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저실자

저실자(楮實子) Broussonetiae Fructus

강의요약. 다른 근연 식물 기원의 본초가 상대적으로 효능이 좋아 더 많이 쓰인 탓에 빛을 못 본 것이 꽤 있다. 뽕나무과(Moraceae)에 딸린 뽕나무 열매인 ‘상심자(桑椹子)’라는 본초에 가려진, 같은 과에 딸린 꾸지나무나 닥나무의 열매인 저실자(楮實子)가 그러하여 처방에서의 사용례도 적은 편이다.

  그러나 극한의 영양부족에 시달린 옛사람들은 이러한 저실자마저도 영양을 보충하여 몸을 튼튼히 하는데 썼다. 그래서 전반적으로 전신이 쇠약해졌을 때 몸을 보하는 처방에 보조적으로 사용1된 예가 종종 보인다. 보명연령환이 그 예이다.

  영양 과다나 조절 실패 등으로 인한 질병이 흔한 지금은 사용 빈도가 그리 높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도 저실자를 자주 사용하는 질환이 있다. 극심한 피로나 노화로 인해 눈이 약해졌을 때나, 같은 이유로 앞이 뿌옇게 보일 때, 시력이 떨어졌을 때 등과 같은 허증의 눈병(目疾)에 응용한다. 비록 비슷하게 자양음혈(滋養陰血)하는 상심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효능은 떨어지지만, 저실자는 이러한 ‘명목(明目)’의 효능이 상대적으로 좋기에 예로부터 양간환이나 가감주경원 등과 같은 처방에 응용되었다.

 다만, 열매의 특성상 기름기가 많으므로 비위가 약한 사람에게는 볶아서 사용하거나 쪄서 사용하며, 실증에는 피하거나 다른 약물과 적절하게 배합하여 응용하여야 한다.

 

【본초명《출전》】 楮實子《別錄》

【생약명】 Broussonetiae Fructus

【이명】 穀實《別錄》 穀子《千金要方》 角樹子 野楊梅子 構泡

【약성가】 楮實味甘治陰痿 壯筋明目補虛奇

【기원】

뽕나무과(Moraceae ; 桑科)에 속한 落葉喬木인 꾸지나무(構樹) Broussonetia papyrifera (L.) L’Hér. ex Vent. 또는 닥나무(楮) B. kazinoki Siebold의 核果로, 8~10월 사이에 果實이 붉은색을 띨 때 채취하여 曬乾.

⊂ KHP, ChP

  속씨식물군(被子植物 ;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군(眞雙子叶植物 ; eudicots)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核心眞雙子叶植物 ; core eudicots)
        장미군(蔷薇類植物 ; rosids)
          콩군(豆類植物 ; fabids) – 진정장미군 I(眞蔷薇一類植物 ; eurosids I)
           장미목 (蔷薇目 ; Rosales)
             뽕나무과(桑科 ; Moraceae)
               닥나무속 (構屬 ; Broussonetia)

꾸지나무[꾸지나무]

저실자

【성상】

구형 혹은 卵圓形으로 조금 납작하며, 지름은 약 1.5~3㎜이다. 표면은 홍갈색으로 그물모양의 주름과 과립상의 돌기가 있고 한쪽에는 棱이 있어 융기되어 있고, 또 한쪽에는 움푹한 溝가 있으며 果梗이 붙어 있다. 質은 단단하면서 부스러지기 쉬우며 자른 면은 油質이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조금 쓰다. 적갈색으로 이물질이 없고 바깥 모양이 균일하여야 한다.

【산지】 한국과 중국 각지에 분포, 재배

【성분】

꾸지나무의 과실에는 saponin과 vitamin B, lipid oil등이 함유되어 있고, 종자에는 seed oil이 31.7%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 unsaponifiable 성분, 포화지방산,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기억·학습기능 향상, 노인성치매 억제, 수정체 손상억제 작용

 

【성미】 性寒 味甘     【歸經】 肝脾腎經

【효능】 補腎淸肝 明目 利尿

【주치】 腰膝酸軟 虛勞骨蒸 頭暈目昏 目生翳膜 水腫脹滿

【해설】

 1. 補腎淸肝 : 肝腎을 補하여 筋骨을 튼튼하게 하며 陽痿와 腰膝酸軟을 치료 (《本草求眞》非云陽痿由於陽衰 得此可以助陽也 若以純陰之品可以補陽)

 2. 明目 : 血虛頭暈과 目眩, 肝腎虛로 인한 翳膜 등을 치료

 3. 利尿 : 脾를 補하여 滲濕利尿시켜 水腫을 치료

【포제】 曬乾하여 사용하거나, 酒浸하거나 蒸熟焙用

【용량】 4~16g

【금기】 性이 寒하므로 脾胃虛寒의 경우에는 愼用

【배합례】

① 양간환 養肝丸 《古今醫鑑》(周古川傳)[批](按此方補虛明目之劑) 治肝經不足 眼目昏花 或生眵淚 久視無力 婦人血虛目疾
: 當歸 川芎 白芍藥 熟地黃酒蒸 防風 楮實子 車前子酒炒 蕤仁2去殼湯泡去皮. 上為末 煉蜜丸如梧桐子大. 每服七十丸 食遠白湯下.

② 가감주경원 加減駐景元 《東醫寶鑑》 治肝腎俱虛 兩眼昏暗
: 免絲子八兩 枸杞子 五味子 車前子 楮實子 川椒炒各一兩 熟地黃 當歸身 各五錢. 右爲末 蜜丸梧子大 空心溫酒 或鹽湯下 五七十丸[簡易]

③ 보신환 補腎丸《嚴氏濟生方》 治腎氣不足 眼目昏暗 瞳人不分明 漸成內障
: 磁石火煅醋浸七次水飛 菟絲子淘淨酒浸蒸別研 各二兩 五味子 熟地黃酒浸焙 枸杞子 楮實子 覆盆子酒浸 肉蓯蓉酒浸焙 車前子酒蒸 石斛去根 各一兩 沉香別研 青鹽別研 各半兩. 上為細末 煉蜜為丸 如梧桐子大 每服七十丸 空心 鹽湯送下.

④ 熟地黃 枸杞子 肉蓯蓉 牛膝 등을 配合하여 腎虛로 인한 陽痿와 腰膝酸軟에 응용
보명연령환 保命延齡丸 《楊氏家藏方》卷九 安神養氣 補填骨髓 起弱扶衰 潤澤肌膚 聰明耳目. 久服黑髭髮 牢牙齒 能夜讀細書 心力 不倦
: 苣勝子(去皮 9蒸9曬)1兩 補骨脂(酒浸1宿 焙)1兩 牛膝(酒浸1宿 焙)1兩 甘菊花1兩 天門冬(去心)1兩 菟絲子(酒浸1宿 濕杵作餅 火焙再杵)1兩 枸杞子1兩 人參(去蘆頭)1兩 肉蓯蓉(酒浸1宿 切 焙)1兩 白茯苓(去皮)1兩 巴戟(去心 生用)1兩 酸棗仁1兩 柏子仁1兩 山藥1兩 覆盆子1兩 五味子1兩 楮實1兩 天雄(炮 去皮尖)1兩 肉桂(去粗皮)4兩 生乾地黃8兩(切細 新瓦上炒令乾). 上爲細末 春夏用白沙蜜·秋冬用蒸棗肉爲劑 加好胡桃10枚(去皮) 同藥劑於臼內搗爲丸 如梧桐子大 每服30丸 加至50丸 空心·食前溫鹽湯送下

⑤ 용담산 龍膽散《仁齋直指方論》 治肝熱烏睛浮腫 赤暈昏疼
: 龍膽草 梔子仁各二錢 防風 川芎 玄參 荊芥 山茵陳 甘菊去萼 楮實 甘草各一錢. 上末 每服一錢半 食後 茶清調下.

⑥ 夏枯草 香附子 桑葉 등을 配合하여 冷淚에 응용
저실산 楮實散 《准繩·類方》卷七 治冷淚
 : 楮實子(去白膜 炒)半兩 夏枯草半兩 甘草半兩 香附子(炒)1兩 夏桑葉1兩. 上爲細末 熟水調服 不拘時候

⑦ 환소환 還少丸《楊氏家藏方》 大補本氣虛損 及脾胃怯弱 心忪恍惚 精神昏憒 氣血凝滯 飲食無味 肌瘦體倦 目暗耳聾.
: 乾山藥一兩半 牛膝酒浸一宿焙乾一兩半 白茯苓去皮 山茱萸 楮實 杜仲去粗皮生薑汁和酒炙令香熟 五味子 巴戟去心 肉蓯蓉酒浸一宿切焙乾 遠志去心 茴香 九味各一兩 石菖蒲 熟乾地黃洗焙 枸杞子 三味各半兩. 上件為細末 煉蜜入蒸熟 去皮核棗肉和勻 丸如梧桐子大. 每服五十丸 空心 食前 溫酒 鹽湯下 日三服. 若只一服 倍加丸數. 五日有力 十日眼明 半月筋骨盛 二十日精神爽 一月夜思飲食. 此藥無毒 平補性溫 百無所忌. 久服牢齒 身輕目明 難老 百病俱除 永無瘧痢 美進酒食 行步輕健.

⑧ 옥용산 玉容散 《古今醫鑑》 治面生皯𪒟 或生小瘡 或生痙痱 粉刺之類 並皮膚瘙癢 能去垢膩
: 皂角三斤去皮 升麻八兩 楮實子五兩 甘松五錢 三奈三錢 砂仁連皮五錢 天花粉一兩 白芷一兩 白芨一兩 糯米一升另研 白丁香五錢須臘月收者 綠豆一兩另研. 上為末 和勻 量用洗面 不惟馨香 亦且去垢. 一方加藿香五錢 樟腦一錢 為末 煉蜜為丸 如彈子大 清晨洗面最奇.

⑨ 石膏 茯苓 白丁香 등을 配合하여 水氣蠱脹을 치료
저실환 楮實丸=楮實子丸 《保命集》卷下 潔淨腑 治水氣鼓脹.
: 楮實子1斗(以水2斗 熬成膏) 白丁香1兩半 茯苓3兩(去皮) 上爲細末 用楮實膏爲丸 如梧桐子大 不計丸數 從少至多 服至小便淸利及腹脹減爲度 忌甘苦酸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의 오류 교정 및 보충 사항을 지속적으로 알리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56-7.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64-5.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221-3.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각주

  1. 이러한 이유로 일부 서적에서는 보기약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2. 蕤仁 : Rosaceae에 딸린 단화빈추나무(蕤核) Prinsepia uniflora Batalin 또는 齿叶扁核木 Prinsepia uniflora Batal. var. serrata Rehd. 의 成熟果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