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재료 : 고체보료(固體輔料)
제5절 보조재료 – 1. 固體輔料 : 포제에 사용하는 첨가제를 보료(輔料)라고 한다. 형태가 일정치 않은 약재의 균등한 열처리가 주목적일 때는 고체보료를 사용하여 초(炒)하였다. 일반적으로 빠르고 짧은 열처리가 필요하면 모래를 뜨겁게 달궈 사용하고, 느리고 긴 열처리가 필요하면 합분이나 활석분을 사용하였다. 그외 열처리와 함께 불필요한 성분의 제거, 불쾌한 냄새 제거, 잡질 제거, 방부 처리 등의 부가 효과를 얻기 위하여 쌀이나 밀기울, 백반, 두부, 흙 등을 사용하였다. 여기에서는 고체보료의 대강을 기술하였다.
• 輔助材料(輔料) : 炮製에 사용하는 첨가제
• 輔料 사용의 목적
▷ 가공 편이성 증대 : 열전달의 매개체
▷ 藥性 변화 유도 : 적용 범위 또는 방향의 변화, 偏性의 완화 또는 제거, 효력의 증강 등
• 輔料의 종류
▷ 고체 보료 : 米, (小)麥麩, 白礬, 豆腐, 土(or 伏龍肝), 硼砂, 蛤粉, 滑石粉, 河砂, 朱砂 등
▷ 액체 보료 : 酒, 食醋, 蜂蜜, 食鹽水, 米泔水, 藥汁(生薑汁, 甘草汁, 黑豆汁, 膽汁 등), 麻油, 食用油, 羊脂油, 鱉血, 石灰水, 童便, 乳 등
1. 固體輔料
○ 米 (쌀, rice)
• 米 : 벼과 (Poaceae ; Gramineae ; 禾本科)에 딸린 한해살이풀인 벼 Oryza sativa L.의 胚와 胚芽.1
• 성미효능 : 性平 味甘. 補中益氣 健脾和胃 除煩止渴 止瀉痢
• 사용목적 : 자극성과 독성의 감소, 補中益氣의 효능을 높일 목적
○ (小)麥麩 (밀기울, wheat bran)
• 麥麩 : 벼과 (Poaceae ; Gramineae ; 禾本科)에 딸린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인 밀(小麥) Triticum aestivum L.의 胚와 胚芽를 제거한 種皮. 즉, 밀의 ‘겨’. 4
• 성미효능 : 平 甘淡. 健脾開胃 和中化滯 등
• 사용목적 : 약물의 燥性 완화 또는 불쾌한 냄새 제거.
• 적용예시 : 枳殼 枳實 白殭蠶 蒼朮 白朮 등
○ 白礬 (명반, Alum)
• 白礬 : 황산염광물인 명반석(明礬石) Alunite을 煎煉하여 얻은 결정체로, 황산알루미늄칼륨수화물 [KAl(SO4)2·12H2O] 99.9% 이상을 함유. 5
• 성미효능 : 酸寒. 解毒殺蟲 收斂燥濕 祛痰 防腐
• 사용목적 : 약물의 腐爛을 방지하고 毒性을 감소시키며 치료효과 증강.
• 적용예시 : 半夏 天南星 白附子 禹附子 등
cf. 고백반(枯白礬) : 가열하여 결정수를 제거한 것
cf. 붕사(硼砂) : 單斜晶系의 광물인 硼砂 Borax를 채취하여 정제한 결정체 (Na2B4O7·10H2O 또는 Na2[B4O5(OH)4]·8H2O)로, 천연으로 생산되는 硼酸을 미세하게 분말로 한 뒤 NaCO3 등으로 중화하여 析出시켜 사용
→ 국내 공정서 미수재품.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수 없음.
○ 豆腐 (두부, bean curd)
• 豆腐 : 콩과(Fabaceae, Leguminosae)에 딸린 콩 Glycine max (L.) Merr.의 종자를 특정 방법으로 가공하여 얻은 미색의 고체. 물에 불린 후 분쇄하여 짜낸 콩 물을 끓인 다음 간수를 넣어 엉기게 만듦. 6
• 성미효능 : 甘涼. 益氣和中 生津潤燥 淸熱解毒
• 사용목적 : 약물의 毒性을 감소시키거나 이물질을 제거.
• 적용예시 : 珍珠 등
○ 土 (흙, soil) : 伏龍肝(竈心土), 黃土, 赤石脂 등
• 현재 伏龍肝을 구하기 어려워 대부분 멸균처리한 黃土를 사용하고 있음.
• 伏龍肝 : 부엌의 아궁이에서 나무나 풀을 오래 태우면서 熏燒된 흙. 7
• 伏龍肝 : 【性味】 辛溫 【效能】 溫中和胃 止區 止血 澀腸止瀉
• 사용목적 : 약물의 자극성을 감소해 주고 약물의 補脾安胃 止區止瀉하는 치료효과를 증강.
• 적용예시 : 白朮 山藥 當歸 등
○ 蛤粉 (clam shell powder)
• 蛤粉 : 文蛤 또는 靑蛤을 고열로 가열하여 분쇄한 분말8
① 文蛤 : 백합과 (Veneridae ; 簾蛤科)에 속한 연체동물인 文蛤 Meretrix meretrix (Linnaeus, 1758)의 貝殼.
② 靑蛤 : 同科에 속한 가무락조개[=모시조개](靑蛤) Cyclina sinensis Gmelin, 1791 의 貝殼 → 국내 공정서 미수재.
• 성미효능 : 鹹寒. 淸熱利濕 化痰 軟堅散結
• 사용목적 : 약물의 비린내를 제거하고 치료효과를 높임.
• 적용예시 : 阿膠
○ 滑石粉 (talcum powder)
• 滑石粉 : 규산염류의 광물인 활석 Talcum을 분쇄한 분말. 천연의 함수규산마그네슘 Mg3(Si4O10)(OH)2. 규산염 등을 함유. 9
• 성미효능 : 甘寒 . 利水通淋 淸熱祛暑
• 사용목적 : 고르게 가열할 수 있도록 열전달 매체로 사용.
• 적용예시 : 水蛭 刺猬皮10魚鰾膠
○ 河沙 (강모래, river sand)
• 沙 : 체로 걸러서 얻은 약간 굵은 하천의 모래로, 깨끗이 세척 건조하여 사용.
• 사용목적 : 고르게 가열할 수 있도록 열전달 매체로 사용. 독성 감소 또는 비약용부위 제거.
• 적용예시 : 馬錢子 穿山甲 狗脊 龜板 鼈甲 등
제6장 藥物의 炮製 – 바로가기
제1~2절 炮製의 정의와 목적
제3절 藥物의淨選
제4절 飮片切除
제6절 炮炙 : 炒法, 炙法, 煅法, 煨法, 烘焙法, 蒸法, 煮法, 燀法, 熬法(燉法), 醱酵法, 發芽法(蘗法), 製霜法, 提淨法, 水飛法, 乾溜法, 기타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요약 기술하고, 학술적 견해를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총론 강의자료의 오류 교정 및 수정, 보충 사항을 지속적으로 알리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16:111-148.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231-299.
3: 강병수,서부일,최호영. 한약포제와 임상응용. 서울:영림사. 2007:15-69.
각주
- 전분, 단백질, 지방, 광물질 등이 주요성분. 소량의 Vitamin B를 함유하고 여러 종류의 유기산류 및 당류를 함유
- 주홍매미(주홍날개꽃매미, 꽃매미) Huechys sanguinea (De Geer, 1773) 또는 동속근연곤충의 건조체. cantharidin을 함유한 大毒한 약물. 공정서 미수재 품목.
- 띠띤가뢰(黃黑小斑蝥) Mylabris cichorii (Linnaeus, 1764) 또는 중국가뢰(南方大斑蝥) M. phalerata (Pallas, 1781), 줄먹가뢰 Epicauta gorhami (Marseul, 1873)의 건조체. cantharidin을 함유한 大毒한 약물. KHP IV 수재 품목.
- 전분 단백질 및 비타민 등을 함유
- 무색 투명 또는 반투명하며 유리처럼 광택이 있음. 딱딱하나 쉽게 부서지고 약간 시고 떫은 맛이 나며 물에 잘 녹음.
- 단백질, 비타민, 전분 등을 함유.
- 규산염, 칼슘 등을 함유
- 산화칼슘 등을 함유.
- 녹색을 띤 흰색으로 활석 덩어리를 水飛나 細末하여 체로 걸러서 얻음
- 고슴도치 가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