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약성론(藥性論)의 개요

제3장 藥性論.  藥性은 약물이 지닌 본바탕을 말한다. 藥性論은 약물이 지닌 특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 운용규칙 등을 특정 학설에 의하여 설명하는 이론이다. 그 주요한 이론으로는 氣味論, 形性藥性論, 升降浮沈論, 歸經論, 補瀉論, 毒性論 등이 있으며 配伍와 연관된 이론으로 七情論, 藥對論, 君臣佐使論, 引經報使論 등이 있다. 여기에서는 약성론의 개요를 약술하였다.

 

• 藥性 : 약물이 지닌 본바탕으로 약물이 나타내는 효능의 근원.

 

• 藥性論 (藥性理論)

▷ 약물이 지닌 특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 운용규칙 등을 특정 학설에 의하여 설명하는 이론.

▷ 금원시대 이후 한의학에서는 陰陽五行學說이 약성론의 주요 기초였음.

▷ 최근에는 고문헌에 기록된 약성을 이화학 유전학 등과 결부시켜 해석 및 설명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음.

 

• 藥性論의 주요 내용

▷ 氣味論 : 약물 섭취 후 발생하는 인체의 반응이나 치료 효과를 四氣(寒熱溫涼)와 五味(酸苦甘辛鹹)로 크게 나누어 귀납시켜 형성된 이론

▷ 形性藥性論 : 약재의 性狀(形, 色, 臭, 體 등)으로 약물의 작용을 설명하려는 이론

▷ 升降浮沈論 : 약물이 작용하는 방향을 크게 4갈래로 정리한 이론으로, 病位의 上下表裏에 대응하는 약물의 작용을 升降浮沈으로 정리함

▷ 歸經論 : 약물이 작용하는 범위를 經絡과 臟腑와 연계시켜 귀납적으로 정리한 이론. 歸란 작용의 歸屬을, 經은 臟腑經絡을 뜻하여 歸經은 약물 작용의 定位에 대한 개념이라 할 수 있음. 고문헌에서는 歸某經, 入某經, 走某經, 行某經, 通行某經, 某經藥, 某經本藥, 某經行經藥 등으로 표현됨.

▷ 補瀉論 : 八鋼(陰陽表裏寒熱虛實虛) 중 虛와 實에 각각 대응하는 약물의 補와 瀉에 대한 이론.

▷ 毒性論 : 성분적인 독(toxin, poison)의 함유 여부뿐만 아니라 상용량을 사용했을 때 인체에 危害를 일으키는지의 여부로 有毒과 無毒을 구분하는 이론으로, 그 정도를 偏性의 강약으로 표현함.

▷ 配伍1 :치료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여러 약물을 섞는 것으로, 이에 대하여 七情論, 藥對論, 君臣佐使論, 引經報使論 등의 다양한 이론이 있음.

– 七情論 : 약물의 상호 작용을 6가지로 분류한 것에 단독 사용을 포함시켜 총 7가지로 정리함.

– 藥對論 : 약물의 配伍의 최소 단위로 對子, 兄弟藥, 姉妹藥, 藥組 등이라 함.

– 君臣佐使論 : 處方의 구성요소를 역할에 따라 主輔佐使로 나눔. 또한, 本草를 補養과 治病 및 有毒과 無毒을 기준으로 나눈 분류법의 하나로도 취급되었음.

– 引經報使論 : 특정한 經이나 病所에 藥力을 인도하거나, 그 약물 자체가 작용하는 것에 대한 이론. 이와 다르게 특정한 經이나 病所에 藥力을 인도만 하고, 그 약물 자체가 작용하지 않는 것은 藥引이라하여 달리 구분하기도 함.

 

• 藥性에 영향을 주는 요소

▷ 약물의 품종, 산지, 생태환경 등의 자연적 요소뿐만 아니라 採集, 炮製, 製劑 등의 영향도 받음.

▷ 이 중 본초의 기원을 정하는 요소2가 약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침.

 


제3장 藥性論 – 바로가기

• 藥性論의 개요

제1절 氣味論

제2절 形性藥性論

제3절 升降浮沈論

제4절 歸經論

제5절 補瀉論

제6절 毒性論

제7절 配伍 (七情論, 藥對論, 君臣佐使論, 引經報使論)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요약 기술하고, 학술적 견해를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총론 강의자료의 오류 교정 및 수정, 보충 사항을 지속적으로 알리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16:73-98.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60-185.





각주

  1. 굳이 구분한다면, 方劑學에서는 특정 處方이 지닌 效能 및 主治를 辨證에 맞게 加減할 때에 최적 효과의 측면으로, 本草學에서는 處方에서 구성 약물의 상호 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측면으로 配伍를 다룬다고 할 수 있음.
  2. 식물 및 동물, 광물의 이름, 학명, 약용부위, 채취시기, 특정 가공법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