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용량(用量)

제1절 藥物의 用量. 대부분 천연물이며 藥性이 비교적 화평하고 안전하다고 인식되어 있으나, 偏性이 강한 일부 약물은 용량을 엄격하게 제한하여야 한다. 그 대표적인 약물이 독성주의한약재이다. 한약재의 특성상 最小有效量과 最小中毒量의 한계가 명확치 않으므로 신체적 조건과 질병의 상태, 기후 조건 등 복잡한 상황을 종합하여 용량 결정하여야 한다. 여기에서는 수, 돈, 푼, 근 등의 계량 단위를 약술하고 용량 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기술하였다.

 

○ 藥物의 用量 : 환자에게 사용하는 분량.

▷ 제형을 형성하는 구성 약물 각각의 용량

▷ 만들어진 제형의 전체 용량

 

○ 한약 용량의 일반적인 특징

▷ 대부분 천연물이며 藥性이 비교적 화평하고 안전하다고 인식되어 있음

▷ 그러나 偏性이 강한 일부 약물은 용량을 엄격하게 제한하여야 함

예. 독성주의한약재 한약재 안전 및 품질관리 규정.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제2019-112호 半夏, 天南星, 附子, 川烏, 草烏, 白附子, 甘遂, 續隨子, 狼毒, 巴豆, 馬錢子(호미카), 寶豆, 亞麻仁, 斑猫, 蟾酥, 朱砂, 輕粉, 水銀, 雄黃, 密陀僧, 鉛丹

→ Araceae, Ranunculaceae의 Aconitum spp., Euphorbiaceae, Loganiaceae, Linaceae, Meloidae의 Mylabris spp., Bufonidae의 Bufo spp., Hg 함유 광물, As 함유 광물, Pb 함유 광물

▷ 最小有效量과 最小中毒量의 한계가 명확치 않음

▷ 신체적 조건과 질병의 상태, 기후 조건 등 복잡한 상황을 종합하여 용량 결정

 

○ 계량 단위 ( 《東醫寶鑑》 湯液 斤兩升斗 참조.)

▷ 銖 : 漢代에 黍(기장쌀) 1,200粒을 12銖로 정함

黍10粒=累 / 黍100粒=1銖 / 24銖=1兩 / 1斤=16兩 / 1鈞=30斤 / 1石=120 斤

▷ 錢 : 唐代에 開元通寶를 2銖4累의 무게로 만들어 1錢 (1/10 兩)이라 함.

唐代의 1錢은 3.73실측 ~ 4.175규정g,

朝鮮의 1錢은 4.0122g이었으나 일제강점기(1902년)에 3.75g으로 정해짐

▷ 현재 기준

1斤 = 16兩 = 160錢 =600g / 1兩 = 10錢 =37.5g

1錢 = 10分 = 3.75g / 1分 = 10厘 =0.375g

단, 과거에 人蔘의 1斤은 300g으로 유통되었기에 현재 인삼의 포장단위는 300g임

▷ 1 劑 = 20 貼 , 대체로 2 貼/日 복용

 

○ 일반적인 한약의 상용 용량 (일)

▷ 건조품 : 1~3錢 (예. 麻黃·荊芥·知母 등)

▷ 신선품 : 1~2兩 (예. 鮮茅根·鮮地黃 등)

▷ 輕質 : 3~5分 (예:燈心草 등), 필요에 따라 1~1.5錢(예:薄荷葉 등)까지

▷ 重質 : 3~5錢 (예:熟地黃·何首烏 등), 추출이 어려운 광물 등은 1~2兩까지 (예:石膏 등).

▷ 有毒 : 5厘 ~ 1分 (예:雄黃 등)

▷ 大毒: 1~2毫 (예:砒霜 등)

 

1. 藥性과 用量

▷ 偏性이 약한 약물(性味薄 無毒) → 稍大

▷ 偏性이 강한 약물(性味惡厚 峻烈 有毒) → 小量으로 시작하여 점차 증량 & 병세가 약해지면 바로 용량을 줄이거나 중지

《神農本草經》 若用毒藥遼病 先起如黍粟 病去卽止 不去倍之 取去爲度

▷ 추출이 어려운 質重한 鑛物, 貝殼 등은 소화장애를 유발하지 않는 선에서 용량을 높이거나 추출 시간을 늘림

▷ 추출이 쉬운 質輕한 葉 및 花 등은 용량을 적게 하거나 추출 시간을 줄임

▷ 厚味滋膩/苦寒한 약물은 소화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

예. 熟地黃, 黃蓮

 

2. 配合과 用量

▷ 약물을 單用할 때에는 용량을 높여 쓰나, 그 약물로 複方을 구성할 때에는 줄여 씀.

→ 예. 獨蔘湯의 인삼은 2兩, 四君子湯의 人蔘은 1錢

▷ 複方에서 主藥의 용량은 비교적 많고, 輔藥의 용량은 비교적 적음

▷ 複方에서 구성 약물의 용량의 변화는 곧 처방의 전체적인 효능의 변화로 이어지므로 주의 깊게 용량을 결정해야 함.

즉, 理·法·方·藥에 따라 적용되어야 하며, 구성약물 하나의 증감으로 결정할 수 없음.

桂枝湯 ○ 治太陽傷風自汗惡風寒桂枝三錢白芍藥二錢甘草一錢右剉作一貼入生薑三片大棗二枚水煎溫服須臾啜稀粥一盞以助藥力令遍身漐漐微汗爲佳得汗勿再服[入門] : 以辛甘化陽 發散風寒으로 설명하고 있음.

小建中湯 ○ 治虛勞裏急腹中痛夢寐失精四肢痠疼手足煩熱咽乾口燥白芍藥五錢桂枝三錢(無則用薄桂)甘草炙一錢右剉作一貼入生薑五片大棗四枚水煎至半去滓下膠飴(卽黑糖)半盞(卽一兩)再煎熔化服之[仲景] : 以酸甘化陽 治裏虛

 

3. 劑形과 用量

▷ 湯劑 : 빠른 약효를 얻고자 쓰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반적으로 丸散劑에 비해 용량이 많음.

예. 獨蔘湯의 인삼은 2兩, 四君子湯의 人蔘은 1錢

▷ 丸劑 : 장기간 복용케 하거나, 불특정 다수에게 사용하기 위하여 미리 조제하여 보관하므로 일반적으로 湯劑에 비해 용량이 적음.

예. 牛黃淸心丸, 蘇合香元

▷ 散劑 : 丸劑와는 달리 외용제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비교적 빠르게 조제가 가능하므로 용량 결정이 자유로운 편에 속함.

예. 외용제로 사용할 경우 환부의 크기와 외상의 경중에 따라 적정량 도포

예. 珠黃散 등과 같이 湯劑보다 용량이 다소 많은 경우와 平胃散 등과 같이 湯劑보다 용량이 적은 경우가 있음.

 

4. 疾病과 劑量

▷ 輕病, 久病, 慢性疾病 : 소량 사용

▷ 重病, 新病, 急性疾病 : 다량 사용

 

5. 體質과 用量

因人制宜 (사람에 따라 알맞게 함) : 건강 상태와 약물을 받아들이는 정도가 개인마다 다르므로 약물의 사용량 또한 적절하게 조절하여야 함

《素問․五常正大論》 耐毒者以厚藥 不耐毒者以薄藥

평소 튼튼한 사람 > 평소 허약한 사람

청장년 > 노인/아동 , 남자 > 여자

만 6~16세 아동 및 청소년 = 성인 용량의 ½

만 5세 이하의 유아 = 성인 용량의 ¼

만 1세 이하의 영아 = 약물 투여를 삼가함

 

6. 계절 및 지역의 차이에 따른 用量

因時制宜 : 계절의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용량 조절

(예) 發汗을 위해 麻黃을 사용한다면 겨울보다 여름에 적게 사용

因地制宜 :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용량 조절

(예) 燥濕을 위해 白朮을 사용한다면 습한 지역 거주자에게는 더 많이 사용

 

(Q) 임상가에서 1錢을 4g으로 간주하여 쓴다는데 괜찮은가?

▷ 조선시대의 1錢은 4.0122g이므로 《東醫寶鑑》을 기준으로 처방한다면 큰 문제는 없다고 판단함. 그러나 藥味가 濃厚해지면 그만큼 약물의 분해 및 흡수에 부담이 된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함.

 


제4장 藥物의 用法과 禁忌 – 바로가기

제1절 藥物의 用量

제2절 藥物의 煎藥과 服藥

제3절 藥物의 禁忌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요약 기술하고, 학술적 견해를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총론 강의자료의 오류 교정 및 수정, 보충 사항을 지속적으로 알리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16:99-10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88-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