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기(防己) Sinomenii Caulis et Rhizoma의 화학성분
written by : Jung-Hoon Kim. Division of Pharmacology, Pusan National Univ.
edited by : Guemsan Lee. Department of Herbology, Wonkwang Univ.
한약성분정보는 ‘운곡본초학 수재 한약재의 화학성분 제 2판(김정훈 외, 도서출판 우석, 2016)’의 내용을 발췌 및 정리하여 게시하였습니다. 해당 한약재에 함유된 성분 중 이차대사산물(secondary metabolites)을 주요 골격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습니다 (성분의 골격 분류 방법에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함을 일러드립니다).
방기(防己)류 한약재의 기원 및 유통상황, 한방효능, 형태특징, 감별요점 등은 여기를 참조바랍니다.
1. 목방기(木防己): 댕댕이덩굴(木防己) Cocculus orbiculatus (L.) DC.[= C. trilobus (Thunb.) DC.] 의 根
① Alkaloids : trilobine, isotrilobine, magnoflorine, trilobamine, normenisarine, menisarine, epistephanine, coclobine
2. 분방기(粉防己): 粉防己 Stephania tetrandra S.Moore의 根
① Alkaloids : tetrandrine1, fangchinoline1, cyclanoline, oxofanchirine, stephanthrine, berbamine, 2,2′-N,N-dichloromethyltetrandrine, fenfangjine A~D
3. 광방기(廣防己): 廣防己 Aristolochia fangchi Y.C.Wu ex L.D.Chow & S.M.Hwang의 根
① Alkaloids : aristolochic acid A (aristolochic acid I)/B/C, aristololactam, magnoflorine, mufongchin A~D
② Phenolic acid : p-coumaric acid, syringic acid
③ Diureides : allantoin
④ Steroids : β-sitosterol
1(S,S)-(+)-tetrandrine(粉防己碱, C38H42N2O6)과 fangchinoline(防己诺林碱, C37H40N2O6)의 총량을 1.4% 이상 함유 [CP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