cm이상인 경우가 많다. 川牛膝의 유관속은 4∼11輪의 同心環을 이룬다. 川牛膝의 단면은 淡黃色이고, 麻牛膝의 단면은 紅褐色이다.

③ 甛牛膝은 맛이 달고 끝맛이 약간 쓰며, 麻牛膝은 맛이 맵고 혀를 약간 마비시킨다.

 

 

5. 감별 요점

 

  1) 기원식물 검색표

1.뿌리가 가늘다

2.細根이 많으며 가늘고 根皮는 茶褐色이고, 穗狀花序는 비교적 길고 털이 적다

—————————————————— 쇠무릎 Achyranthes bidentata var. japonica

2.뿌리가 圓柱形으로 굵은 편이고 根皮는 土黃色이며, 穗狀花序가 비교적 짧고 털이 많다

—————————————————— 털쇠무릎 Achyranthes bidentata

1.뿌리가 굵다

3.잎의 양면에 길고 거친 털이 많으며, 花球團은 마르면 白色이고, 退化雄蕊의 길이가 짧다

—————————————————— 川牛膝 Cyathula officinalis

3.잎의 양면에 길고 부드러운 털이 가끔 있으며, 花球團木은 마르면 褐紫色이고, 退化雄蕊의 길이가 길다

—————————————————— 頭花杯莧  Cyathula capitata

 

  2) 한약재 검색표

1. 뿌리가 상대적으로 가늘다(지름 1cm미만)

2. 지름 0.3∼0.5cm로서 細根이 많으며, 표피는 灰黃色∼淡黃色이며 단면이 角質이다

—————————- 土牛膝 Achyranthis Japonicae Radix

2. 지름 0.4∼1cm로서 圓柱形의 主根이 대부분이고, 표피는 淡黃色이며 단면이 角質로서 油潤하다

—————————- 懷牛膝 Achyranthis Bidentatae Radix

1. 뿌리가 상대적으로 굵다(지름 1cm이상)

3. 단면이 淡黃色이고, 맛은 달고 끝맛이 약간 쓰다

—————————- 甛牛膝 Cyathulae Officinalis Radix

3. 단면이 紅褐色이고, 맛은 맵고 혀가 얼얼하다

—————————- 麻牛膝 Cyathulae Capitatae Radix

 




각주

  1. Lasioptera achyranthii Shinji, 1939. ‘쇠무릎혹파리’로 알려져 있으나 국가생물종목록(v3 : 430p)에 따르면 ‘비름혹파리’가 표준명이다. https://www.kbr.go.kr/home/rsc/rsc01002v.do?data_gbn_cd=BIO&ktsn_no=120000021377&menuKey=448
  2. 川牛膝之名不見於古書 惟張石頑 ≪本經逢原≫ 謂懷產者長而無旁須,水道澀滯者宜之, 川產者細而微黑 精氣不固者宜之. 又謂川產氣味形質與續斷彷彿 用之無精滑之虞. 是牛膝之川產者 不專以滑泄見功 而宣通關節之力則一 頗為有利無弊 肝腎陰虛而機關不利者宜之. 但今時肆中之所謂川膝 則其形甚大而性質空鬆 又與石頑之說不類. 然用之於肩背手臂 疏通脈絡 流利骨節 其效頗著. 蓋其質空疏 則其力能旁行上達 以視懷膝之堅實直下者 功用自有區別. 而世俗恆以川牛膝 懷牛膝視如一類二種 隨筆寫來 含渾用之 不知分辨 誤矣.
  3. = 日本牛膝 =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4. = 柳葉牛膝 = Achyranthes fauriei H.Lév. & Vaniot = Achyranthes longifolia (Makino) Makino
  5. 黃耆與牛膝 皆根長二三尺 別錄皆言利陰氣. 惟牛膝一莖直下而味苦酸平 黃耆一莖直上而味甘微溫. 故牛膝利陰氣 是下利其陰氣. 黃耆利陰氣 是從陰中曳陽而上而陰以利. 牛膝有降無升 黃耆有升無降 皆屢驗不爽.
  6. 壽頤按 李瀕湖修治法 謂欲其下行則生用 滋補則酒拌蒸過用 蓋即畏其滑泄 而借酒之上行以監製之. 然此物本非補益之品 亦何必多此一番矯揉造作. 考李氏《綱目》又謂 牛膝得酒則補肝腎 且謂其治腰膝骨痛 足痿陰消 失溺久瘧 傷中少氣諸病 皆補肝腎之功 是瀕湖亦誤以為補劑. 此手頭極熟之藥 最易誤用 不可不正. 《外臺》以牛膝治瘧 本文明謂治勞瘧積久不止 蓋瘧病既久 必有痰濕互結 如瘧母之類 非得消堅破積之品不可 而一味牛膝能治之 則其消導之力甚猛 正與破癥墮胎 通血結諸條同其功用 何瀕湖反謂其補肝腎 亦不思之甚矣.
  7. ≪中華本草≫ 土牛膝 : 活血祛瘀 瀉火解毒 利尿通淋. 懷牛膝(杜牛膝 ; 柳葉牛膝) A. bidentata Blume , 日本牛膝 A. bidentata var. japonica Miq. , 钝叶土牛膝(鈍葉牛膝) A. aspera var. indica L. , 禾叶土牛膝(紅褐粗毛牛膝 ; 雲牛膝) A. aspera var. rubrofusca (Wight) Hook.f. / 倒扣草 : 活血化瘀 利尿通淋 淸熱解毒. A. aspera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