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포자(炮炙) : 초법(炒法)

제6절 포자(炮炙) part 1. 약물을 용기에 넣고 직접 가열하여 열처리하는 포제법을 초법(炒法)이라 한다. 초법(炒法)의 주목적은 질을 미리 성글게 만들어 추출 효율을 높이는데 있기 때문에 모양이 일정치 않은 약물은 고르게 열을 가하기 위하여 고체보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치료에 불필요한 기름이나 정유를 함유한 약물은 이를 잘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는 밀기울이나 쌀, 흙과 같은 고체보료를 이용하여 고르게 열을 가함과 동시에 편성을 완화시키기도 한다. 한편, 털이나 가시를 제거하거나 쉽게 파쇄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고온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모래나 합분, 활석분을 이용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온도조절이 용이치 않은 냄비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소규모일때는 로스터나 오븐,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고, 대규모일때는 전용 대형초제기를 사용하여 초(炒)한다. 다만 초탄(炒炭)의 경우에는 적절하게 가공하기 어려우므로 진공고온오븐 등을 이용하여 민단(悶煅)하는 것이 좋다.

 

1. 炒法

  • 정의

: 대상 약물을 일정한 용기에 넣고 고른 온도가열하여 일정 시간 볶는 가공법의 총칭

▷ 炒製 : 비교적 낮은 온도(文火) 이용

▷ 燙製 : 비교적 높은 온도(武火) 이용

  • 종류

① 淸炒法 : 炒黃 (文火), 炒焦(中火), 炒炭 (武火) (by 가열 온도)

② 加輔料炒法(固體輔料炒法) : 麩炒 ∙ 土炒 ∙ 米炒 등 (by 輔料의 종류)

③ 燙炒 : 砂燙炒, 蛤粉燙炒, 滑石粉燙炒 등 (by 輔料의 종류)

  • 炒製의 목적

① 약물의 性能이나 偏性을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개변 (독성, 부작용, 자극성 감소, 過寒過燥의 偏性 완화 등)

② 맛과 향을 변화시켜 矯臭 ∙ 矯味 ∙ 賦色 ∙ 健脾 등 유도

③ 분쇄를 용이하게 하여 약물의 추출 효율 증가 유도

④ 조제 편이성 증대 및 보존성 향상

 

1) 淸炒法

  • 정의

: 보료를 사용하지 않고 약물을 일정하게 볶아 식히는 방법

  • 목적

▷ 약물의 추출 효율 증대 = 치료 효과 ↑

: 질이 견실한 種子類와 같은 약물(決明子 牽牛子 牛蒡子 酸棗仁 등)에 적용 (逢子必炒, 逢子必搗)

▷ 약물의 흡수 효율 증대 (消導作用 증강 in the book)

: 山査 麥芽 神麯 檳榔 등은 높은 확률로 소화기장애질환에 응용되므로 약물 복용으로 인한 소화기계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초제하였음. 이와 유사한 상황을 ‘健脾消導의 작용이 증강‘되었다고 말함.

▷ 약물의 보존성 증대 : 효소가 가열(약 70℃ 내외)로 인해 불활성화되고 잔존 수분을 제거하므로 보존성이 높아짐

예. 槐花 杏仁 荊芥 등 glicosides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약물

▷ 부분적으로 炭化하여 止血力 상승 유도, 偏性 개변 등

  • 종류

: 가열 정도에 따라 炒黃 ∙ 炒焦 ∙ 炒炭으로 구분

炒黃 : 약 160~170℃로 표면황색으로 변하고 고유의 냄새가 날 정도

예. 種子類의 약재, 健胃消食藥, 배당체가 함유되어 있는 약재 등에 적용

炒焦 : 약 190~200℃ (中火 or 武火)로 표면황갈색, 내부황색이 될 정도(탄내, 焦香氣味가 약간 나므로 炒焦라고 함)

예. 山査 川楝子 梔子 檳榔 등

炒炭(炒黑) : 약 220~300℃ (中火 or 武火)로 표면흑색 ~ 흑갈색, 내부황갈색이 될 정도로 가열. 단, 표면은 태울지라도 내부는 약성을 보존(燒存性)할 수 있도록 가공.

– 대부분 지혈력 증강을 목적으로 응용

예. 荊芥 地楡 側柏葉 (大薊, 小薊, 白茅根, 牧丹皮, 川椒, 貫衆, 槐角, 乾薑, 烏梅, 蒲黃, 卷柏 등)

– 특정 약물의 부작용 감소

예. 乾漆 (실제로는 悶煅法으로 포제함. 자세한 내용은 ‘건칠(乾漆) Toxicodendri Resina, etc.‘ 및 ‘Urushiol의 화학적 변화를 통한 건칠(乾漆)의 포제법(炮製法) 고찰‘ 참조 )

  • 방법

: 특정 용기를 낮은 온도로 가열 → 약물 투입 → 쇠주걱 혹은 죽추(竹帚. 대나무로 만든 빗자루)로 원하는 색으로 변할 때까지 교반 → 그늘에서 식힘

  • 용기

┌ 수작업 : 냄비(斜鍋)나 프라이팬(平鍋) 등 사용

└ 기계작업 : 炒製機

  • 주의사항

① 크기에 따라 정선한 뒤 炒하여야 열의 조절이 편리

② 먼저 약한 불 (文火) 을 사용하고 나중에 센 불(武火)을 사용

③ 강한 불을 사용할 땐 쇠주걱을 사용

④ 炒炭(炒黑)의 경우 솥에서 꺼내기 전에 물을 뿌려 완전히 소화시킴 ⑤ 용기에서 꺼낸 후 즉시 그늘에 널어 放冷

 

2) 加輔料炒法

  • 정의

: 일정 온도에 이르도록 미리 가열한 특정한 보료에 대상 약물교반하여 가열하는 방법

  • 종류

▷ 사용하는 보료에 따라 麩炒ㆍ米炒ㆍ土炒ㆍ砂炒ㆍ蛤粉炒ㆍ滑石粉炒 등으로 나눔.

▷ 砂炒ㆍ蛤粉炒ㆍ滑石粉炒는 다른 加輔料炒 보다 온도를 높게 하여 炒하여야 하므로, 달리 炒燙이라고 함

  • 목적

: 보료를 열전달매개체로 이용하여 고르게 열 전달

① 質을 연하게 하고

② 毒性을 감소시키거나 藥性을 완화하고

③ 치료효과를 높임

 

麩炒

  • 정의

: 적당량의 (밀기울)을 보료로 사용하는 炒法

  • 목적

▷ 健脾力 증강 : 약물의 분해흡수 효율 증강 (醒脾和胃 효능 증강)

예. 健脾利濕의 약물 중 白朮 山藥 薏苡仁 芡實 神麯 등

▷ 藥性 완화 : 다량의 精油를 함유한 약물의 부작용 감소(麩炒製抑酷性勿傷上膈)

예. 枳殼 枳實 白朮 등

▷ 矯味矯臭 : 역한 비린내가 있는 약재의 냄새 완화

예. 白殭蠶 등의 昆蟲類, 烏梢蛇 등의 蛇類

  • 방법

: 용기 가열 → 밀기울(麥麩) 투입 → 밀기울의 색이 변하면서 연기가 날 때까지 교반(薰炒) → 대상 약물 투입 → 급격히 교반하며 표면이 연황색~진황색이 될 때까지 볶음 → 체로 밀기울과 찌꺼기를 쳐내고 서늘한 곳에서 식힘

 

米炒

  • 정의

: ()을 보료로 사용하는 炒法

▷ 稻米 : 性平味甘, 補中益氣 健脾和胃 除煩止渴 止瀉痢. 주성분으로 전분, 단백질, 지방, 광물질을 함유하며 소량의 비타민 B가 들어있고, 여러 종류의 무기염류 및 糖類를 함유.

  • 목적

▷ 약물의 健脾止瀉 작용을 높임

예. 黨參

▷ 약물의 독성을 감소시키고 역겨운 香臭를 교정

예. 斑猫 등

  • 방법

: 용기 가열 → 쌀(米) 투입 → 연기가 날 때까지 炒 → 약물 투입 → 쌀이 황갈색이 되고 약물이 변색되거나 또는 규정된 정도에 도달 → 체를 쳐서 焦米를 제거하고 서늘한 곳에서 식힘

  • 보료용량

: 약물 100kg당 쌀 20kg 사용

 

土炒

  • 정의

: 伏龍肝 또는 황토 가루를 보료로 사용하는 炒法

▷ 伏龍肝(竈心土) : 性溫 味辛. 溫中止嘔 健脾止血. 주성분은 규산염과 산화철 등이고, 나트륨 칼륰 마그네슘 텅스텐 등의 산화물도 함유

  • 목적

: 補脾安胃止泄의 효능 증강

예. 山藥 白朮

  • 방법

: 용기 가열 (文火) → 竈心土 가루 투입 → 가볍고 부드러운 상태가 될 때까지 교반 → 약물 투입 → 약물 표면이 황색으로 변하고 약물 특유의 냄새가 날 때까지 교반 가열 → 체로 竈心土 제거 → 서늘한 곳에서 식힘

  • 보료용량

: 약물 100kg당 흙 25~30kg 사용

  • 주의사항

: 흙은 炒製 후 다시 사용할 수 있으나, 만약 黑色으로 변하면 교체해야 함.

 

砂炒 또는 砂燙炒

  • 정의

: 모래보료로 사용하하여 武火로 가공하는 炒法

▷ 砂 : 깨끗한 고운 모래를 체로 쳐서 굵은 모래와 잡질을 거르고 武火로 한번 볶아 유기물질과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한 뒤 사용

  • 목적

▷ 調劑와 製劑를 편리하게 함 : 質이 딱딱한 약재 분쇄 용이 & 추출 효율 증가

예. 狗脊 穿山甲 虎骨 등 ( 穿山甲 虎骨 ⊂ CITES )

▷ 毒性 偏性 감소

예. 馬錢子

▷ 矯味矯臭

▷ 비약용부위 제거 (정선 용이)

예. 狗脊 骨碎補 馬錢子

  • 방법

: 모래 가열 → 100℃ 이상에 이르면 약물 투입하여 교반하면서 온도를 높임 → 약물이 보이지 않게 섞은 후 잠시 뚜껑을 덮었다가 신속하게 뒤집으면서 炒 → 표면이 누렇게 부풀어 오를 때까지 반복 → 체로 모래 제거 후 식힘

 

蛤粉炒 또는 蛤粉燙炒

  • 정의

: 蛤粉보료로 사용하여 武火로 가공하는 炒法

▷ 입자가 곱기 때문에 열 전달력이 모래에 비하여 완만함

▷ 動物性의 膠質類 약물에 적용

예. 阿膠 제조

  • 목적

▷ 製劑와 調劑 편리성 증대 (질을 성글게 만듦)

▷ 滯膩한 性을 제거

▷ 矯味矯臭

▷ 淸熱化痰 효과 증강

  • 방법

: 砂燙炒와 동일하며 약물의 색이 黃色이 되거나 혹은 起泡가 발생할 정도까지 볶음

 

滑石粉炒 또는 滑石粉燙炒

  • 정의

: 滑石粉보료로 사용하여 武火로 가공하는 炒法

▷ 입자가 곱기 때문에 열 전달력이 모래에 비하여 완만함

動物皮類 약물에 적용

  • 목적

▷ 製劑와 調劑 편리성 증대 (질을 성글게 만듦)

예. 象皮 黃狗腎

▷ 毒性 감소 또는 偏性 조정

예. 水蛭

▷ 矯味矯臭

  • 방법

: 砂燙炒와 동일하며 약물의 색이 黃色이 되거나 혹은 起泡가 발생할 정도까지 볶음

 


제6장 藥物의 炮製 – 바로가기

제1~2절 炮製의 정의와 목적

제3절 藥物의淨選

제4절 飮片切除

제5절 補助材料 : 고체보료, 액체보료

제6절 炮炙 : 炒法, 炙法, 煅法, 煨法, 烘焙法, 蒸法, 煮法, 燀法, 熬法(燉法), 醱酵法, 發芽法(蘗法), 製霜法, 提淨法, 水飛法, 乾溜法, 기타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요약 기술하고, 학술적 견해를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총론 강의자료의 오류 교정 및 수정, 보충 사항을 지속적으로 알리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16:111-148.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231-299.
3: 강병수,서부일,최호영. 한약포제와 임상응용. 서울:영림사. 2007:15-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