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온울금(溫鬱金) Curcuma aromatica

울금(鬱金), 강황(薑黃), 아출(莪朮) Curcumae Radix seu Rhizoma

울금(鬱金) :: Curcumae Radix

온울금(溫鬱金=黑鬱金)=백사울금(白絲鬱金) :: Curcumae Aromaticae Radix

황사울금(黃絲鬱金) :: Curcumae Longae Radix

녹사울금(綠絲鬱金) :: Curcumae Phaeocaulis Radix

계울금(桂鬱金) :: Curcumae Kwangsiensis Radix

강황(薑黃) :: Curcumae Longae Rhizoma

아출(莪朮) :: Curcumae Rhizoma

 


도서출반 우석

이 글은 한약정보연구회지 7권 2호에 발표(2019년 8월 16일)한 논문(울금 및 강황, 아출의 본초학적 고찰)을 웹페이지에 맞게 재편집한 것입니다. 원 논문의 내용은 해당 링크를 참고 바랍니다. 해당 한약재에 대한 추가 설명 및 사진 등이 필요하다면 운곡본초도감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이 글에 사용한 공정서 관련 약어는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Jung-Hoon Kim. Division of Pharmacology, Pusan National Univ.
Guemsan Lee
. Department of Herbology, Wonkwang Univ.

Eui-Jeong Doh. Research Center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Wonkwang Univ.
Goya Choi.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blished online : Agust 22, 2019.


 

  한의학에서는 식물의 특정 부위에 따라 별도의 본초로 분류하거나, 같은 속(屬)에 딸린 식물일지라도 종(種)에 따라 다른 효능 분류로 취급하는 경우가 있다. ‘뽕나무’의 잎은 상엽(桑葉), 가지는 상지(桑枝), 나무껍질과 뿌리껍질은 상백피(桑白皮), 열매는 상심자(桑椹子) 등으로 구분하며, Gentiana속에 딸린 식물의 뿌리라도 용담(龍膽)과 진교(秦艽)로 달리 분류하는 것 등이 그 예이다.

  강황(薑黃), 울금(鬱金), 아출(莪朮)은 위에서 언급한 두 가지 예에 모두 해당하고, 더욱이 산지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는 등 최근까지도 약재 유통 및 사용에 상당한 혼란을 야기하고 있는 약재이다. 심지어 국내 생산량이 증가함과 더불어 건강기능식품 등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각기 다른 약용부위가 혼입되거나, 강황을 울금으로 판매하는 등의 혼란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혼란이 한약재 유통시장에까지 전이되어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이 세 약물을 고찰하고 사용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울금(鬱金), 강황(薑黃), 아출(莪朮), 편강황(片薑黃), 온울금(溫鬱金), 황사울금(黃絲鬱金), 백사울금(白絲鬱金), 계울금(桂鬱金), 녹사울금(綠絲鬱金)

 

  이 세 약물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약용부위인 땅속줄기(根莖)와 덩이뿌리(塊根)에 대해 말할 필요가 있다. 땅속줄기(根莖)는 다른 뿌리와는 달리 줄기처럼 마디를 지니고 있으며, 그 마디에서 막뿌리(不定根)를 내어 새로운 줄기를 형성하여 지상으로 나와 잎이 나기도 하면서도 일반적인 뿌리처럼 영양을 저장하는 역할1도 한다. 덩이뿌리(塊根)는 영양물을 저장하는데 특화되도록 굵어진 뿌리2이다.

Curcumae Rhizoma Radix

 

  강황(薑黃), 울금(鬱金), 아출(莪朮)로 사용되는 약용부위는 Curcuma속에 딸린 각 기원식물의 지하부인 덩이뿌리(塊根) 또는 땅속줄기(根莖)로서 해당 부위의 발달정도 및 효능상 차이에 따라 울금(鬱金)은 덩이뿌리(塊根)를 약용하고, 강황(薑黃)과 아출(莪朮)은 땅속줄기(根莖)를 약용한다.3 그러나 현지답사로 확인한 바에 따르면 생육환경이나 생육지역, 기후에 따라 해당 Curcuma속에 딸린 식물에서 덩이뿌리(塊根)와 땅속줄기(根莖)가 모두 충실하게 생장 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땅속줄기(根莖)가 덩이뿌리(塊根)에 비해 충실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덩이뿌리(塊根)가 땅속줄기(根莖)보다 충실할 수도 있다.

  이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예로는 Curcuma속 식물의 덩이뿌리가 잘 발달하였던 중국의 절강성(浙江省) 온주(溫州) 지방이 예로부터 울금의 산지로 이름이 높아 온울금(溫鬱金)이라는 별도의 이름이 붙은 것을 들 수 있다. 심지어 온울금으로 불리는 식물을 중국의 중부 지방으로 옮겨 심으면 덩이뿌리(塊根)보다는 땅속줄기(根莖)가 더 발달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덩이뿌리(塊根)가 생기지 않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예로부터 덩이뿌리(塊根)가 잘 발달되었던 廣東과 廣西, 四川 같은 지역이 울금(鬱金)의 주산지가 되어 현재까지 이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강황(薑黃), 울금(鬱金), 아출(莪朮)의 기원 식물형태 및 약재 성상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도 상당한 이견이 있다.

 7세기경의 ≪新修本草≫4에는 울금(鬱金)과 강황(薑黃)에 대한 내용만 기록되어 있고, 아출(莪朮)에 대한 내용은 없는데, ‘울금(鬱金)의 꽃은 흰색이면서 약간 붉고 뿌리는 노랗고 붉은데 자근(子根)을 취하여 불에 쪼여 말린 것’이라 하였고, 강황(薑黃)은 울금(鬱金)과 비슷한데 뿌리가 노랗고 푸르고 흰 색이다’고 하였다.

  그러나 12세기의 ≪本草圖經≫5 에서 蘇頌은 ‘울금(鬱金) 강황(薑黃) 아출(莪朮)의 세 약물이 서로 가까우며 ≪新修本草≫에서 蘇恭이 상세히 알지 못하여 하나처럼 취급하였다’고 하면서 ‘아출(莪朮)은 味苦하고 색이 푸르며 강황(薑黃)은 味辛溫하고 색이 노랗고 울금(鬱金)은 味苦寒하며 색이 붉다’고 한 陳藏器의 말을 인용하여 설명하였다. 다만, ≪新修本草≫에서는 자근(子根)을 취하였다고 하였는데 ≪本草圖經≫은 ‘자근(子根)을 버리고 껍질을 벗겨 불에 쪼여 말린다’고 하여 후대에 이를 인용한 본초서적에 약용부위에 대한 혼란을 야기하였다. 또한, 아출(莪朮)에 대해서는 ‘꽃은 노란데 끝은 붉고 … 뿌리는 생강과 닮았고 뿌리 아래에 크기가 다양한 계란 또는 오리알과 같은 것이 달렸다’고 설명하며 ‘전에는 쓰지 않았으나 그 시대에 의가들이 적취(積聚)에 많이 쓴다’는 기술이 추가되기도 하였다.

  앞의 두 서적의 기술은 후대의 본초서적에 그대로 인용되었으며 이는 ≪本草綱目≫ 이 출간되기 전까지 이어졌다. 16세기의 ≪本草綱目≫6에서 李時珍은 앞의 두 서적을 인용한 뒤에 ‘근래에 건강처럼 납작한 것은 편자강황(片子薑黃)이라하고, 매미의 복부(蟬腹)처럼 둥근 것은 선두울금(蟬肚鬱金)이라하며 염색용으로도 사용하며, 아출은 울금과 비슷하나 노랗지 않다’고 자신의 의견을 덧붙였다. 이를 볼 때 이 시대의 강황은 대체로 땅속줄기를 뜻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울금의 경우에는 온울금(溫鬱金)이 주를 이루는 현재와는 달리 황사울금(黃絲鬱金)이 주를 이루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러면서 ‘비슷하게 생겼으나 울금은 入心治血하고, 강황은 兼入脾 兼治氣하며, 아출은 入肝兼治氣中之血한다’고 하여 효능 차이를 언급하였다.

  淸代 초중반의 본초서 ≪本經逢原≫ 7, ≪本草從新≫8, ≪本草求眞≫9 등은 대체적으로 ≪本草綱目≫의 설명을 준용하여 부가 정보를 기재하였으며, ≪本草求眞≫의 경우에는 ≪本草綱目≫과 ≪本草逢原≫의 기원 설명을 모두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시기에는 앞의 시대에 비해 세 약물의 종류가 다양해지기도 하였다.

 이 중 이 세 약물의 당시 현황을 비교적 잘 묘사한 것은 ≪本經逢原≫이다. ≪本經逢原≫에서 ‘강황은 촉천(蜀川, 지금의 사천성 일대)에서 산출되는 노랗고 질이 여리고 잔뿌리가 있으며 절단면에는 가운데가 눈이 있으며 잘라서 두 조각으로 나누어 편자강황(片子薑黃)이라 한다. 광(廣, 지금의 광동성과 강소성 일대)에서 나며 질이 거칠고 모양은 납작하여 건강(乾薑)과 비슷한데 겨우 염색용으로나 사용하지 약으로 쓰지 않는다.’고 하였다. 대체로 Curcuma속 식물의 땅속줄기나 덩이뿌리는 구멍이라고 볼만한 것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中空有眼’을 ’속의 구멍에 눈이 있다‘고 보는 것보다는 피층과 중심주가 구분되는 내피의 모양을 표현한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동(同) 책에서 ‘울금은 촉(蜀)에서 나는 것은 매미의 복부처럼 몸체가 둥글고 끝이 뾰족하고 싹이 트는 작은 구멍이 있고, 껍질은 검은 빛을 띠는 노란색이며 오동나무씨처럼 거친 주름이 있으며, 매양 낱개의 무게는 약 반 돈이다. 쪼개면 질이 견실하고 자흑색을 띠는 노란색이이며 향기는 심하지 않으면서 약간 나는 것이 진품이다. 만약 크기가 다양하고 노란색이면서 겉에 가느다란 가로무늬가 있으며 가느다란 잔뿌리가 있으며, 꺾은 면의 가운데의 질이 부드럽고 안팎이 모두 노란색이고, 향기가 강한 것은 편자강황(片子薑黃)이다. 몸체가 둥근 것이 양끝이 같고 가로무늬가 있으며, 싹이 나는 작은 구멍이 없고, 강렬한 향기가 나는 것은 염색용으로 사용하는 강황 중 작은 것이다. 아출은 큰 덩어리로 청흑색이다. 가장 큰 것은 廣朮인데 같은 종류는 아니다.’고 하였다. 세 약물 모두 감자의 눈과 같은 부분은 없으므로 여기서 ‘싹이 트는 작은 구멍’은 땅속줄기(根莖)와 덩이줄기(塊根)을 이어주던 실뿌리가 붙어있던 흔적이라고 봐야 한다. 이와같이 이 시대의 강황(薑黃)과 편자강황(片子薑黃)은 땅속줄기(根莖)를, 울금(鬱金)은 덩이뿌리(塊根)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本經逢原≫의 설명은 대체로 淸代 말기까지 유사하다. 張山雷는 ≪本草正義≫10에서 울금에 대한 보충 설명을 하였는데, ‘천(川)과 광(廣)에 산출되는 것이 비슷한데 전자는 단면이 진한 황갈색이면서 안쪽은 자색을 띠나, 후자는 단면이 담황색인데 안쪽이 더 진하나 자색을 띠지는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당시 ‘광(廣)에서 나는 것을 많이 썼는데 질이 견실하고 광택이 있으며 깔끔하고 무게가 무겁고 색이 흐리며 향기가 없는데 (이는) 천(川)과 광(廣) 모두 마찬가지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현재의 황사울금(黃絲鬱金)과 백사울금(白絲鬱金)이라고도 불리는 온울금(溫鬱金), 녹사울금(綠絲鬱金) 등의 다양한 울금이 당시에도 유통되었음을 엿볼 수 있다.

  한편, 16세기까지의 기술은 대동소이하나 淸代 초기에 다양한 종류가 등장한 이유에 대해서 ≪增訂僞藥條辨≫11에서는 ‘청대 초기에 삼번의 난이 일어나 사천으로 오가는 길목이 막혀 그 가격이 수배로 뛴 탓에 강황 등의 위품이 늘어났다’고 설명하고 있다. 과거 주산지와는 별개로 현지의 각 재배지에서 이 세 약물이 모두 산출되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이유뿐만 아니라 재배기술의 발달도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할 수 있다.

  결국 문헌상으로는 본초가 초기에 확립되던 시기의 7세기경에는 덩이뿌리는 울금으로, 줄기뿌리는 강황으로 정의하였다가 그 뒤 약용부위에 대한 혼란이 더해진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明代 중반 이후에 어느 정도 정리되었다가, 淸代 초기의 ‘삼번의 난’을 거치며 수급 문제로 그간 발전시킨 재배기술을 통해 다양한 울금(鬱金)과 강황(薑黃), 아출(莪朮)이 유통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한편, 유통품의 혼란은 울금에서 극심한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예로부터 울금의 가격이 약간 더 높았다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추정한다.

  이러한 역사적인 혼란이 현재에도 반영되어 동북아시아의 공정서 대부분은 Curcuma속에 딸린 4종 식물의 덩이뿌리(塊根)를 모두 울금(鬱金)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유통시장에서는 크게 4-5가지의 울금(鬱金)이 유통되고 있다. 온울금(溫鬱金=白絲鬱金=黑鬱金), 황사울금(黃絲鬱金), 계울금(桂鬱金), 녹사울금(綠絲鬱金)이 바로 그것이다(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유통상황을 참조). 고문헌대로 라면 황사울금(黃絲鬱金)의 품질과 가격이 제일 높아야 하나 위품이 너무 많고 생산량이 적기에, 현실에서는 감별이 용이하고 생산량이 어느 정도 되는 온울금(溫鬱金=白絲鬱金)이 가장 품질이 좋은 것으로 취급된다.

  강황(薑黃)은 크게 강황(薑黃)과 편강황(片薑黃)이 유통되는데 후자는 국내에서 인정치 않는 약물이다. 강황(薑黃)은 ‘생강처럼 생겼는데 노랗다’는 의미이므로 이에 적당한 1 종만을 인정하고 있다. 참고로 현재 ‘국산 울금’이라고 유통되는 것의 대부분은 ‘강황(薑黃)’이다. 이 식물들을 국내에서 재배하는 경우 울금으로 사용할 덩이뿌리(塊根)가 발달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고 색깔도 노란색을 띠기 때문이다.

  아출(莪朮)은 대게 울금(鬱金)의 기원식물의 땅속줄기에서 강황(薑黃)으로 적당하지 않은 형상과 색깔, 질감을 가진 것이 유통된다. 덩이뿌리(塊根)는 울금(鬱金)으로 판매하여 더 높은 가격을 받기 때문에 품질이 아주 낮지 않는 이상 아출(莪朮)로 유통되는 경우가 드물다. 공정서에는 노란색이 강한 C. longa가 빠져 있지만, 간혹 이 식물도 환경에 따라 땅속줄기의 단면 색이 바뀌는 경우가 더러 있기에 실제로는 간간이 아출(莪朮)로 유통되기도 한다.

  ① 薑黃은 중국의 華中(江西 湖北), 華東(浙江), 華南(福建 廣東 廣西 臺灣), 西北(陜西), 西南(四川 云南 貴州 西藏)에서 주로 재배되며, ② 鬱金은 중국의 華東(浙江)이 대표산지로서 중국 및 동남아의 열대지방에 분포하고, ③ 莪朮은 중국의 華南(廣西 廣東 福建 臺灣), 西南(四川 云南) 기타 열대지방에서 생산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실제 재배 및 자생지역을 확인해 보면, 아열대 혹은 열대지방인 동남아시아 및 중국의 남방지역이 주된 산지임을 알 수 있다. 가을과 겨울에 莖葉이 마를 때 채취하여 세정한 다음 삶거나 쪄서 晒乾하고 있다.

 

 

2. 유통현황

 

1) 울금(鬱金) Curcumae Radix

  생강과(Zingiberaceae ; 薑科)에 딸린 溫鬱金 Curcuma aromatica Salisb.12 또는 薑黃 Curcuma longa L., 廣西莪朮 Curcuma kwangsiensis S.G.Lee & C.F.Liang, 莪朮 Curcuma phaeocaulis Valeton13덩이뿌리(塊根)

온울금(溫鬱金=黑鬱金)=백사울금(白絲鬱金) : 溫鬱金 Curcuma aromatica Salisb.의 덩이뿌리(塊根)

황사울금(黃絲鬱金) : 薑黃 Curcuma longa L.의 덩이뿌리(塊根)

녹사울금(綠絲鬱金) : 莪朮 Curcuma phaeocaulis Valeton의 덩이뿌리(塊根)

계울금(桂鬱金) : 廣西莪朮 Curcuma kwangsiensis S.G.Lee & C.F.Liang의 덩이뿌리(塊根)

⊂ KP 11, ChP 2015, THP II, DPRKP VII

[편집자 주. DP는 溫鬱金과 薑黃의 덩이뿌리만을 인정한다. 綠絲鬱金을 Curcuma aeruginosa Roxb.의 덩이뿌리(塊根)라고 지칭하는 문헌도 있으나 이 식물은 Flora of China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식물이다. 또한 일부 문헌에서 川鬱金 Curcuma sichuanensis X.X.Chen이라는 식물을 언급하기도 하나 실제 재배 및 유통 상황은 파악된 바가 없다. 또한, 廣西莪朮 C. kwangsiensis은 공정서뿐만 아니라 현대의 여러 중국의 본초 서적에도 언급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그 식물의 실체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정확히 밝혀진 바가 없다.]

 

2) 강황(薑黃) Curcumae Longae Rhizoma

생강과(Zingiberaceae ; 薑科)에 딸린 薑黃 Curcuma longa L.땅속줄기(根莖)

⊂ KP 11, ChP 2015, THP II, DPRKP VII, JP 17

[편집자 주. DP는 溫鬱金과 薑黃의 덩이뿌리만을 인정한다. JP는 국내에서 薑黃으로 사용하는 C. longa의 땅속줄기(根莖)를 鬱金이라고 규정하여 薑黃과 鬱金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약재로 취급한다. 즉, JP에서는 국내에서 규정하는 鬱金의 기원식물과 약용부위가 기재되어 있지 않다. ChP에 수재된 ‘片薑黃’은 溫鬱金 Curcuma aromatica Salisb.의 땅속줄기(根莖)를 말하는데 KP는 莪朮의 일종으로 취급한다.]

 

3) 아출(莪朮)

생강과(Zingiberaceae ; 薑科)에 딸린 莪朮 Curcuma phaeocaulis Valeton 또는 廣西莪朮 Curcuma kwangsiensis S.G.Lee & C.F.Liang, 溫鬱金 Curcuma aromatica Salisb.땅속줄기(根莖)

⊂ KP 11, ChP 2015, THP II, DPRKP VII, HKCMMS

[편집자 주. ‘溫莪朮’은 Curcuma aromatica Salisb.의 땅속줄기를 말하는 것으로, 덩이뿌리인 한약재 ‘온울금(溫鬱金=白絲鬱金)’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다. ChP는 이를 ‘片薑黃‘이라는 별도의 약물로 구분하고 있다. DPRKP는 Curcuma phaeocaulis Valeton만을 인정한다. 이 외에 JP는 Curcuma zedoaria (Christm.) Roscoe를 莪朮의 단독 기원식물로 설정하고 있으나 이 식물은 C. phaeocaulis과는 별개의 종으로 취급된다. C. phaeocaulis는 중국의 운남성과 베트남이 원산지이며, C. zedoaria는 인도와 인도네시아가 원산지이다.]

 

 

3. 한방효능

 

본초명 鬱金 薑黃 莪朮
생약명 Curcumae Radix Curcumae Longae Rhizoma Curcumae Rhizoma
성미 凉 (惑寒 惑平) 辛苦 溫 苦辛 溫 辛苦
귀경 心 肝 膽 肝 脾 肝 脾
효능 活血止痛 行氣解鬱 淸心凉血 疏肝利膽 破血行氣 通經止痛 行氣破血 消積止痛
주치 胸腹脇肋諸痛 婦女痛經 經閉 癥瘕結塊 熱病神昏 癲狂 驚癎 吐血 衄血 血淋 沙淋 黃疸 血瘀氣滯諸症 胸腹脇痛 婦女痛經 經閉 産後瘀滯腹痛 風濕(肩臂)痺痛 跌打損傷 癰腫 血氣心痛 飮食積滯 脘腹脹痛 血滯經閉 痛經 癥瘕痞塊 跌打損傷
효능분류 活血祛瘀藥 活血祛瘀藥 活血祛瘀藥
소분류 活血行氣藥 活血行氣藥 活血行氣藥
비고 入心專治血分之病 入脾兼治血中之氣藥 入肝治氣中之血滯

 

 

鬱金行氣解鬱이 장점으로 주로 胸部와 上腹部의 氣滯血瘀를 宣通解散하는데 응용하였다.

[편집자 주. 古代에는 鬱金의 性이 寒하다고 하였으나 淸代 중반 이후에는 平 또는 溫하다고 하면서 寒凉하다고 한 것은 오류라고 한 醫家도 여럿이었다. 그러므로 ‘性寒’과 ‘性凉’은 薑黃과 莪朮에 비해 상대적으로 性이 凉/寒하다고 보는 것이 좋겠다. 鬱金의 효능에 대해서는 ≪臨證指南醫案≫의 각주에 邵新甫는 ‘失血一症 若嗔怒而動及肝陽 血隨氣逆者 用繆氏氣爲血帥法 如蘇子鬱金桑葉丹皮降香川貝之類也’라 하였고 鄒滋九는 ‘今觀先生立方 淸解之中 必佐芳香宣竅逐穢 如犀角菖蒲銀花鬱金等類’이라 하였음을 참고한다. 또한, ≪本草正義≫에서 解鬱과 開泄沈降, 開鬱(宣通解散) 등을 鬱金의 핵심작용으로 제시한 것도 참고한다.]

薑黃通經止痛이 장점으로 주로 血瘀氣滯로 인한 風濕痺痛에 응용하였다.

[편집자 주. ≪臨證指南醫案≫에서 薑黃은 鬱金에 비해 그 사용 횟수가 떨어지면서도 유독 ‘痺’와 각종 疼痛(心痛, 脇痛, 肩背痛, 諸痛 등)에 치우쳐 사용된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肩臂痛에 사용할 경우엔 桑枝 桂枝 海桐皮 防己 등과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莪朮消積止痛이 장점으로 胸部 뿐만 아니라 腹部의 瘀滯로 인한 痛症을 破氣하는데 응용하였다. 瘀滯로 인한 積, 瘕, 腫에 응용할 때에는 活血祛瘀力을 높이기 위해 三稜과 함께 배합한다.

薑黃밝은 노란색을 띠는 것이 좋으며, 莪朮단단하면서 암갈색-흑색인 것이 좋다. 鬱金은 고르게 연갈색~회갈색을 띠는 온울금(溫鬱金=白絲鬱金)이 가장 나은 선택이다.

[편집자 주. 고문헌에 기술된 형태에 가장 적합한 것은 황사울금(黃絲鬱金)이나 그 생산량이 적고 위품과 혼품이 많아 대체로 품질이 좋질 않다. 유통가격 또한 온울금(溫鬱金)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4. 형태 특징

 

1) 울금(鬱金) Curcumae Radix

울금 Curcumae Radix

① 花序는 根莖에서 나오고 白色이며 잎 뒷면에 부드러운 絨毛가 있다.

② 花序 끝의 苞葉은 赤紫色이며 花序 중간에 개화된 花冠의 脣形花瓣은 白色이다.

③ 塊根으로 長紡錘形이며 내피를 기점으로 잘 분리된다.

④ 단면이 軟褐色~灰褐色으로 피부와 중심주의 색이 고른 편이며 내피는 비교적 白色이다.

⑤ 溫鬱金(白絲鬱金)의 경우 향기가 없으나 黃絲鬱金은 강황과 유사한 향기가 미약하게나마 난다.

⑥ 한편, 黃絲鬱金은 단면의 색이 朱黃色~赤褐色이며 내피 주위가 淡黃色~朱黃色을 띤다

 

2) 강황(薑黃) Curcumae Longae Rhizoma

강황 Curcumae Longae Rhizoma

① 花序는 假莖에 달리며 잎 양면은 絨毛가 없다.

② 花序 끝의 苞葉은 흰색이며 花序 중간에 개화된 花冠의 脣形花瓣의 끝은 淡黃色이다.

③ 根莖으로 크기가 고르지 않은 (偏)圓形으로 껍질에 수염뿌리의 흔적이 있으며, 내피를 기점으로 분리가 용이치 않다.

④ 비교적 견실하나 파쇄하면 부스러지며, 단면이 淡黃色이다.

 

3) 아출(莪朮) Curcumae Rhizoma

아출 Curcumae Rhizoma

① 花序는 根莖에서 나오고 잎 윗면의 중심맥 주위가 보라색으로 물들어 있다.

② 花序 끝의 苞葉은 粉紅色이며 花序 중간에 개화된 花冠의 脣形花瓣은 白色이나 끝이 粉紅色으로 물들어 있다.

③ 根莖으로 크기가 고르지 않다. (偏)圓形으로 껍질에 수염뿌리의 흔적이 있으며, 내피를 기점으로 분리가 용이치 않다.

④ 아주 견실하여 파쇄하기 힘들며, 단면이 회갈색~암갈색이다.

 

5. 감별 요점

 

  1) 기원식물 검색표

세 약물의 기원식물의 형태 특징으로 검색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단, 기원 종을 특정치 못한 廣西莪朮 Curcuma kwangsiensis S.G.Lee & C.F.Liang 은 제외하였다.

1. 잎 윗면의 중심맥 주위가 보라색으로 물들어 있지 않다.

2. 花序는 根莖에서 나오며 花冠의 脣形花瓣은 白色이며, 葉柄의 길이가 葉身의 1/2이하이다.

———————————- 溫鬱金 Curcuma aromatica

2. 花序는 假莖에서 나오며 花冠의 脣形花瓣의 끝은 淡黃色이며, 葉柄의 길이가 葉身의 1/2이상이다.

———————————— 薑黃 Curcuma longa

1. 잎 윗면의 중심맥 주위가 보라색으로 물들어 있다. 花冠의 脣形花瓣은 白色이나 끝이 粉紅色으로 물들어 있다.

———————————— 莪朮 Curcuma phaeocaulis

 

  2) 한약재 검색표

단면의 일부분이 (연)녹색을 띠는 綠絲鬱金 Curcumae Phaeocaulis Radix은 유통되나 대부분 다른 울금의 특성을 띤 것이 섞여있다. 이는 기원식물인 廣西莪朮을 확보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외하고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1. 塊根으로 長紡錘形이다. 內皮를 기점으로 잘 분리된다.

2. 단면이 軟褐色~灰褐色이며 내피가 白色을 띤다.

———————————– 溫鬱金(白絲鬱金) Curcumae Aromaticae Radix

2. 단면이 朱黃色~赤褐色이며 내피가 淡黃色~朱黃色을 띤다.

———————————– 黃絲鬱金 Curcumae Longae Radix

1. 根莖으로 (偏)圓形으로 껍질에 수염뿌리의 흔적이 있다. 內皮를 기점으로 분리가 용이치 않다.

4. 비교적 견실하나 파쇄하기 쉬우며, 단면이 연하고 밝은 황색이다.

———————————— 薑黃 Curcumae Longae Rhizoma

4. 아주 견실하여 파쇄하기 힘들며, 단면이 회갈색~암갈색이다.

———————————– 莪朮 Curcumae Rhizoma

 




각주

  1. ‘감자’도 땅속줄기의 일종이다.
  2. ‘고구마’가 덩이뿌리의 일종이다.
  3.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Defining Dictionary for Medicinal Herbs[Korean, ‘Hanyak Giwon Sajeon’](2019). Published on the Internet; http://boncho.kiom.re.kr/codex/ (accessed 2019-07-02).
  4. 蘇敬(蘇恭, 599-674年) 編 ≪新修本草≫ 鬱金 味辛 苦 寒 無毒. 主血積 下氣 生肌 止血 破惡血 血淋 尿血 金瘡. 此藥苗似薑黃 花白質紅 末秋出莖 心無實 根黃赤 取四畔子根 去皮火乾之. 生蜀地及西戎 馬藥用之. 破血而補. 胡人謂之馬. 嶺南者有實似小豆蔻 不堪啖. 薑黃 味辛 苦 大寒 無毒. 主心腹結積疰忤 下氣破血 除風熱 消癰腫 功力烈於鬱金. 葉根都似鬱金 花春生於根 與苗並出. 夏花爛 無子. 根有黃靑白三色. 其作之方法 與鬱金同爾. 西戎人謂之藥 其味辛少 苦多 與鬱金同 惟花生異爾.
  5. 蘇頌(北宋 1020-1101년) 著 ≪本草圖經≫ 鬱金≪本經≫不載所出州土. 蘇恭云 生蜀地及西戎 胡人謂之馬. 今廣南, 江西州郡亦有之 然不及蜀中者佳. 四月初生 苗似薑黃 花白質紅 末秋出莖 心無實 根黃赤 去四畔子根 去皮 火乾之. 古方稀用 今小兒方及馬醫多用之. … 薑黃舊不載所出州郡 今江廣蜀川多有之. 葉靑綠 長一 二尺許 闊三 四寸 有斜紋如紅蕉葉而小 花紅白色 至中秋漸凋 春末方生 其花先生 次方生葉 不結實. 根盤屈 黃色 類生薑而圓 有節. 或云眞者 是經種三年以上老薑 能生花 花在根際 一如荷根 節堅硬 氣味辛辣 種薑處有之. 八月采根 片切 曝乾. 蜀人以治氣脹 及產後敗血攻心 甚驗. 蠻人生啖 云可以祛邪辟惡. 謹按鬱金 薑黃 蒁藥三物相近 蘇恭不細辨 所說乃如一物. 陳藏器解紛云: 蒁 味苦 色靑, 薑黃 味辛 溫 色黃, 鬱金 味苦 寒 色赤 主馬熱病. 三物不同 所用全別. 又劉淵林注≪吳都賦≫ 薑彙非一 云薑彙大如螺 氣猛近於臭 南土人搗之 以爲齏菱 一名廉薑. 生沙石中 薑類也. 其味大辛而香 削皮 以黑梅並鹽汁漬之 乃成也. 始安有之. 據此廉薑亦是其類 而自是一物耳. 都下近年多種薑 往往有薑黃生賣 乃是老薑 市人買生啖之 云治氣爲最. 醫家治氣藥大方中 亦時用之. 蓬莪朮生西戎及廣南諸州 今江浙或有之. 三月生苗 在田野中. 其莖如錢大 高二尺, 葉靑白色 長一二尺 大五寸以來 頗類荷, 五月有花作穗 黃色 頭微紫, 根如生薑而朮在根下 似雞鴨卵 大小不常. 九月采 削去粗皮 蒸熟 曝乾用. 此物極堅硬難搗治 用時 熱灰火中煨令透熟 乘熱入臼中搗之 即碎如粉. 古方不見用者. 今醫家治積聚諸氣爲最要之藥 與京三棱同用之良. 婦人藥中亦多使.
  6. 李時珍(明 1518-1593年) 著 ≪本草綱目≫ 薑黃 … 時珍曰 近時以扁如乾薑形者 爲片子薑黃, 圓如蟬腹形者 爲蟬肚鬱金 並可浸水染色. 朮形雖似鬱金 而色不黃也. … [發明] 時珍曰 薑黃 鬱金 朮藥三物 形狀功用皆相近. 但鬱金入心治血, 而薑黃兼入脾 兼治氣, 朮藥則入肝 兼治氣中之血 爲不同爾. 古方五痹湯用片子薑黃 治風寒濕氣手臂痛. 戴原禮≪要訣≫云 片子薑黃能入手臂治痛 其兼理血中之氣可知.

     鬱金 … 時珍曰 酒和鬱鬯 昔人言是大秦國所產鬱金花香 惟鄭樵≪通志≫言即是此鬱金. 其大秦三代時未通中國 安得有此草? 羅願≪爾雅翼≫亦云是此根 和酒令黃如金 故謂之黃流. 其說並通. 此根形狀皆似莪朮 …. 時珍曰 鬱金有二 鬱金香是用花 見本條, 此是用根者. 其苗如薑 其根大小如指頭 長者寸許 體圓有橫紋如蟬腹狀 外黃內赤. 人以浸水染色 亦微有香氣. ….

     蓬莪朮 … 發明頌曰 蓬莪朮 古方不見用者. 今醫家治積聚諸氣 爲最要之藥. 與荊三棱同用之良 婦人藥中亦多使.

     好古曰 蓬莪色黑 破氣中之血 入氣藥發諸香. 雖爲泄劑 亦能益氣 故孫尚藥用治氣短不能接續 及大小七香丸, 集香丸, 諸湯散多用此也. 又爲肝經血分藥.

     時珍曰 鬱金入心 專治血分之病, 薑黃入脾 兼治血中之氣, 朮入肝 治氣中之血 稍爲不同. 按王執中≪資生經≫云 執中久患心脾疼 服醒脾藥反脹. 用耆域所載蓬莪朮面裹炮熟研末 以水與酒醋煎服 立愈. 蓋此藥能破氣中之血也.

  7. 张璐(淸代1617-약1700년) 著 ≪本經逢原≫

     薑黃 辛苦溫 無毒. 藏器曰: 辛少苦多 性熱不冷 或云大寒 誤矣. 有二種 蜀川生者色黃質嫩有須 折之中空有眼 切之分爲兩片者爲片子薑黃. 廣生者質粗形扁如干姜 僅可染色 不入湯藥. 今藥肆混市誤人 徒有耗氣之患 而無治療之功也.

    [發明] 薑黃 鬱金 莪朮三物形狀功用皆相近 但鬱金入心 專治心胞之血. 薑黃入脾兼治血中之氣. 莪朮入肝兼治氣中之血 爲不同耳. 古方三痹湯用片子薑黃治風寒濕氣 手臂痛. 戴元禮曰: 片子薑黃能入手臂治痛 其兼理血中之氣可知 能治症瘕癰疽 通經消腫毒 功力烈於鬱金 但血虛臂痛者服之 病必增劇.

    鬱金 辛苦平 無毒. ≪本草≫以爲性寒 誤矣. 安有辛香而寒之理 蜀產者體圓尾銳 如蟬腹狀 發苗處有小孔 皮黃而帶黑 通身粗皺如梧桐子紋 每枚約重半錢 折開質堅色黃中帶紫黑 嗅之微香不烈者眞. 若大小不等 色黃 皮起細橫紋 有須如線 折之中空質柔 內外皆黃 其氣烈者 即片子薑黃也. 體圓首尾相似 通身橫紋 發苗處無小孔 折開氣烈觸鼻者 染色薑黃中之小者也. 莪朮則大塊 色靑黑 最大者爲廣朮 與此不類. 蘇恭不能分別 乃爲一物 謬矣.

    [發明] 鬱金辛香不烈 先升後降 入心及包絡. 治吐血, 衄血, 唾血血腥 破惡血. 血淋 尿血 婦人經脈逆行 產後敗血衝心 及宿血心痛 並宜鬱金末加薑汁, 童便同服 其血自清. 痰中帶血者加竹瀝. 又鼻血上行者加入四物湯. 一婦患失心風癲十年 用鬱金四兩 佐明礬一兩爲丸 硃砂爲衣 才服五十丸 心間如有物脫去 再服而蘇. 以鬱金入心去惡血 明礬化頑痰 硃砂安神故也. 又能化症瘕爲水 嶺南蠱毒爲害 初覺胸腹痛 即用升麻或膽礬吐之. 若膈下急痛 以米湯調鬱金末三錢服之 即瀉惡物. 或合升麻, 鬱金服之 不吐則下 此李巽岩爲雷州司理 鞫獄得此方活人甚多. 按: 以上諸治 其功皆在破血生新. 今世誤以爲諸血聖藥 病者不惜重費 醫者藉爲射利 咸以薑黃代充 爲害非淺. 凡屬陰虛失血 及陰火迫血上逆 咸爲切禁.

    蓬莪朮(即蓬蒁) 苦辛溫 無毒. 入肝經藥 醋炒. 入心脾藥 麵裹煨熟. 入四物湯調經 羊血或雞血拌炒.

    [發明] 蓬莪朮入肝破血 治婦人血氣結積痛 痰癖冷氣 跌撲損痛 下血及內損惡血 通肝經聚血 蓋此藥專破氣中之血也. 按: 蓬蒁誠爲磨積之藥 但虛人得之 積不去 而眞已竭 更可虞也. 須得參, 術健運, 補中寓瀉 乃得力耳.

  8. 吳儀洛(淸 1704~1766) 著 ≪本草從新≫

    鬱金 (宣 解鬱 瀉 涼血破瘀) 辛苦微甘 氣寒 其性輕揚. 上行入心及包絡 兼入肺經. 涼心熱 散肝鬱 破血下氣. 治吐衄尿血. 婦人經脈逆行(經不下行 上爲吐衄諸證 用鬱金末 加韭汁 薑汁 童便服 其血自清 痰中帶血者 加竹瀝.) 血氣諸痛 產後敗血攻心 顚狂失心(顚多喜笑 尚知畏懼 證屬不足 狂多忿怒 人莫能制 證屬有餘 因驚憂痰血塞於心竅所致 用鬱金七兩 白礬三兩 薄荷糊丸 名白金丸 鬱金散惡血 白礬化頑痰) 痘毒入心 (因瘀血凝滯 而痘疹陷伏者 可用) 陽毒. 生肌定痛 能開肺金之郁 故名. 今醫用此開鬱 罕效 如眞陰虛火亢吐血. 不關肺肝氣逆 不宜用也(近日郁證 多屬血虧 用破血之藥開鬱 郁不能開 而陰已先敗 致不救者多矣). 出川廣 體銳圓如蟬肚 外黃內赤 色鮮微香 折之光明脆徹 苦中帶甘者乃眞(今市中所用者 多是薑黃 並有以蓬莪朮僞之者 俱峻削性烈 挾虛者大忌)

    薑黃 (瀉 破血行氣) 味苦辛溫. 色黃入脾. 兼入肝經. 理血中之氣. 破血下氣. (辛散苦泄, 專於破血, 下氣其旁及者耳. )除風消腫. 性更烈於鬱金. 治血積氣脹. 產後敗血攻心. 通月經. 療撲損. 片子者. 能入手臂. 治風寒濕痹痛. (時珍曰: 入臂治痛, 其兼理血中之氣可知矣. )血虛者. 服之病反增劇. 出川廣. (藏器曰: 鬱金苦寒色赤, 薑黃辛溫色黃, 莪朮味苦色靑, 三物不同, 所用各別, 經疏云: 薑黃主治, 介乎三稜鬱金之間, 時珍曰: 薑黃鬱金莪朮, 形狀功用, 大略相近, 但鬱金入心, 專治血, 薑黃入脾, 兼治血中之氣, 莪朮入肝, 治氣中之血, 稍爲不同, 今時以扁如干姜者, 爲片子薑黃, 圓如蟬腹者, 爲蟬肚鬱金, 莪朮形雖似鬱金, 而色靑不赤爲異耳. )

    蓬莪朮 (瀉 行氣破血 消積) 辛苦而溫. 主一切氣. 又能通肝經. 聚血行氣. 消瘀通經. 化食止痛. 治心腹諸痛. 冷氣吐酸. 奔豚痃癖. (酒醋磨服, 痃, 音賢, 小腹積, 痃癖多見於男子, 症瘕多見於婦人, 莪朮香烈, 行氣通竅, 同三稜用, 治積聚諸病, 按五積, 心積曰伏梁, 起臍上至心下, 肝積曰肥氣, 在左脅, 肺積曰息賁, 在右脅, 脾積曰痞氣, 在胃脘右側, 腎積曰奔豚, 在小腹, 上衝至心下, 治之不宜專用攻伐, 恐損眞氣, 宜於破血行氣藥中, 加補脾胃藥, 氣旺方能磨積也, 經曰: 大積大聚, 其可犯也, 衰其半而止, 過者死, 東垣五積方, 用三稜莪朮, 皆兼人參贊助成功. )中惡鬼疰. (臟腑壅滯, 陰陽乖隔, 鬼癘憑之, 利氣達竅, 邪無所容矣. )虛人服之. 積未去而眞已竭. 兼以參朮. 或庶幾耳. 根如生薑. 莪生根下. 似卵不齊. 堅硬難搗. 灰火煨透. 乘熱搗之. (入氣分. )或醋磨酒磨. 或煮熟用. (入血分. )

  9. 黄宮繡(淸 1720-1817) ≪本草求眞≫

    鬱金(專入心). 辛苦而平. 諸書論斷不一. 有言此屬純陰. 其論所治. 皆屬破氣下血之說. 有言性溫不寒. 其論所治. 則有療寒除冷之謂. 究之體輕氣竄. 其氣先上行而微下達. 凡有宿血凝積. 及有惡血不堪之物. 先於上處而行其氣. 若使其邪其氣其痰其血在於膈上而難消者. 須審宜溫宜涼. 同於他味. 兼爲調治之. (震亨曰. 鬱金屬火與土. 其性輕揚上行. 治吐血衄血唾血血腥. 及經脈逆行. 並宜鬱金末加韭汁薑汁童尿同服. 其血自消. 痰中帶血者. 加竹瀝. 又鼻血上行者. 鬱金韭汁加四物服之. )如敗血衝心. 加以薑汁童便. 去心瘋癲. 明礬爲丸. 硃砂爲衣. 與受蠱毒. 加以升麻之類. (經驗方治失心癲狂. 用眞鬱金七兩. 明礬三兩. 爲末. 薄糊丸. 白湯下. 又婦人癲狂十年. 至人授此. 初服心胸間有物脫去. 神氣灑然. 再服而蘇. 此驚憂. 痰血絡聚心竅所致. 鬱金入心去惡血. 明礬化頑痰故也. 又範石湖文集云. 嶺南有挑生之害. 於飲食中行厭勝法. 魚肉能反生於人腹中. 而人以死. 則陰役其家. 初得覺胸腹痛. 次日刺人. 十日則生在腹中也. 凡胸膈痛. 即用升麻或膽礬吐之. 若膈下痛. 即以米湯調鬱金末二錢服. 即瀉出惡物. 或合升麻鬱金服之. 不吐則下. )若使惡血惡痰惡瘀惡淋惡痔. 在於下部而難消者. 俟其辛氣既散. 苦氣下行. 即爲疏泄. 而無鬱滯難留之弊矣! 此藥本屬入心散瘀. (龐安常傷寒論方云. 斑痘始有白泡. 忽搐入腹. 紫黑無膿. 用鬱金一兩. 甘草二錢半. 水半杯. 煮干. 去甘草. 切片. 焙. 研末. 入冰片五分. 每用一錢. 以生豬血五七滴. 新汲水下. )因瘀去而金得泄. 故命其名曰鬱金. 書云此藥純陰而寒者. 因性主下而言也. 有云是藥性溫而言者. 因氣味辛香主上而言也. 各有論說不同. 以致理難畫一耳. 因爲辨論正之. 出川廣. 圓如蟬肚. 外黃內赤. 色鮮微香帶甘者眞. 市人多以薑黃僞充.

    莪朮(專入肝). 辛苦氣溫. 大破肝經氣分之血. 蓋人血氣安和. 則氣與血通. 血與氣附. 一有所偏. 非氣盛而血礙. 即血壅而氣滯. 三稜氣味苦平. 既於肝經血分逐氣. 莪朮氣味辛溫. 復於氣分逐血. 故凡氣因血窒而見積痛不解. 吐酸奔豚. 痞癖症瘕等症者. 須當用此調治. (按之應手爲症. 是因傷食所得. 假物成形爲瘕. 是因傷血所得. 見於肌膚. 可見爲痞. 是因傷氣所得. 結於隱癖. 不見爲癖. 是因積聚所得. 五積. 肝積曰肥氣. 在左脅下形如覆杯. 有頭有足. 如龜鱉狀. 心積曰伏梁. 起於臍上. 大如手臂. 上至心下. 脾積曰痞氣. 在胃脘. 覆大如盤. 肺積曰息奔. 在右脅下. 覆如大杯. 腎積曰奔豚. 發於少腹. 上至心下. 如豚奔走之象. 或上或下. 亦無定時. 經曰. 大積大聚. 毒可犯也. 衰其大半而止. 過者死. 故去積. 須以甘溫調養. 又曰. 壯者氣行則已. 怯者則著而成病. 潔古云. 壯人無積. 惟虛人則有之. 故養正則邪自除. )俾氣自血而順. 而不致閉結不解矣! 但蓬朮雖屬磨積之味. (血積宜用桃仁山甲乾漆大黃虻蟲蓬朮瓦楞子. 痰積宜用半夏南星白朮枳實礞石硝石風化硝白芥子海石蛤粉. 水積宜用大戟甘遂蕘花芫花. 酒積宜用乾葛神麯砂仁豆蔻黃連乾薑甘遂牽牛. 茶積宜用薑黃茱萸椒姜. 癖積宜用三稜莪朮巴霜大黃. 肉積宜用山楂阿魏硝石. 蠱積宜用雄黃錫灰檳榔雷丸蕪荑使君子鶴蝨. 瘧積宜用桃仁鱉甲草果. )若虛人服之. 最屬可危. 須得參朮補助爲妙. 大者爲廣朮. (頌曰. 此物極堅硬難搗. )灰火煨透. 乘熱搗之. 或醋磨酒磨. 或煮熟用.

    薑黃(專入脾). 味辛而苦. 氣溫色黃. 功用頗類鬱金(苦寒. 色赤. )三稜(苦平. 皮黑肉白. )蓬朮(味苦. 色黑. )延胡索. (辛苦. 色黃. )但鬱金入心. 專瀉心包之血. 莪朮入肝. 治氣中之血. 三稜入肝. 治血中之氣. 延胡索則於心肝血分行氣. 氣分行血. 此則入脾. 既治氣中之血. 復兼血中之氣耳. 陳藏器曰. 此藥辛少苦多. (藏器曰. 性熱不冷. )性氣過於鬱金. 破血立通. 下氣最速. 凡一切結氣積氣. 症瘕瘀血. 血閉癰疽. 並皆有效. 以其氣血兼理耳! (時珍曰. 古方五痹湯. 用片子薑黃. 治風寒濕氣手臂痛. 戴原禮要訣云. 片子薑黃能入手臂治痛. 其兼理血中之氣可知. )若血虛腹痛臂痛. 而非瘀血凝滯者. 用之反劇. 蜀川產者. 色黃質嫩. 有須. 折之中空有眼. 切之分爲兩片者. 爲片子薑黃. (和劑方治胎寒腹痛. 啼哭吐乳. 大便色靑. 狀若驚搐. 出冷汗. 薑黃一錢. 沒藥二錢. 乳香二錢. 爲末. 蜜丸芡子大. 每服一丸. 鉤藤湯下. 經驗方心痛難忍. 用薑黃一兩. 桂三兩. 爲末. 醋湯服一錢. 立效. )廣生者. 質粗形扁如干姜. 僅可染色. 不可入藥. 服之有損無益.

  10. 張山雷(1873~1934) ≪本草正義≫

    薑黃 …. 壽頤按: 今市肆薑黃有二種 名片薑黃者 是已切爲厚片而後曬乾 形如干姜 色不黃 質亦不堅 治風寒濕者即此. 又一種則堅實光亮 其色深黃 乃如鬱金 是爲染色之用 不入藥劑者. ≪唐本≫謂治心腹結積 疰忤 下氣破血. 蓋辛能散 溫能通 故可破結辟惡 消瘀下氣 是物功用 即在此數者之中. 然又謂除風熱 消癰腫 功力烈於鬱金 則正以入血泄散 故癰瘍之堅腫可消 瘍科普通敷藥之如意金黃散用之 即是此意. 固非疏風清熱之作用 而乃竟以爲除風熱 宜乎有辛, 苦 大寒之誤矣. ≪大明≫謂治癥瘕血塊 撲損瘀血 通月經 止暴風痛冷氣 下食, 蘇頌謂治氣脹 產後敗血攻心, 戴原禮謂片子薑黃入手臂 治痛, 石頑謂血虛臂痛者 服之必增劇. 蓋辛溫本以祛寒濕 而血虛者更得此迅利流動以耗其氣 則非徒無益而害之矣.

    鬱金 … 壽頤按: 今市肆鬱金有兩種 川產, 廣產 形頗相近. 但川產者形扁 切片亦深黃褐色 「中心則紫, 廣產形圓 切片則作淡黃色 中心略深 亦黃而不紫, 時尚多用廣產 實則質堅而光潔 其性沉重 其色更微 嗅之亦無甚香味 兩者皆然, 若色深香烈而形較大 則薑黃也. 惟其質堅性平(注: 原爲「質」 義不可解 改) 色黃赤如血 故專入血分 能行血中之氣 下氣行血 開結止痛 是其專長 古稱解鬱 義亦如是. ≪唐本草≫謂治血積下氣 破惡血 血淋 尿血. 甄權謂治宿血氣心痛 冷氣結, 瀕湖謂治血氣心腹痛 產後敗血衝心欲死, 丹溪謂治吐血, 衄血, 唾血 及經事逆行 並以鬱金末加韭汁, 薑汁, 童尿同服 其血自清 痰中帶血者 加竹瀝. 固無一非開泄沉降之功用. 惟壽頤則謂血逆上行 薑, 韭之辛 必非所宜.[正訛]丹溪謂: 鬱金之性 輕揚上行 古人以治郁遏不能升者 命名因此. 壽頤按: 此藥是根 質堅沉重 潔古謂其氣味俱厚 故純以下行爲用. 惟入血行氣 亦能破堅散結. 所謂開鬱者 本以宣通解散爲義 郁不能升一層 大是誤會. 況丹溪亦自謂其治吐血, 衄血及逆經諸證 則專以下行爲順 當亦可於言外得之 反謂上行 寧不自矛自盾?範石湖且謂一味爲末 治蠱毒 服之即瀉出惡物 尤爲明白瞭解. 丹溪是說 殆出依託 而石頑和之 亦謂先升後降 不思之甚矣.

  11. 曹炳章(1877~1956年) ≪增訂僞藥條辨≫

    炳章按: 鬱金 山草之根 野生也. 兩廣, 江西鹹有之 而以蜀產者為勝. 上古不甚重 用以治馬病 故又名馬術 因其形像莪朮也. 自唐以後 始入藥料 治血證有功 本非貴重之品. 清初吳亂未靖時 蜀道不通 貨少居奇 致價數倍 甚則以薑黃輩偽之者. 然其形銳圓 如蟬腹狀 根杪有細須一縷 如菱臍之苗 長一二寸 市人因呼‘金線吊蝦蟆’, ‘蟬肚爵金’是也. 其皮黃白 有皺紋 而心內黃赤. 剉開儼然兩層 如井欄 產四川重慶. 惟本年生者嫩小而黃 若遺地未採 逾年而收 則老而深黯色 如三七狀 僞老廣鬱金. 然老鬱金 治血證 化瘀削積之力勝於嫩者 若開鬱散痛 即嫩黃者亦效. 乃近年傳黑者僞野鬱金 黃者僞假 並誤其僞薑黃 殊不知此物本是野生. 若薑黃皮有節紋 肉色深黃無暈 蓬朮色黑無心 最易辨也. 然老鬱金雖產四川 近今名稱廣鬱金. 所謂川鬱金 乃溫州產也 色黯黑 形扁亦有心 惟不香耳.

  12. = Curcuma wenyujin Y.H.Chen & C.Ling
  13. = 봉아출(蓬莪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