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익모초(益母草) Leonuri Herba

익모초(益母草) Leonuri Herba

강의요약. 산후의 모든 증상에 쓰여 산모에게 도움이 된다는 뜻1에서 ‘익모초(益母草)’라 이름 붙었다고 한다. 꿀풀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로 조선시대에는 ‘암눈비얏’으로 불렸으며 지금도 한적한 시골길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한방에서는 줄기와 잎의 지상부를 ‘益母草’, 열매를 ‘茺蔚子’라고 구분하여 사용한다.
 ‘익모(益母)’라는 이름은 2-3세기의 본초전문서에도 등장하나, 이 당시의 주요한 약용부위는 열매로 그 효능을 ‘눈을 밝게 하고 정(精)을 더하며 수기(水氣)를 덜어낸다.2’라고 표현하였다. 5-6세기에도 주요한 약용부위는 열매로 기록되어 있으며 ‘피가 거꾸로 솟는 것, 열이 심한 것, 두통, 가슴이 답답한 것을 다스린다.3’는 내용이 앞서의 효능에 추가되었다.
 그러나 잎과 줄기에 대한 내용은 다소 빈약하여  2-3세기는 ‘줄기는 두드러기로 가려운 것을 다스리는데 목욕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4’는 기록만 있을 뿐이다. 그 뒤로 5-6세기의 ‘익모초를 끓여서 먹인다.5’는 기록과 7세기의 ‘익모초의 줄기를 찧어서 정종(疔腫)6에 붙이고 즙을 복용하여 정종(疔腫)이 안에서 사그라지게 한다. 또한 사산한 태아가 뱃속에 있거나, 산후의 혈창(血脹)7으로 답답한 것, 모든 잡다한 심한 붓기와 여기저기 피부가 붉어짐을 동반하는 붓기에 사용한다.8’는 기록으로 보아 점차 열매 이외의 약용부위에 대한 경험이 쌓인 듯하다. 급기야 10세기에는 익모초의 열매인 충위자의 설명에 ‘산후의 혈창(血脹)에는 싹과 잎이 같은 효능이 있다.9’고 하였다. 그 뒤로 유사한 기록이 반복되므로 10세기에는 이미 열매와 지상부가 아울러 쓰였다고 추정된다. 
 그러나 그 응용에 있어서는 후대에 눈병(眼疾)에 점차 국한되는 충위자10와는 달리 지상부에 해당하는 익모초는 앞에서 언급된 다양한 질환에 응용되었다.  그 중에서도 부인의 자궁에 혈행이 몰려 생긴 각종 어체(瘀滯)가 주요한 적용 대상이었다. 근대 초의 《청강의감》에서 달거리의 통증, 난산, 산후의 오로, 대하 등에 익모초를 사용11한 것 또한 이러한 응용에 부합된다. 이러한 한방에서의 응용이 민간에 까지 널리 퍼져 현재는 일종의 산후조리약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익모초는 혈이 몰려 생긴 혈열(血熱)이나 혈허열(血虛熱)의 증상에 응용12하는 약물이므로 열증이 없는 상태에 단방으로의 응용은 피하는 게 좋다.
 그 외 응용 질환 중 ‘수기(水氣)’는 근대에 들어서 ‘산후부종13’보다는 실증의 임증(淋證)에 응용되는 경향이 강해진다. 청탁거독환(清濁祛毒丸) 등의 처방에서 응용례를 찾아볼 수 있다.
 이외에 자궁에서와 마찬가지로 머리에 혈이 몰려 생긴 동통에 응용하는 예가 근현대 중국의 처방에 자주 관찰된다는 것 또한 익모초의 주요한 특징이다. 천마구등음(天麻鉤藤飲)이 대표적인 예인데, 이는 한 여름 땡볕에 오래 있어 더위 먹었을 때 익모초즙을 복용하던 민간요법이 흡수된 경우라 할 수 있다.

 

【본초명《출전》】 益母草《神農本草經》 

【생약명】 Leonuri Herba

【이명】 茺蔚《本經》 益明《本經》 益母《本經》 貞藯《別錄》

【약성가】 益母草甘最宜婦 祛瘀生新産前後

【기원】

꿀풀과(Lamiaceae ; Labiatae ; 脣形科)에 속한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인 익모초(암눈비앗;益母草) Leonurus japonicus Houtt.地上部로, 여름철에 莖葉이 무성하고 꽃이 피기 전에 채취하여 曬乾한다.

⊂KP, ChP, THP, JP, DPRKP, HKCMMS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群)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花類植物)
      꿀풀군 (Lamiids ; 唇形類) – 진정국화군 I (Euasterids I ; 眞菊花一類植物)
         꿀풀목 (Lamiales ; 唇形目)
            꿀풀과 (Lamiaceae ; Labiatae ; 脣形科)

익모초(益母草) Leonurus japonicus

[ 익모초 Leonurus japonicus Houtt. ]

【성상】

익모초(益母草) Leonuri Herba

[ 익모초(益母草) Leonuri Herba ]

네모난 줄기와 여기에 달린 잎과 꽃이다. 줄기는 길이 30~60㎝, 지름 0.5㎝로 黃綠色 또는 綠褐色을 띠며 흰 짧은 털이 밀생되어 있다. 줄기의 단면에는 白色의 커다란 髓가 있고 질은 가볍다. 잎은 3深裂 또는 全裂로 줄기에 對生으로 붙어 있고 상면은 엷은 綠色을 띠며 하면은 白色의 짧은 털이 밀생하고 灰綠色이다. 꽃은 葉腋에 윤생으로 밀생되고 꽃받침은 통상으로 끝이 5갈래로 갈라지며 엷은 녹색 또는 綠褐色이다. 꽃잎은 순형으로 엷은 赤紫色 또는 褐色이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고 수렴성이다.

【산지】

우리 나라 各地에 분포하며 재배하기도 한다.

【성분】

∙ 익모초의 전초에는 alkaloid 성분으로 leonurine, stachydrine 등이 있고, terpenoid 성분으로 prehispanolone, hispanolone, galeopsin, preleoheterin, leohete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자궁흥분 작용이 있다.
∙혈압강하, 심장의 산화적손상 억제, 혈소판 응집억제, 항혈전 작용이 있다.
∙이뇨, 면역증강, 신장손상 억제 작용을 한다.

 

【성미】 性微寒 味苦辛     【귀경】 心肝膀胱經

【효능】 活血調經 利水消腫

【주치】 月經不調 痛經 經閉 惡露不盡 水腫尿少

【해설】 《本草求真》  益母草 消水行血 去瘋生新 調經解毒 爲胎前胎後要劑

1. 活血調經 : 辛開苦泄 寒涼淸熱 入心肝血分 活血調經

① 婦女의 모든 瘀血證에 응용 (婦科經産의 要藥)

② 실제로 止血의 효능은 없음에도 불구하고 崩漏下血에 응용

→ 瘀血祛則生新血 自止血

2. 利水消腫 (血不行則血化水 水不行則溢於全身肌膚 生水腫)

① 민간에서 신선한 것을 解暑의 목적으로 응용 but, 燥證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

② 利尿의 작용은 약하므로 이미 浮腫이 된 證에 다른 利水藥과 배합하여 보조적으로 응용

3. 성질이 완만하여 일반적인 産後病인  瘀血 下血 浮腫에 多用

But, 實證에 응용하는 약물이므로 무작정 산모에게 단방으로 응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 《本經逢原》 若脾胃不實 大腸不固者勿用

【포제】

洗淨하여 潤透하고, 切斷하여 사용한다.

【용량】

12~20g.

【금기】

下血이 瘀滯病證로 인하지 않은 者는 마땅하지 않으며, 孕婦는 服用을 禁한다.

【배합례】

① 人蔘 白朮 當歸 川芎 熟地黃 등을 配合하여 婦人氣血兩虛, 月經不調, 赤白帶下, 經久不孕, 胎不安 등에 응용
팔진익모환 八珍益母丸《古今醫統大全》 專治氣血兩虛 脾胃並弱 飲食少思 四肢無力 月經違期 或先期而至 或腰疼腹脹 緩而不至 或愆期不收 或斷或續 或赤白帶下 身作寒熱 服之罔不獲效. 一月之後 即可受胎. 虛甚者用藥一斤 必能對期受孕.
: 益母草四兩 不見鐵器 止用上半截帶葉者 人參去蘆 白朮土炒 茯苓去皮 炙甘草去皮 當歸酒洗 川芎 白芍藥醋炒 熟地黃酒洗. 上為末 蜂蜜為丸 如彈子大. 空心蜜湯下一丸. 如不能嚼者 丸以細粒如小豆大 每服七八十丸. 脾胃虛寒者 加砂仁一兩薑汁炒. 腹中脹悶者 加山楂一兩淨肉飯上蒸. 只常多食者 加香附子一兩 童便制.

② 靑蒿 丹砂 麝香 桃枝 鱉甲 등을 配合하여 骨蒸勞瘦에 응용
익모초전환 益母草煎丸《普濟方》 治骨蒸勞瘦
: 益母草一斤洗曝乾 青蒿半斤去根 桃枝一尺長者一握以上三味細搗以小便一斗於鍋中煎至三升濾去滓用 柴胡五兩去苗 丹砂三分 天靈蓋一枚曝乾另酒煮搗為末 鱉甲酒炙去裙二兩 甘草炙銼一兩 麝香研半兩 桃仁去皮尖雙仁炒研五兩. 上除煎外 七味搗研為末 用益母草煎和丸 如梧桐子大. 空心烏梅湯下三十丸 漸加至四十丸. 服若覺心熱 減丸數 如不熱依法服 服後更以四五匙軟飯壓之.

③ 청탁거독환 清濁祛毒丸unknown 清熱解毒 利濕去濁. 濕熱下注所致尿頻 尿急 尿痛等
: 金沙藤14200g 大血藤500g 蒲公英400g 牡丹皮 虎杖 地黃 山茱萸 山藥 茯苓 澤瀉 益母草 黃芪100g. 和澱粉120g 製成丸. 一日3次 每10丸(0.13g/丸) 口服. 孕婦禁用 兒童慎用.

④ 當歸 芍藥 丹蔘 茺蔚子 등을 配合하여 血滯로 인한 經閉, 痛經 등에 응용.

익모승금단 益母勝金丹《醫學心悟》 治月經不調
: 大熟地砂仁酒拌九蒸九晒 當歸酒蒸各四兩 白芍酒炒三兩 川芎酒蒸一兩五錢 丹參酒蒸三兩 茺蔚子酒蒸四兩 香附醋酒薑汁鹽水各炒一兩四兩 白朮陳土炒四兩 以益母草八兩 酒水各半熬膏 和煉蜜為丸 每早開水下四錢. 血熱者 加丹皮 生地各二兩. 血寒者 加濃肉桂五錢. 若不寒不熱 只照本方.

익모사물탕 益母四物湯 《晴崗醫鑑》 子宮發育不全으로 經前腹痛하며 經少黑色한 데 쓰인다. 多量을 益母膏로 製丸하여 長期服用해도 좋다.
: 益母草5錢 香附子2錢 當歸 熟地黃 白芍藥 白朮 牛膝1錢5分 川芎1錢

천마구등음 天麻鉤藤飲 《中醫內科雜病證治新義》 平肝熄風 清熱活血 補益肝腎. 肝陽偏亢 肝風上擾證 頭痛 眩暈 失眠 每因煩勞或惱怒而加劇 目赤乾澀 急躁易怒 口苦 舌紅 苔薄黃 脈弦15
: 天麻6g 鉤藤9g 牛膝12g 石決明15g 杜仲12g 黃芩6g 梔子6g 益母草9g 桑寄生9g 夜交藤9g 茯神9g

若肝火偏盛 加夏枯草 龍膽草
若不眠 加龍骨 牡蠣
若血瘀 加丹參 赤芍
若肝腎陰虛者 可合六味地黃丸或杞菊地黃丸
若面赤便秘 加黃連 大黃

【참고】

《晴崗醫鑑》의 益母草 가감

○ 가미대보탕 加味大補湯 : 熟地黃 人蔘 2 白朮 黃芪 1.5 當歸 川芎 白芍藥 白茯苓 官桂 甘草 1 薑3 棗2

… 若婦人血枯 血海虛損 慢性帶下 – 益母草 3

○ 청대탕 淸帶湯 : 草龍膽 2 木通 澤瀉 赤茯苓 柴胡 1.5 生地黃 當歸 車前子 靑皮 條芩炒 1 山梔子炒 炙甘草 0.5

… 若下腹冷 – 益母草 2

○ 현부이경탕 玄附理經湯 : 香附子 3 蒼朮 烏藥 1.5 玄胡索 橘皮 當歸 白芍藥 川芎 枳殼 蓬朮 桃仁 1 官桂 木香 紅花 0.7 薑 3

… 若習慣臨經痛 – 益母草 2

○ 귀출이경탕 歸朮理經湯 : 香附子醋炒 3 當歸 2 赤芍藥 玄胡索醋炒 1.5 三稜 蓬朮 靑皮 烏藥 蘇木 牧丹皮 桃仁 1 官桂 0.7 紅花 0.5

… 若稟受胞小 – 益母草 2

○ 불수산 佛手散 : 當歸 6 川芎 4 淸酒 1잔

… 若分娩時 難産 – 益母草 3 貢砂仁 1

○ 가감생화탕 加減生化湯 : 當歸 4 川芎去油 3 桃仁 1 乾薑炒黑 炙甘草 0.5 酒水相半煎.

… 若腹滿惡露不下 – 益母草 3

○ 보허생화탕 補虛生化湯 : 當歸 4 川芎 2 黃芪 白朮 1.5 乾薑炒黑 甘草 0.5

… 若血下腹痛 – 去 黃芪 白朮 加 益母草 2 香附子醋炒 1.5 蒲黃 五靈脂 玄胡索 桃仁 1 肉桂 紅花 0.5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52-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68-70.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44-5.


 




각주

  1. 《本草蒙筌》 益母草. 一名茺蔚 … 總調胎產諸證 故加益母之名. 去死胎 安生胎 行瘀血 生新血. 治小兒疳痢 敷疔腫乳癰. 汁滴耳中 又主聹耳. 細銼醋炒 馬嚙堪敷. 且制硫黃 尤解蛇毒. 多服消腫下水 久服益精輕身. 子味相同 亦理胎產 善除目翳 易去心煩.
  2. 《神農本草經》 茺蔚子 一名益母 一名益明 一名大札. 味辛 微溫 無毒. 主明目益精 除水氣. 久服輕身. 莖 治癮疹癢 可作浴湯. 生海濱池澤.
  3. 《本草經集註》 味辛甘 微溫 微寒 無毒. 主明目 益精 除水氣. 治血逆大熱 頭痛 心煩. 久服輕身. 莖 主治癮疹癢 可作浴湯. 一名益母 一名益明 一名大札 一名貞蔚. 生海濱池澤 五月採. 今處處有. 葉如荏 方莖 子形細長三稜 方用亦稀.
  4. 위 《神農本草經》 참조
  5. 《本草圖經》 … 廣濟方療小兒疳痢困垂死者 取益母草煮食之 …
  6. 정종(疔腫). 정(疔)은 못처럼 뿌리가 깊어 단단한 부스럼을 말한다. 처음에는 좁쌀만 하게 작다가 심해지면 통증과 붓기를 동반하고 나중에는 피부가 헐게 된다.
  7. 산후의 혈창(血脹). 주로 산후오로로 인해 혈행이 정체되어 하복부가 부풀어 오르는 것을 말한다.
  8. 《新修本草》 搗茺蔚莖 敷疔腫 服汁使疔腫毒內消. 又下子死腹中 主產後血脹悶 諸雜毒腫丹游等腫
  9. 《日華子本草》 茺蔚子 … 治產後血脹 苗葉同功
  10. 茺蔚子 https://foramedica.net/archives/3893 참조
  11. 아래 ‘【참고】《晴崗醫鑑》의 益母草 가감’ 참조
  12. 《神農本草經疏》 茺蔚子 … [疏] 茺蔚子稟地中之陽氣以生 兼感乎上天春夏之氣而成 亦陽草也. 味辛甘 微溫微寒無毒 入手足厥陰經. 為婦人胎產調經之要藥. 此藥補而能行 辛散而兼潤者也. 目者 肝之竅也. 益肝行血故明目益精. 其氣純陽 辛走而不守 故除水氣. 肝臟有火則血逆 肝涼則降而順矣. 大熱頭痛心煩 皆血虛而熱之候也. 清肝散熱和血 則頭疼心煩俱解. 微溫微寒說 見人參條內. … [簡誤] 益母草 辛甘為陽 故性善行走 能行血通經 血崩禁用. 瞳子散大禁用. 惟熱血欲貫瞳人者 與涼血藥同用則不忌.
  13. 澤蘭 https://foramedica.net/archives/3871 참조
  14. 海金沙
  15. 本方降血壓 鎮靜 調節高級神經活動 抗驚厥 催眠 擴張血管 改善血液循環 抗血栓形成 消炎 解熱. 用於高血壓 腦震盪 腦血栓 面肌痙攣 眩暈 耳鳴 頭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