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용안육

용안육(龍眼肉) Longanae Arillus

강의요약.  ‘심혈을 기울이다’라는 말이 있다. 한의학에서는 사람이 여러 가지 일에 대하여 과도하게 생각(思慮)하면 심혈(心血)을 급속도로 소모하여 심(心)과 비(脾)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1고 한다. 끊임없는 잡생각은 인체 운영에 필요한 필수 요소인 영혈(營血)을 빠르게 소모시키는데, 이는 곧 영혈 생산의 첫 주자인 소화기계(脾)의 지속적인 부담을 초래한다. 이러한 상황이 장기간 지속되어 소화기계의 기능저하가 만성화된 시점(脾虛)부터는 만들어 내는 영혈의 양보다 소모되는 양이 많아지게 되기에 종국에는 건망, 실면, 허번, 정충 등의 심혈허(心血虛)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과도한 생각뿐만 아니라 과로 또는 노화 등으로 인체의 기능이 저하되었을 때도 마찬가지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에 혈분(血分)의 영음(營陰)을 보충하고 소화를 돕는 용안육(龍眼肉)을 사용한다. 특히, 정충(怔忡)이 나타날 정도로 허증(虛證)이 확실한 경우에는 영기(營氣)를 보하는 대조(大棗)와 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용안육이 사용된 대표 처방으로는 귀비탕(歸脾湯)이 있다.

 

【본초명《출전》】 龍眼肉 《本經》

【생약명】 Longanae Arillus

【이명】 龍眼 益智≪本經≫ 圓眼 蜜脾≪綱目≫ 桂圓≪藥品化義≫ ≪本草再新≫ 龍眼乾≪泉州本草≫

【약성가】 龍眼味甘主歸脾 健忘怔忡益智宜

【기원】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 ; 無患子科)에 딸린 늘푸른큰키나무인 龍眼 Dimocarpus longan Lour. [= Euphoria longana Lam. ]의 성숙한 果實의 假種皮(헛씨껍질)로, 여름과 겨울에 果實이 성숙할 때 채취하여 果皮를 제거하고 假種皮만 취하여 햇볕에 건조한다.

⊂ KP, ChP, JP, DPRKP

  속씨식물군 (被子植物群 ;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군 (眞雙子葉植物植物 ; eudicots)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核心眞雙子叶植物 ; core eudicots)
        장미군 (薔薇類植物 ; rosids)
          아욱군 (錦葵類 ; malvids) – 진정장미군 II (眞薔薇二類植物 ; eurosids II)
            무환자나무목(無患子目 ; Sapindales)
              무환자나무과(無患子科 ; Sapindaceae)

용안육

용안육

【성상】

留皮한 상태로 건조한 것은 색깔이 검고, 去皮하여 건조한 것은 색깔이 노란색이다. 알이 크고 육이 두텁고 질이 세밀하고 부드럽다.

【산지】

중국의 華南(廣東 廣西 福建 臺灣), 西南(雲南 四川 貴州) 등에서 재배한다.

【성분】

건조된 과육에는 가용성 부분(79.77%), 불용성 물질(19.39%), 회분(3.36%) 등이 함유되어 있다. 가용성 부분에는 glucose, sucrose, 산류(tartaric acid류), 함질소화합물(adenine, choline 등) 등이 함유되어 있다. 휘발성 정유성분으로는 trans-ocimene, trans-caryophyllene, ethyl acetate 등의 61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dihydrophaseic acid-4′-O-β-glucoside, 단백질, 지방, vitamin B1,B2,P,C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내분비 조절(프로락틴·에스트로겐·테스토스테론↓; 프로게스테론·난포자극호르몬↑), 항산화, 진통, 돌연변이 억제 작용을 한다.
· 胃酸과 결합하여 단백질의 소화를 돕는 효소의 작용을 도와준다.

 

【성미】 性平 味甘    【귀경】 心脾經

【효능】 補益心脾 養血安神

【주치】 氣血不足 心悸怔忡 健忘失眠 血虛萎黃

【해설】

甘溫質潤 入心脾二經 → 補益 滋養 營血 → 安神 → 治心脾血虛

1. 補益心脾 : 體虛老弱 氣血不足 등으로 인한 少氣自汗 面色淡白 萎黃 등에 응용

2. 養血安神: 思慮過多 勞傷心脾하여 나타난 失眠 健忘 驚悸 怔忡 등에 응용

3. 大棗와 煎服하여 神經性 心悸亢進症 등에 응용

4. 龍眼肉 vs 酸棗仁 : 能養血安神

┌ 龍眼肉 : 長於補益心脾以益智安神 → 治勞傷心脾 氣血不足 驚悸怔忡 失眠健忘 등.
└ 酸棗仁 : 酸收偏於入肝 長於內補 營血安神 → 治心肝兩虛 心神失養 虛火妄動 營陰外泄所致的虛煩不眠 驚悸不安 神怯多夢 등.

【포제】 生用 혹은 煮熟하여 사용

【용량】 6~12g2

【금기】 濕邪가 阻滯하여 中滿된 症狀과 혹은 停飮, 痰, 火가 있는 경우는 모두 복용을 忌

【배합례】

白朮 茯神 黃耆 酸棗仁 人蔘 木香 甘草 등과 配合되어 思慮過度 勞傷心脾 健忘 怔忡 등의 병증에 응용
귀비탕 歸脾湯《正體類要》 治跌撲等症 氣血損傷 或思慮傷脾 血虛火動 寤而不寐 或心脾作痛 怠惰嗜臥 怔忡驚悸 自汗盜汗 大便不調 或血上下妄行 其功甚捷
: 白朮 當歸 白茯苓 黃耆 龍眼肉 遠志 酸棗仁炒各一錢 木香五分 甘草炙三分 人參一錢. 上薑棗水煎服. 柴胡 山梔 加味歸脾湯. 가미귀비탕

② 龍眼肉과 설탕으로 膏劑를 만들어 補氣血 益心脾의 목적으로 응용
옥령고 玉靈膏=代參膏=龍眼膏《隨息居飲食譜》 大補氣血. 治衰羸老弱 別無痰火 便滑之病者 產婦臨盆服之尤效.
: 好龍眼. 自剝好龍眼 盛竹筒式瓷碗內 每肉1兩 入白洋糖1錢 碗口冪以絲綿1層. 日日於飯鍋上蒸之 蒸到100次 每以開水淪服1匙.

③ 桑椹子와 함께 술로 복용하여 血少陰虛의 병증에 응용
상룡주 藥酒=桑龍酒 《良朋彙集》卷三. 補益.
: 桑椹子曬乾四兩 龍眼肉四兩 燒酒十斤 晝曬夜露 十日開壇飲之.

④ 酸棗仁 山茱萸 柏子仁 등과 配合하여 心虛怔忡에 응용
정심탕 定心湯 《醫學衷中參西錄》上冊. 治心虛怔忡.
: 龍眼肉1兩 酸棗仁炒搗5錢 萸肉去淨核5錢 柏子仁炒搗4錢 生龍骨搗細4錢 生牡蠣搗細4錢 生明乳香1錢 生明沒藥1錢. 心因熱怔忡者 酌加生地數錢. 《內經》謂“心藏神” 神既以心爲會宇 即以心中之氣血爲保護 有時心中氣血虧損 失其保護之職 心中神明遂覺不能自主而怔忡之疾作焉. 故方中用龍眼肉以補心血 棗仁·柏仁以補心氣 更用龍骨入肝以安魂 牡蠣入肺以定魄. 魂魄者心神之左輔右弼也 且二藥與萸肉並用 大能收斂心氣之耗散 並三焦之氣化亦可因之團聚. 特是心以行血爲用 心體常有舒縮之力 心房常有啟閉之機 若用藥一於補斂 實恐於舒縮啟閉之運動有所妨礙 故又少加乳香 沒藥之流通氣血者以調和之. 其心中兼熱用生地者 因生地既能生血以補虛 尤善涼血而清熱 故又宜視熱之輕重而斟酌加之也.

⑤ 枸杞子와 함께 사용하면 補肝腎 益心脾의 효능이 증강되어 肝腎不足 心脾兩虛 氣血不足 등에 응용
보익기원주 補益杞圓酒《中國醫學大辭典》 補虛長智 開胃益脾 滋腎潤肺. 治五臟邪氣 七情勞傷 心痛煩渴 神志不寧.
: 枸杞子 龍眼肉 制酒服之.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의 오류 교정 및 보충 사항을 지속적으로 알리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32-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22-3.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253-4.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각주

  1. 한의학에서는 소화기계(脾)가 음식(水穀)에서 정미(精微, 생명활동에 필요한 물질)를 운화(運化)하여 얻어낸 영음(營陰)이 심화(心火, 또는 元陽과 같이 변화를 유도하는 근원적인 힘)에 의해 혈(血)로 화한다고 보았다. 심혈(心血)의 과도한 소모가 심(心)과 비(脾)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은 이러한 한의학적 이론에 기인한다. 심(心)이 혈(血)의 생성에 관여한다는 한의학이론은 여기를 참조한다.
  2. ChP는 9~15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