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단삼(丹參) Salviae Miltiorrhizae Radix

단삼(丹參) Salviae Miltiorrhizae Radix

강의요약. 꿀풀과(Lamiaceae)에 딸린 단삼(丹參)은 뿌리의 모양이 인삼과 닮았는데 붉다 하여 이름 붙었다 한다.
  2~3세기의 ‘가슴과 배의 나쁜 기운이 있어 뱃속의 약한 꼬르륵 소리가 물 흐르듯 나는 것과 덩어리가 잡힌 것을 다스리고 부녀자의 뱃병을 없애며 답답하고 그득한 것을 그치게 하고 힘을 북돋는다.’는 기록1과, 5~6세기의 ‘혈을 기르며 가슴과 배의 고질병과 기가 맺힌 것, 등과 허리가 뻣뻣한 것, 다리가 저린 것, 열감이 있는 풍증을 물러나게 한다.’는 기록2이 본초전문서적에 있지만 현재의 쓰임새 수준으로 정리된 시기는 10세기 전후로 보인다.
  즉, 10세기에는 ‘신(神)을 길러 마음을 안정케 하고, 관절의 맥을 통하게 하고 이롭게 하여 뼈마디가 먹먹하고 아픈 것과 사지가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는 것을 다스리며, 고름을 배출하고 아픔을 멎게 하여 새로운 살이 나도록 하고, 묵은 피를 깨뜨리고 새로운 생기 있는 혈을 보태고, 살아 있는 태(胎)는 안정시키되 죽은 태(胎)는 떨어뜨리고, 자궁출혈과 이슬을 멈춰 여성의 달거리를 고르게 하고, 혈(血)의 나쁜 기운으로 인해 가슴이 답답한 것을 다스리고, 악성 피부병을 다스리고, 두통과 함께 눈이 뻘겋게 된 것을 다스린다.3’고 하여 질환과 효능이 총망라되어 현재의 것과 비슷해졌다.
  이 중에서 ‘묵은 피를 깨뜨리고 새로운 생기 있는 혈을 보탠다(破宿血 補新生血)’는 설명은 후대의 많은 의가에 의해 ‘生新血 去瘀血’, ‘生新血 去惡血’, ‘生新血 行宿血’, ‘破宿血 補新血’ 등으로 강조4되었다. 또한, 새로운 혈이 자리 잡는 과정도 ‘어혈을 몰아낸 연후’라고 표현5되었다.
 이러한 단삼은 도인홍화전(桃仁紅花煎)이나 소유탕(消乳湯)이 부인과 질환에 쓰인 예처럼 앞서 언급된 다양한 질환에 응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응용에도 불구하고 다른 활혈통경약과 차별되는 단삼의 효용성은 명청대와 근대에 이르러서 주로 흉복강 내부의 강직이나 통증을 완화시키는 용도로 배합되었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하겠다. 즉, 가슴과 배의 모든 통증에 쓰는 단삼음(丹蔘飮), 목이 메어 위까지 음식물을 못 넘기는 증상을 완화시키는 계격산(啓膈散), 담어(痰瘀)로 인한 관상동맥경화로 인한 통증 및 제반 증상에 쓰는 화담통락탕(化痰通絡湯) 등의 사용례가 그것이다. 이는 ‘어혈을 몰아내어 새로운 혈이 생기게 만든다(破宿血 生新血)’는 작용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현대에 이르러 단삼의 주요한 성분인 salvianolic acid와 tanshinone의 생리활성연구에 의해 밝혀진 바6로도 설명될 수 있다.
 한편, ‘다리가 저린 증에는 술에 담가두었다가 쓴다7‘고 하였음을 상기하여 추출 용매를 선택함이 좋다. 또한, 앞서의 기록에는 안태(安胎)한다고 하였지만 그 뒤의 여러 의가가 ‘임신부는 이유 없이 복용치 말라.’한 경고8를 깊이 새겨 임신 기간 중에는 함부로 쓰지 않도록 한다.

【본초명《출전》】 丹參《神農本草經》 9

【생약명】 Salviae Miltiorrhizae Radix

【이명】 郄蟬草《神農本草經》 赤色《名醫別錄》 山蔘《日華子本草》

【약성가】 丹蔘味苦生新能 破積調經除帶崩

【기원】

꿀풀과(Lamiaceae ; Labiatae ; 脣形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단삼(丹蔘) Salvia miltiorrhiza Bunge로,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泥沙를 제거하고 曬乾한다.

⊂ KP, ChP, JP, THP, DPRKP, HKCMMS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群)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花類植物)
      꿀풀군 (Lamiids ; 唇形類) – 진정국화군 I (Euasterids I ; 眞菊花一類植物)
         꿀풀목 (Lamiales ; 唇形目)
            꿀풀과 (Lamiaceae ; Labiatae ; 脣形科)

단삼(丹蔘) Salvia miltiorrhiza

[ 단삼(丹蔘) Salvia miltiorrhiza Bunge ]

【성상】 

단삼(丹參) Salviae Miltiorrhizae Radix

[ 丹參 Salviae Miltiorrhizae Radix ]

根莖이 짧고 거칠며 頂端에는 줄기의 基部가 남아 있는 것도 있다. 뿌리는 긴 圓柱形으로 때로는 1~2개 또는 여러개로 갈라졌고 길이 10~20㎝, 지름 0.3~1㎝이다. 바깥면은 赤褐色 또는 어두운 赤褐色으로 거칠고 세로주름이 있다. 오래된 것은 바깥 껍질이 치밀하지 않고 대부분 紫褐色을 띠며 보통 비늘 모양의 것이 떨어져 나온다. 질은 단단하고 꺽은 면은 치밀하지 않으며 빈틈이 있거나 대개 고르면서 치밀하고 皮部는 赤褐色이며 木部 灰黃色 또는 紫褐色이고 維管束은 黃白色이며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약은 약간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약간 쓰고 떫다.

【산지】

한국의 중부지역과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

【성분】

∙ 根에는 지용성의 diterpenoid 화합물과 수용성의 phenolic acid, flavonoid, triterpenoid, sterol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Quinone 및 ketone에 속하는 성분에는 tanshinone(Ⅰ, ⅡA~B, Ⅴ, Ⅵ), cryptotanshinone, isotanshinone(Ⅰ, Ⅱ, ⅡB), isocryptotanshinone, hydroxytanshinone ⅡA, methyl tanshinonate, danshexinkum A~D 등이 있다. 수용성 phenolic acid 성분에는 salvianolic acid A-C이 있으며, 지방산에는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등이 있다.
∙ 根莖에는 tanshinone(Ⅰ, ⅡA~B), cryptotanshinone, danshexinkum B, dihydrotanshinoneⅠ, methylenetanshinqiun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혈관확장, 부정맥 억제, 혈류증가, 혈압강하, 허혈성 심근·뇌손상 억제, 콜레스테롤 합성 억제(salvianolic acid), 혈액응고 억제, 항혈전(tanshinone, protocatechuic aldehyde, salvianolic acid) 작용이 있다.
∙ 항균, 소염 작용이 있다.
∙ 항알러지(tanshinone), 간손상 억제, 간세포 재생촉진, 간세포 섬유화억제 작용을 한다.
∙ 위궤양억제, 항종양, 폐손상 억제, 폐세포 섬유화억제, 신장기능 개선, 항산화 작용을 한다.

 

[ 주영승 명예교수(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의 본초학 강의, ‘단삼(丹參)’편 ]

 

【성미】 性微寒 味苦     【귀경】 心肝經

【효능】 活血祛瘀 調經止痛 除煩安神 涼血消癰

【주치】 月經不調 痛經 經閉 産後瘀滯腹痛 心腹疼痛 癥瘕積聚 / 熱入營血 煩燥不安 心煩失眠 / 熱痹腫痛 跌打損傷 癰瘡腫毒

【해설】 《重慶堂隨筆》  丹參 降而行血 血熱而滯者宜之 故爲調經產後要藥

降泄(苦) 除煩涼血(寒)入心肝二經之血分

1. 活血祛瘀 調經止痛

① 婦科要藥으로 祛瘀生新하여 活血通經

② 血瘀로 인한 婦科의 證(月經不調 痛經 經閉 産後瘀滯腹痛 등)에 응용

2. 涼血 除煩安神 消癰

① 血分之熱로 인한 心煩不寐 心悸怔忡 등에 응용

② 血熱로 인한 熱痹腫痛 風疹瘙痒 癰瘡腫毒 등에 응용

3. 一味四物

: 瘀血去則生新血를 확대 해석하여 간접적인 補血의 효능을 과대 평가한 것  → 活血祛瘀力이 川芎과 비슷하다고 추정

4. 최근 간비종대, 관상동맥경화, 고혈압, 혈전폐색성맥관염 등에 비교적 양호한 효과가 있다고 보고 되었음10

【포제】

潤透하여 切片해서 曬乾用하거나 酒炒用한다.

【용량】

6~20g.

【금기】

純虛無瘀者 및 月經過多者는 禁하며, 孕婦는 愼用한다.

【배합례】

檀香 砂仁 등을 配合하여 血瘀氣滯로 因한 心胃諸痛에 응용
단삼음 丹蔘飮 《時方歌括》 治心痛 胃脘諸痛多效 婦人更效. 心腹諸痛有妙方 丹參爲主義當詳. 檀砂佐使皆遵法 入咽鹹知效驗彰.
: 丹參一兩 檀香 砂仁各一錢 水一杯半 煎七分服. 《謙齋醫學講稿》 痛劇者可酌入鬱金 乳香.

 계격산 啓膈散 《醫學心悟》 通噎膈 開關之劑 屢效.
: 沙參三錢 丹參三錢 茯苓一錢 川貝母去心 一錢五分 鬱金五分 砂仁殼四分 荷葉蒂二個 杵頭糠五分. 水煎服. 虛者 加人參. 前症若兼蟲積 加胡連 蕪荑 甚則用河間雄黃散吐之. 若兼血積 加桃仁 紅花 或另以生韭汁飲之. 若兼痰積 加廣橘紅. 若兼食積 加蔔子 麥芽此症有生蛇者 華佗以醋蒜食之 令飽 則吐物而出 眞神法也.

③ 화담통락탕 化痰通絡湯unknown 用於化痰祛濕 活血通絡. 冠心病心絞痛(痰濁內阻型) 症狀爲心前區疼痛 胸悶 心悸 氣短 形體肥胖 身重乏力 納呆 苔厚膩 脈弦滑.
: 法半夏 橘紅 枳殼 川芎 紅花 遠志 石菖蒲 各10g 茯神 黨參 丹參 各15g 炙甘草10g. 水煎服 每日1劑 分早晚2次服. 15天爲1療程.

 부익지황환 附益地黃丸《方藥合編》 治血虛 月水不調 不能受孕
: 熟地黃(酒蒸) 八兩 香附子(酒醋童便長流水分四浸製) 五兩 山藥 山茱萸(酒蒸) 益母草(酒焙) 當歸(酒洗) 各四兩 白茯苓 牧丹皮 丹蔘(酒洗) 各三兩 澤瀉(酒蒸) 吳茱萸(炮) 肉桂 各二兩. 左末 煉蜜丸 梧子大 空心米飮 或溫酒呑下 百丸. 作湯用 亦可.

⑤ 丹蔘 赤芍藥 桃仁 紅花 香附子 玄胡索 靑皮 當歸 등을 配合하여 心悸不安, 胸悶不舒, 心痛時作, 脣甲靑紫 등에 응용
도인홍화전 桃仁紅花煎 《陳素庵婦科補解》 治婦人月水不通 屬瘀血者 小腹時時作痛 或少腹板急. 或心脈痹阻證.
: 紅花 當歸 桃仁 香附 延胡索 赤芍 川芎 乳香 丹參 靑皮 生地. 水煎服.

⑥ 熟地黃 白芍藥 當歸 川芎 桃仁 紅花 金銀花 連翹 知母 乳香 등을 配合하여 乳癰腫痛, 乳癰初起, 紅腫疼痛 등에 응용
소유탕 消乳湯 《醫學衷中參西錄》 消腫止疼. 治結乳腫疼或成乳癰新起者 一切紅腫瘡瘍(消乳湯治結乳腫疼或成乳癰新起者 一服即消 若以作膿 服之亦可消腫止疼 俾其速潰 並治一切紅腫瘡瘍).
: 知母八錢 金銀花三錢 穿山甲炒搗二錢 瓜蔞切絲五錢 生明乳香 連翹 生明沒藥 丹參 各四錢.

⑦ 苦蔘 등을 配合하여 風疹瘙痒에 응용.
단삼산 丹參散《證治準繩》 治風瘙 皮膚赤 癮疹瘙癢 隨搔生瘡
: 丹參 人參 苦參並去蘆 雷丸 牛膝去蘆 白附子 白花蛇酒浸,二兩. 上為細末 每服二錢 食前煎甘草酒 放溫調下.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50-1.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63-5.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34-5.


 




각주

  1. 《神農本草經》 丹參 味苦 微寒. 主心腹邪氣 腸鳴幽幽如走水 寒熱積聚, 破癥除瘕 止煩滿 益氣. 一名卻蟬草. 生川谷.
  2. 《名醫別錄》 丹參 無毒. 主養血 去心腹痼疾•結氣 腰脊强 腳痹 除風邪留熱. 久服利人. 一名赤參 一名木羊乳. 生桐柏山及太山. 五月采根 曝乾. 畏咸水 反藜蘆.
  3. 《日華子本草》 ( in 《證類本草》 ) 養神定志 通利關脈 治冷熱勞 骨節疼痛 四肢不遂 排膿止痛 生肌長肉 破宿血 補新生血 安生胎 落死胎 止血崩帶下 調婦人經脈不勻 血邪心煩 惡瘡疥癬 癭贅腫毒 丹毒 頭痛赤眼 熱溫狂悶.
  4. 《滇南本草》 丹參 味微苦 性微寒. 色赤象火. 入心經. 補心 生血 養心 定志 安神寧心 健忘怔忡 驚悸不寐 生新血 去瘀血 安生胎 落死胎. 一味可抵四物湯補血之功.
    《本草蒙筌》 丹參 味苦 氣微寒. 無毒. 山谷有 在處多 莖方棱 長尺余. 青色葉相對, 似薄荷有毛. 花紅紫復開 根粗長冬采. 畏寒水(石也) 反藜蘆. 專調經脈勻 善理骨節痛. 生新血去惡血 落死胎安生胎 破積聚症堅 止血崩帶下 腳痹軟能健 眼赤腫可消. 散癭贅惡瘡 . 排膿生肉. 辟精魅鬼祟 養正驅邪. 更治腸鳴幽幽 滾下如走水狀
    《本草徵要》 丹參 味苦 性微寒 無毒. 入心經. 畏咸水 反藜蘆. 安神散結 益氣養陰. 去瘀血 生新血, 安生胎 落死胎. 胎前產後 帶下崩中. 色合丙丁 獨入心家 專主血証. 古稱丹參一味 與四物同功 嘉其補陰之也. 丹參 雖能補血 長於行血, 妊娠 無故勿服.
    《本草易讀》 丹參二十 畏咸水 反藜蘆. 微苦 氣平而降. 入手少陰心•手厥陰心包絡. 破宿血 生新血 安生胎 落死胎 調經脈 除煩熱. 止腸鳴腹痛 理崩帶症瘕. 功同四物 為女科要藥.
    《本草正》 丹參 味微苦•微甘•微澀 性微涼. 無毒. 反藜蘆. 能養血•活血•生新血•行宿血 故能安生胎 落死胎 血崩•帶下可止 經脈不勻可調. 此心•脾•肝•腎血分之藥 所以亦能養陰•定志•益氣•解煩 療眼疼•腳痹 通利關節及惡瘡疥癬•赤眼•丹毒 排膿止痛 長肉生肌.
    《本草通玄》 丹參 苦平 色赤 心與包絡 血分藥也. 補心血 養神志 止驚煩 消積聚 破宿血 生新血 安生胎 落死胎. 丹參一味 有四物之功 故胎前產後 珍為要劑. 酒潤微焙.
    《本經逢原》 丹參 … [發明] 丹參氣平而降 心與包絡血分藥也. 《本經》治心腹邪氣 腸鳴幽幽如走水等疾 皆瘀血內滯而化為水之候. 止煩滿益氣者 瘀積去而煩滿愈 正氣復也. 按 : 四物湯治婦人病 不問胎前產後 經水多少 皆可通用. 惟一味丹參散 主治與之相同. 蓋丹參能破宿血生新血 安生胎 落死胎 止崩中帶下 調經脈之神品. 然其性長於行血 妊娠無故勿服. 大便不實者忌之.
    《雷公炮製藥性解》 丹參 味苦 性微寒無毒 入心經. 養神定志 破結除症 消癰散腫 排膿止痛 生肌長肉 治風邪留熱 眼赤狂悶 骨節疼痛 四肢不遂. 破宿血 補新血 安生胎 落死胎 理婦人經脈不調 血崩帶下. 按 : 丹參色赤屬火 味苦而寒 故入手少陽經 以療諸般血證.
  5. 《本草從新》 丹參 補心去瘀生新. 氣平而降. 味苦色赤. 入心與包絡. 破宿血 生新血(瘀去 然後生新), 安生胎(養血), 墮死胎(去瘀), 調經脈(風寒濕熱•襲傷營血•則經水不調•先期屬熱•後期屬寒•又阻之不同•大抵婦人之病•首重調經•經調則百病散), 除煩熱.
  6. 아래의 성분과 작용 참조
  7. 《本草經集註》 丹參 味苦 微寒 無毒. 主治心腹邪氣 腸鳴幽幽如走水 寒熱 積聚 破症 除瘕 止煩滿 益氣. 養血 去心腹痼疾結氣 腰脊強腳痹 除風邪留熱. 久服利人. 一名蟬草 一名赤參 一名木羊乳. 生桐柏山川谷及太山. 五月采根 曝乾. (畏鹹水 反藜蘆.). 此桐柏山 是淮水源所出之山 在義陽 非江東臨海之桐柏也. 今近道處處有 莖方有毛 紫花 時人呼為逐馬. 酒漬飲之 治風痹. 道家時有用處 時人服之多眼赤 故應性熱 今云微寒 恐為謬矣.
  8. 《神農本草經疏》 妊娠無故 勿服
    《要藥分劑》 孕婦無故 忌
    《本草求真》 凡妊娠無故大便不實者 切忌
  9. 국내에서 ‘蔘’은 ‘參’으로 표기가 통일되었다.
  10. 특히, 고지혈증을 겸할 경우 丹參 砂仁 鬱金의 조합이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