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Gallus gallus domesticus

계내금(鷄內金) Galli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etc.

계내금(鷄內金) Galli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압내금(鴨內金) Anatis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도서출반 우석

이 글은 주영승(우석대 한의대 본초학교실)교수님의 저서 ‘운곡본초도감‘ 및 ‘운곡본초학‘의 내용을 발췌 및 편집, 개정하여 소개한 것이니 상세한 내용은 해당 서적 및 논문을 참고 바랍니다.

또한, 이 글에 사용한 공정서 관련 약어는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Written by : Young-Sung Ju. Department of Herbology, Woosuk Univ.
Rewritten by : Guemsan Lee. Department of Herbology, Wonkwang Univ.
Revised by : Jung-Hoon Kim. Division of Pharmacology, Pusan National Univ.
Goya Choi.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blished online : Sep 26, 2019.


 

  예로부터 비교적 흔하게 구할 수 있던 가축은 민간에서 각 부위별로 나누어 쓰이다가 효능이 비교적 괜찮은 경우에는 한약재로 자리를 잡기도 하였다. 그 대표적인 약재가 닭의 모래주머니 내막인 ‘계내금(鷄內金)’이다. 여기에서는 계내금의 효능 주치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통해 소식약(消食藥)으로서 자리 잡는 과정을 간략히 고찰하고 유사 약물인 압내금(鴨內金)과 간단히 비교하였다.

 

1. 消食藥으로서의 鷄內金

 

  닭은 약 3,000~4,000년 전에 미얀마·말레이시아·인도 등에서 들닭(野鷄)을 길들여 가축화하였으며, 현재는 500여 품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기에 한의학 고문헌의 기록도 다양하다.

  東漢代의 ≪神農本草經≫1에는 붉은 수탉(丹雄雞)을 부위별로 나누어 그 당시 쓰임새를 기록하였는데 그 중 멀떠구니(날짐승의 위장, 肶胵)의 내피를 ‘(丹雄雞)肶胵裹黃皮’라 하고 그 효능을 단순히 ‘主泄利’라 기재하였다.

  그러나 魏晉南北朝代의 ≪本草經集註≫2에서는 ‘(丹雄雞)䏶胵里黃皮 微寒 主治泄痢 小便利 遺溺 除熱 止煩’이라 하여 그 주치증이 다소 확장되어 기록되었으며, 이 내용은 唐代의 ≪新修本草≫3에도 인용되었다. 한편, 宋代의 ≪證類本草≫4는 ≪日華子本草≫의 ‘止泄精並尿血 崩中 帶下 腸風 瀉痢’의 주치를 추가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明代의 ≪本草品彙精要≫5는 ≪證類本草≫의 내용을 정리하여 기재하였으며, 동 시기의 ≪本草蒙筌≫6에서는 ‘一名雞內金’이라는 이름을 찾아볼 수 있었으나 효능 주치에 대한 관점은 대동소이하였다.

  ≪本草綱目≫7에 이르러서야 ‘消食’이라는 효능과 직접적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주치증-小兒食瘧 療大人淋漓反胃 消酒積-이 제시되었으며, 더불어 ‘膍胵 안쪽의 黃皮를 말하는데, 膍胵는 닭의 肫(모래주머니)이다’고 하여 더 상세한 약용부위가 제시되었다. 한편, ≪神農本草經疏≫8는 약용부위가 닭의 소화가 되는 부위임을 들어 大腸膀胱의 除熱을 통해 泄利와 遺溺 등의 효능이 나타난다고 하여 그 작용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明代 末의 ≪本草通玄≫9은 기존의 문헌과는 달리 反胃吐食을 주치증의 맨 앞에 두어 이 약물의 주요 쓰임새에 변화가 있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淸代 초의 ≪本草備要≫10에 이르러서야 ‘能消水穀 除熱止煩 通小腸膀胱 治瀉痢便數 遺溺溺血 崩帶腸風 膈消反胃 小兒食瘧’이라 하여 현대 본초에서의 효능 주치와 거의 유사한 내용이 기재되었다.

동 시기와 이후의 본초서적- ≪本經逢原≫11, ≪神農本草經百種錄≫12, ≪藥性切用≫13, ≪玉楸藥解≫14, ≪本草從新≫15, ≪得配本草≫16, ≪要藥分劑≫17, ≪本草害利≫18, ≪本草撮要≫19-은 대체로 ‘消食’을 鷄內金의 주요 효능으로 제시하고 있다.

 위와 같이 鷄內金은 명말 – 청초인 17c를 전후로 消食藥으로서 자리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

 

2. 유통 현황

 

1) 계내금(鷄內金) Galli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꿩과(Phasianidae)에 딸린 (鷄) Gallus gallus domesticus (Linnaeus, 1758)모래주머니 내막(內膜)

⊂ KHP IV, ChP2015, THP II, DP VII

 

2) 압내금(鴨內金) Anatis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오리과(Anatidae)에 딸린 집오리(家鴨) Anas platyrhynchos domesticus Linnaeus, 1758모래주머니 내막(內膜)

⊂ 공정서 미수재

[주. 압순피(鴨肫皮)라고도 한다. 압내금은 비규격품임에도 불구하고 계내금으로 혼입된다. 특히, 분말로 된 것은 구별하기 어려우므로 주의를 요한다.]

 

3. 한방 효능

 

본초명 鷄內金 鴨內金

(鴨肫皮)

생약명 Galli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Anatis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성미 平 甘 無毒 平 甘 無毒
귀경 脾 胃 腎 膀胱 脾 胃
효능 健脾消食 澁精止遺 消癥化石 消食化積
주치 消化不良 飮食積滯 嘔吐反胃 泄瀉下痢 小兒疳積 遺精遺尿 小便頻數 泌尿系結石 膽結石 癥瘕經閉 喉痺乳蛾牙疳口瘡 食積脹滿 曖腐呑酸 噎膈反胃 諸骨哽喉
효능분류 消食藥 消食藥

 

① 둘 모두 消食藥으로 언뜻 적합한 듯 보이나, 일반적으로 鷄內金의 효능이 더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② 鴨內金(鴨肫皮)은 그 효능은 차지하고서라도 공정서에 수재되지 않은 비규격품이므로 사용을 보류하여야 한다.

 

[주. 한약재로 유통되는 일부 추말 또는 분말 형태의 계내금은 그 진위를 판별하기 어렵다. 추출 효율에 별 차이가 없으므로 원형 상태의 계내금을 사용토록 한다.]

 

4. 형태 특징

 

1) 계내금(鷄內金) Galli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계내금

주머니모양으로 불규칙하게 말려있거나 오그라져 있는 원형의 조각으로 형태가 일정치 않으며 반투명하고 물결모양의 주름이 있다. 표면은 황색 또는 황갈색으로 너비 3~5㎝, 두께 0.2~0.3㎝로서 얇다. 質은 가볍고 딱딱하며 부서지기 쉽다. 절단면은 각질상으로 광택이 있다. 비린내가 조금 나고 맛은 조금 쓰다.

 

2) 압내금(鴨內金) Anatis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압내금

가죽과 같은 모양이며 투박한 황색∼옅은 흑황색으로 물결모양의 무늬가 없거나 적다. 質은 두께 0.5mm정도로서 두껍고 단단하며 질기다.

 

 

5. 감별 요점

계내금과 압내금 비교

1. 주머니모양으로, 바깥면에 물결모양의 무늬가 있으며, 얇으며 쉽게 파쇄된다

—————— 鷄內金 Galli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1. 가죽모양으로, 바깥면에 물결모양의 무늬가 적거나 없으며, 두껍고 질기다

—————— 鴨內金 Anatis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각주

  1. unknown (東漢, 25-220년)≪神農本草經≫ 丹雄雞 味甘 微溫. 主女人崩中漏下 赤白沃 補虛溫中 止血 通神 殺毒 闢不祥. 頭: 主殺鬼 東門上者尤良 肪: 主耳聾. 腸: 主遺溺. 肶胵裹黃皮: 主泄利. 尿白: 主消渴 傷寒寒熱. 黑雌雞: 主風寒濕痹 五緩六急 安胎. 翮羽: 主下血閉. 雞子: 主除熱 火瘡癇痙 可作虎魄神物. 雞白蠹: 肥脂. 生平澤.
  2. 陶弘景 (魏晉南北朝, 456-536년) ≪本草經集註≫ 丹雄雞 … 䏶胵里黃皮: 微寒 主治泄痢 小便利 遺溺 除熱 止煩.
  3. 蘇敬, et al. (唐, 659년) ≪新修本草≫ 丹雄雞 ,… 䏶胵里黃皮 微寒 主泄痢 小便利 遺溺 除熱 止煩.
  4. 唐愼微 (宋, 1097-1108년) ≪證類本草≫ 丹雄雞 … 䏶胵里黃皮 微寒. 主泄利 小便利 遺溺 除熱止煩. 臣禹錫等謹按 日華子云: 諸雞䏶胵 平 無毒. 止泄精並尿血 崩中 帶下 腸風 瀉痢 此即是肫內黃皮.
  5. 劉文泰, et al. (明, 1505년) ≪本草品彙精要≫ 丹雄雞 … 【用】肉 肪 腸 頭東門上者良 屎白 翮羽 䏶胵里黃皮 … 日華子云 … 䏶胵里黃皮止泄精並尿血崩中帶下腸風瀉痢
  6. 陳嘉謨 (明, 1565년) ≪本草蒙筌≫ 丹雄雞 … 剝取䏶胵黃皮 (即肫里黃皮 一名雞內金) 性寒亦去煩熱. 男子溺遺精泄 赤白痢者並調. 女人漏下崩中 赤白沃者總禁.
  7. 李時珍 明 1578 ≪本草綱目≫ 雞 … 膍胵里黃皮(一名雞內金)膍胵(音脾鴟) 雞肫也. 近人諱之 呼肫內黃皮為雞內金. 男用雌 女用雄.

    【氣味】甘 平 無毒.

    【主治】泄痢. (≪本經≫)小便頻遺 除熱止煩(≪別錄≫).

    止泄精並尿血 崩中帶下 腸風瀉血(≪日華≫).

    治小兒食瘧 療大人淋漓反胃 消酒積 主喉閉乳蛾 一切口瘡 牙疳諸瘡(時珍).

    【附方】舊三 新十七. 小便遺失: 用雞膍胵一具 並腸燒存性 酒服. 男用雌 女用雄. (≪集驗≫)

    小便淋瀝痛不可忍: 雞肫內黃皮五錢 陰乾燒存性 作一服 白湯下 立愈. (≪醫林集要≫)

    膈消飲水: 雞內金(洗 曬乾)․栝蔞根(炒)各五兩 為末 糊丸梧桐子大. 每服三十丸 溫水下 日三. (≪總錄≫)

    反胃吐食: 雞膍胵一具 燒存性 酒調服. 男用雌 女用雄. (≪千金≫)

    消導酒積: 雞膍胵․乾葛為末 等分 麵糊丸梧桐子大. 每服五十丸 酒下. (≪袖珍方≫)

    噤口痢疾: 雞內金焙研 乳汁服之.

    小兒瘧疾: 用雞膍胵黃皮燒存性 乳服. 男用雌 女用雄. (≪千金≫)

    喉閉乳蛾: 雞肫黃皮勿洗 陰乾燒末 用竹管吹之即破 愈. (≪青囊≫方)

    一切口瘡: 雞內金燒灰敷之 立效. (≪活幼新書≫)

    鵝口白瘡: 燒雞肫黃皮為末 乳服半錢. (≪子母秘錄≫)

    走馬牙疳: ≪經驗≫: 用雞肫黃皮(不落水者)五枚 枯礬五錢 研搽立愈. ≪心鑑≫: 用雞肫黃皮 燈上燒存性 入枯礬․黃柏末等分 麝香少許. 先以米泔洗漱後 貼之.

    陰頭疳蝕: 雞內金(不落水)拭淨 新瓦焙脆 出火毒 為細末. 先以米泔水洗瘡 乃搽之. 亦治口疳. (≪經驗方≫)

    穀道生瘡久不愈: 用雞膍胵燒存性為末 干貼之 如神. (≪總錄≫)

    腳脛生瘡: 雄雞肫內皮 洗淨貼之. 一日一易 十日愈. (≪小山奇方≫)

    瘡口不合: 雞膍胵皮 日貼之.

    發背初起: 用雞肫黃皮(不落水者)陰乾 臨時溫水潤開貼之 隨干隨潤 不過三五個 即消. (楊氏≪經驗方≫)

    發背已潰: 用雞肫黃皮 同綿絮焙末搽之 即愈.

    金腮瘡蝕: 初生如米豆 久則穿蝕. 用雞內金(焙)․鬱金等分 為末. 鹽漿漱了貼之. 忌米食. (≪總錄≫)

    小兒疣目: 雞肫黃皮擦之 自落. (≪集要≫方)

    雞骨哽咽: 活雞一隻打死 取出雞內金洗淨 燈草裹 於火上燒存性. 竹筒吹入咽內 即消 不可見肉. (≪攝生方≫)

  8. 繆希雍 (明, 1625년) ≪神農本草經疏≫ 附: 肶胵里黃皮. 微寒. 主泄利 小便利 遺溺 除熱止煩. 疏: 此即肫內黃皮 一名雞內金是也. 肫是雞之脾 乃消化水穀之所 其氣通達大腸膀胱 二經有熱則泄痢遺溺 得微寒之氣 則熱除而泄痢遺溺自愈矣. 煩因熱而生 熱去故煩自止也. 今世又以之治諸疳瘡多效. 主治參互 ≪醫林集要≫: 小便淋瀝 痛不可忍. 雞肫內黃皮五錢 陰乾燒存性 作一服 白湯下 立愈. ≪子母秘錄≫: 鵝口白瘡. 雞肫內黃皮 為末. 乳服半錢 並可傅之. ≪經驗方≫: 走馬牙疳. 雞肫內黃皮 不落水者五枚 焙存性 枯礬一錢 研細 搽. 並治陰頭疳蝕.
  9. 李中梓 (明, 1667년) ≪本草通玄≫ 雞內金 乃肫內黃皮. 男用雌 女用雄 即雞膍胵也. 主反胃吐食 大腸泄痢 小便頻數 精滑崩帶.
  10. 汪昂 (淸, 1683년) ≪本草備要≫ 雞肫皮(一名雞內金 一名䏶胵 音皮鴟)甘平性澀. 雞之脾也. 能消水穀 除熱止煩 通小腸膀胱. 治瀉痢便數 遺溺溺血 崩帶腸風 膈消反胃 小兒食瘧. 男用雌 女用雄.

    汪昂 (淸, 1615-1695년) ≪本草易讀≫ 雞內金 即膍胵內黃皮也. 甘 平 無毒. 止泄痢遺精 住崩帶腸風. 縮小便而除尿痛 退煩熱而息淋痛. 一切口瘡牙疳 諸般喉閉乳蛾. 能消酒積 尤止反胃.

  11. 張璐 (淸, 1695년) ≪本經逢原≫ 雞 … 雞肶胵俗名雞內金 治食積腹滿 反胃泄利 及眼目障翳
  12. 徐大椿 (淸, 1736년) ≪神農本草經百種錄≫ 丹雄雞 … 肶胵裹黃皮: 微寒 主泄利. 雞食沙石亦能消化 故治食積不化之泄利
  13. 徐大椿 (淸, 1741년) ≪藥性切用≫ 雞 … 雞內金: 一名雞肫皮 一名雞膍胵. 攻腹脹 消堅積 炒研用.
  14. 黃元御 (淸, 1754년) ≪玉楸藥解≫ 雞內金 味甘 氣平 入手陽明大腸․足厥陰肝經. 止利斂血 利水秘精. 雞內金扶中燥土 治泄利崩帶 尿血便紅 喉痹乳蛾 口瘡牙疳 失溺遺精 酒積食宿 胃反膈噎 並消癰疽發背.
  15. 吳儀洛 (淸, 1757년) ≪本草從新≫ 雞肫皮․(一名雞內金․一名䏶胵․音皮鴟. )甘平性澀. 雞之脾也. 能消水穀. 除熱止煩. 通小腸․膀胱. 治瀉痢便數. 遺溺溺血. 崩帶腸風. 膈消反胃. 小兒食瘧. 男用雌. 女用雄.
  16. 嚴潔 施雯 洪煒全 (淸, 1761년) ≪得配本草≫ 雞內金 肫內黃皮. 甘 平. 入大腸․膀胱. 健脾開胃. 祛腸風 治泄痢 消水穀 除酒積. 得花粉 治膈消飲水. 配枯礬 敷牙疳口瘡. (清熱之功. )拌人乳 治小兒瘧疾. 同鬱金 貼金腮瘡蝕. 燒存性 研.
  17. 沈鑫鰲 (淸, 1773년) ≪要藥分劑≫ 雞肫皮. 一名雞內金. 味甘. 性平. 無毒.

    【主治】主泄痢. 小便頻遺. 除煩. 止熱. (別錄)止泄精尿血. 崩中帶下. 腸風瀉血. (日華)治小兒食瘧大人淋瀝反胃. 主喉閉乳蛾一切口瘡牙疳. (綱目)

    【歸經】入肝脾大腸膀胱四經. 為除熱止煩之品.

    【前論】吳球曰. 一切口瘡. 用雞內金燒灰敷之. 立效. 亦治穀道瘡久不愈. 燒灰研摻如神.

    鰲按․肫即雞之脾. 乃消化水穀之物. 其氣通達大腸膀胱二經. 故以之治水而水從小便出也. 若小兒疳積病. 乃肝脾二經受傷. 以致積熱為患. 雞肫皮能入肝而除肝熱. 入脾而消脾積. 故後世以此治疳病如神也.

  18. 凌奐 (淸, 1862년) ≪本草害利≫ 雞 … 雞肫皮 一名雞內金 一名肶胵(音皮鴟) 甘平性澀 雞之脾也. 消水殺蟲 除熱止煩 通小腸膀胱 治瀉痢 便數 遺溺 溺血 崩帶 腸風 膈消 反胃 小兒食瘧. 男用雌 女用雄.
  19. 陳其瑞 (淸, 1901년) ≪本草撮要≫ 雞 … 雞肫皮一名雞內金. 又名䏶胵. 甘平性澀. 雞之脾也. 消水穀. 除煩熱. 通小腸膀胱. 治瀉痢便數遺溺. 血崩溺血帶下. 腸風膈消反胃. 小兒食瘧. 男用雌. 女用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