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참거머리

수질(水蛭) Hirudo

강의요약. 고대 그리스 Colophain 지역의 Nicader (B.C. 200–130)의 저작  Alexipharmaca에도 거머리를 의료용으로 사용했다는 기록1이 있는 것처럼 고대의 동양에서도 오래전부터 거머리를 약으로 사용하였다. 고대의 서양2에서는 외과적 처치에서 혈액 응고를 방지하거나 종교적 목적으로 지속적인 방혈을 위해 거머리를 환부에 붙여 흡혈시키는 방식 등으로 사용하였다. 반면에, 동양에서는 참거머리나 말거머리의 몸체를 건조하여 ‘수질(水蛭)’이라는 이름의 복용 약물로 응용한 경우가 많았다. 특히, 부인의 아랫배에 생긴 덩어리(癥瘕)3는 이 약물 사용의 주요한 기준이었다. 즉, 당시에는 어혈(瘀血)의 개념이 명확치 않았던 터라 ‘손으로 촉진이 가능한 핏덩어리’라는 증상이 확실할 때야 제한적으로 사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저당탕(抵當湯)이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처방이다. 10세기 전후로 탈명산(奪命散)에서 보듯 외상으로 출혈이 생긴 후 회복되는 과정에서 체내에 발생할 수 있는 피떡(血餠) 형성을 억제하는 용도로 응용범위가 확장되었다. 그 뒤로 어혈(瘀血)의 개념이 확장 및 정립되어 감과 동시에 뭉친 피를 흩어지게 하는 약(破血藥)으로 완전히 자리 잡았으며, 지금의 혈액응고억제제와 대동소이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단, 다른 파혈약과 마찬가지로 이 약물로 인한 출혈은 지혈키 어려우므로 용량 및 용법, 금기를 엄격하게 준수하여야 한다.

 

【본초명《출전》】 水蛭 《本經》

【생약명】 Hirudo

【이명】 馬蜞《本草經集注》 馬蛭《新修本草》 至掌《爾雅》

【약성가】 水蛭味寒破積瘀 通經墮産折傷除

【기원】

거머리과(Hirudinidae)에 딸린 環節動物인 참거머리(水蛭 ; 日本醫蛭) Hirudo nipponia Whitman, 1886 또는 말거머리과(Haemopidae)에 딸린 말거머리(螞蟥 ; 寬體金線蛭) Whitmania pigra (Whitman, 1886)의 건조체로, 여름과 가을에 잡아 끓는 물에 죽인 다음 曬乾 또는 低溫에서 건조한 것

⊂ KHP, ChP, THP, DPRKP

Annelida 환형동물문
  Clitellata 환대강
    Arhynchobdellida턱거머리목
 
     Hirudinea 거머리과
       Haemopidae 말거머리과

【성상】

참거머리

① 참거머리(水蛭):납작한 긴 圓柱形으로 … 길이 2~5㎝, 너비 0.2~0.3㎝ …

 

② 말거머리(螞蟥):납작한 紡錘形 … 길이 6~12㎝, 너비 0.5~2㎝ … 앞쪽의 吸血盤은 뚜렷하지 않고 뒤의 吸血盤은 비교적 크다. …

 

【산지】 우리 나라의 沼澤地와 논에 분포하며, 中國의 各地에 분포한다.

【성분】

∙ 참거머리(水蛭)와 말거머리(螞蟥)에는 17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는데, 주요 아미노산으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valine 등의 함량이 가장 높다. 그리고 phosphoglyceride, 주요 단백질로 heparin, antithrombin 및 신선한 수질의 타액에는 일종의 항응고물질인 hirudin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무기원소가 함유되어 있다.

∙ 1g당 혈액응고효소 억제 활성 : 참거머리(水蛭)는 16.0U 이상, 말거머리(螞蟥)는 3.0U 이상

【작용】

∙ 抗凝血 작용이 있다. hirudin은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혈액응고효소 억제제이다. 혈액응고 활성은 건조품보다 신선품이, 꼬리쪽보다 머리쪽이 더 강력하다.

∙ 혈액점도 감소, 혈중지질 개선(TC↓; HDL↑), 동맥경화 억제, 뇌혈관보호 작용을 한다.

∙ 신장병변(신염, 신세관 괴사, 만성신부전 등) 억제, 당뇨합병증(신장손상, 망막손상 등) 억제, 임신억제, 허혈성 폐손상 억제, 소염 작용을 한다.

 

【성미】 性平 味鹹苦 小毒   【귀경】 肝經

【효능】 破血 逐瘀 通經

【주치】 癥瘕痞塊 血瘀經閉 跌打損傷

【해설】

1. 辛散 苦泄 ← 肝經血分에 入 ←  破血消癥 : 血瘀로 인한 經閉와 癥瘕積聚, 蓄血發狂 및 跌撲損傷의 重證을 치료하는데 적용

2. 破血逐瘀하고 通經消癥하는 효능이 강하므로 孕婦와 瘀血이 없는 者는 服用을 忌

【포제】 切斷하여 사용하거나, 滑石粉炒 또는 猪油로 炒하여 사용

【용량】 4~8g.

【금기】 體弱血虛者, 無瘀血停聚 및 孕婦는 服用을 忌

【배합례】

① 지황통경환 地黃通經丸《校註婦人良方》 治月經不行 或產後惡露 臍腹作痛
: 熟地黃自製四兩 芒蟲去頭翅炒 水蛭糯米同炒黃去糯米 桃仁去皮尖各五十枚. 右為末蜜丸 桐子夫 每服五七丸 空心溫酒下.

저당탕 抵當湯《傷寒論》 治太陽病 身黃 脈沉結 少腹鞕 小便自利 其人如狂者
: 水蛭 虻蟲去翅·足 各三十個 桃仁二十個去皮·尖 大黃三兩酒洗. 上四味 以水五升 煮取三升 去滓. 溫服一升 不下 更服.

③ 이충환 理衝丸《醫學衷中參西錄》 治婦女經閉不行或產後惡露不盡 結為癥瘕 以致陰虛作熱 陽虛作冷 食少勞嗽 虛證遝來. 服此湯十餘劑後 虛證自退 三十劑後 瘀血可盡消. 亦治室女月閉血枯. 並治男子勞瘵 一切臟腑癥瘕 積聚 氣鬱 脾弱 滿悶 痞脹 不能飲食
: 水蛭一兩不用炙 生黃耆一兩半 生三棱五錢 生莪朮五錢 當歸六錢 知母六錢 生桃仁六錢帶皮尖. 上藥七味 共為細末 煉蜜為丸桐子大 開水送服二錢 早晚各一次.

④ 탈명산 奪命散《嚴氏濟生方》 治金瘡打損及從高墜下 木石所壓 內損瘀血 心腹疼痛 大小便不調 氣絕欲死
: 紅蛭用石灰慢火炒令焦黃色半兩 大黃二兩 黑牽牛二兩. 上件爲末 每服三錢 用熱酒調下 如人行四五裡 再用熱酒調牽牛末二錢催之 須臟腑轉下惡血成塊或成片 惡血盡即愈

⑤ 소어탕예탕 消瘀蕩穢湯 《方藥合編》增補116. 治血鼓
: 水蛭 黑丑 用火約炒一兩取頭末 各三錢 當歸二兩 雷丸 紅花 枳實 白芍 牛膝 各三錢 桃仁四十粒去皮尖. 水煎 一服血下 不必再用 斷用八珍湯等 大補氣血

⑥ 보기사영탕 補氣瀉榮湯《壽世保元》 一論治癘風. 手足麻木 毛落眉脫 滿身癩疹 搔癢成瘡等症.
: 黃芪 當歸 生地黃 黃連各三分 人參二分 黃芩四分 連翹 升麻各六分 甘草一錢五分 全蠍二分 虻蟲一枚去足微炒 桃仁二個 蘇木 梧桐淚 地龍各三分 水蛭三枚炒盡煙 桔梗五分 麝香少許. 上銼一劑 水煎溫服.

⑦ 파혈소통탕 破血消痛湯《醫宗金鑑》 傷損內
: 羌活 防風 官桂各一錢 蘇木一錢半 柴胡 連翹 當歸梢各二錢 麝香另研少許 水蛭炒去煙盡另研二錢. 以上為粗末 共一服 酒二大盞 水一盞. 水蛭麝香另研如泥 餘藥煎至一大盞 去火 稍熱 調二味服之 兩服立癒.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62-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89-90.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61-2.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각주

  1. I.S Whitaker, J Rao, D Izadi, P.E Butler. Historical Article: Hirudo medicinalis: ancient origins of, and trends in the use of medicinal leeches throughout history. British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004:42(2): 133-137. doi.org/10.1016/S0266-4356(03)00242-0
  2. 1884년 Haycraft에 의해 거머리의 타액에서 Hirudin이라고 명명한 항응고제를 발견한 뒤로 Markwardt에 의해 1955년에 Hirudin 분리에 성공하며, 유전공학의 발달로 1986년에 이르러 대량 생산되었다(I.S Whitaker et al. 2004).
  3. 징가(癥瘕). 위치가 일정하며 변동이 없는 것을 징(癥)이라 하고, 위치가 변하거나 크기가 일정치 않은 것을 가(瘕)라고 한다. 현대의 자궁근종이나 난소낭종, 자궁임신외임신 등의 질병을 폭넓게 아우르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