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능소화(凌霄花) Campsitis Flos

능소화(凌霄花) Campsitis Flos

강의요약. 능소화과(Bignoniacea)에 딸린 덩굴나무인 능소화의 꽃을 ‘자위(紫葳)’ 또는 ‘능소화(凌霄花)1’라 한다.
  2-3세기에 여성의 산후질환 및 자궁출혈, 뱃속의 덩어리가 생긴 것, 달거리가 끊긴 증 등에 사용한다는 기록2 이래 10-11세기에 열증의 소양증, 전염성 두드러기 등에 사용한다는 기록3이 합쳐져 현대의 주치와 대동소이하게 되었다.
  그 작용에 대해서 다수의 의가는 ‘혈을 깨트리고 어(瘀)를 삭게 한다.’ 또는 ‘혈분(血分)을 행하게 하여 혈(血) 안의 숨어있는 화(火)를 물리친다.’, ‘혈열(血熱)을 사한다.’ 등의 의견4을 피력하였다. 이렇게 그 작용에 대해 별다른 이견이 없는 인식에도 불구하고 처방에서의 응용은 드문 편이다. 漢代에 등장하여 근현대에 까지 쓰였던 별갑전환(鼈甲煎丸)이 가장 대표적인 응용례로 남아 있을 뿐이다. 무독(無毒)하며 효력이 약하다는 평가가 있으니 다른 이유가 아니라 역한 맛과 냄새5로 인해 내복약으로서의 응용 빈도가 떨어졌을 것이라 추정한다.
  한편 고대로부터 반복되어 기록된 ‘태(胎)를 기른다.’, ‘(사지가) 휘청거리는 것을 다스리며 기(氣)를 더한다.’ 등6은 명청대의 의가들에 의해 배제되었다. 즉, ‘양태(養胎)는 타태(墮胎)가 잘못 전해진 것이다.7’, ‘어혈이 없거나 태아가 불안할 때에는 사용하지 말라.89’, ‘허약한 사람에게 쓰지 말라.10’ 등의 언급이 있으므로 해당 상황에서는 응용치 않도록 한다.

【본초명《출전》】 凌霄花《神農本草經》

【생약명】 Campsitis Flos

【이명】 紫葳《神農本草經》 紫葳花《博物志》 墮胎花《植物名實圖考》 藤羅花《天宝本草》 陵霄花《本草圖經》

【기원】

능소화과(Bignoniaceae ; 紫葳科)에 속한 갈잎덩굴성식물인 능소화 Campsis grandiflora (Thunb.) K.Schum. 또는 미국능소화(美洲凌霄) C. radicans (L.) Seem.를 건조한 것으로, 開花期에 채취하여 陰乾 또는 曬乾한다.

⊂ KHP, ChP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群)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花類植物)
        꿀풀군 (Lamiids ; 唇形類) – 진정국화군 I (Euasterids I ; 眞菊花一類植物)
          꿀풀목(Lamiales ; 唇形目)
            능소화과(Bignoniaceae ; 紫葳科)

능소화(凌霄花) Campsis grandiflora (Thunb.) K.Schum.

[ 능소화 Campsis grandiflora (Thunb.) K.Schum. ]

【성상】

능소화(凌霄花) Campsitis Flos

[ 능소화(凌霄花) Campsitis Flos ]

… 基部는 합쳐져 筒狀으로 되고 위 부분은 5개로 갈라지고 … 표면은 紅褐色의 가는 脈紋과 褐色의 斑點 …

【산지】

한국과 중국의 중남부지역에 고르게 분포

【성분】

Apigenin, β-sitosterol을 함유

【작용】

관상동맥 평활근수축 억제, 혈전형성 억제, 미임신 자궁수축 억제, 기임신 자궁수축 촉진, 항균 작용을 한다.

 

【성미】 性寒 味甘酸       【귀경】 肝·心包經

【효능】 化瘀散結 淸熱涼血 祛風止痒

【주치】 經閉癥瘕 崩中漏下 血熱風痒 瘡疥癮疹 酒齄鼻.

【해설】 

 1. 化瘀散結 : 肝經血分에 들어가 血中의 伏火를 없애 破血祛瘀하는 효능

→ 血滯經閉(經水不來, 發熱腹脹 등) ex. 紫葳散
→ 癥瘕에 응용 ex. 鼈甲煎丸
But, 실제적으로는 효력이 약하여 婦女의 血瘀經閉 및 癥瘕積聚에 補助藥으로 응용

 2. 淸熱涼血 祛風止痒: 血熱生風으로 인한 風痒과 皮膚瘙痒 濕癬 등에 外用(湯洗) ex. 凌霄花散
     특히 야간에 따뜻하게 하면 더욱 瘙痒이 심하여 참기 어려운 周身發痒에  응용

【용량】

4~12g 

【금기】

氣血虛弱者와 內無瘀熱者 및 孕婦는 服用을 忌

【배합례】

① 자위산 紫葳散《醫學入門·卷八》治婦人月水不行 發熱腹脹
紫葳 肉桂 赤芍藥 玄胡索 白芷 牡丹皮 當歸 劉寄奴 各等分 酒一水二 入紅花少許煎服

별갑전환 鱉甲煎丸 《金匱要略》 治瘧母 癥瘕積聚
鱉甲十二分(炙) 烏扇三分(燒) 黃芩三分 柴胡六分 鼠婦三分(熬)  乾薑三分 大黃三分 芍藥五分 桂枝三分 葶藶一分(熬) 石葦三分(去毛) 厚朴三分 牧丹五分(去心) 瞿麥二分 紫葳三分 半夏一分 蟅蟲五分(熬) 阿膠三分(炙) 蜂窩四分(炙) 赤硝十二分 蜣螂六分(熬)  桃仁二分. 上二十三味 爲末 取鍛灶下灰一斗 淸酒一斛五斗 浸灰 候酒盡一半 着鱉甲於中 煮令泛爛如膠漆 絞取汁 內諸藥 煎爲丸 如梧子大 空心服七丸 日三服.『千金方』用鱉甲十二片 又有海藻三分 大戟一分 蟅蟲五分 無鼠婦 赤硝二味 以鱉甲煎和諸藥爲丸.

③ 능소화산 淩霄花散《聖惠·卷七十一》治婦人久積風冷 氣血不調 小腹㽲刺疼痛
淩霄花半兩 當歸1兩(銼微炒) 木香1兩 沒藥1兩 桂心半兩 赤芍藥 上爲細散 每服1錢 以熱酒調下 不拘時候

④ 자위탕 紫葳湯《普濟方》 治產後血氣血塊攻臍腹痛
: 紫葳 當歸切炒 木香炮各一兩 沒藥一分 牛膝酒浸去皮三分. 右粗搗篩 每服二錢匕 水酒共一盞同煎 至七分 去滓 溫服 服後未瘥再服

⑤ 능소화산 淩霄花散《楊氏家藏方·卷十二》 治風濕挾熱 皮膚生癬 久不愈
淩霄花1分 白礬1分(別研) 雄黃半錢(別研) 天南星半兩 黃連(去須)2錢 羊蹄根(焙乾)半兩 上爲細末 抓破 用生薑汁調藥擦之 如癬不癢 只用油調擦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65.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93-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56-7.


 




각주

  1. 《本草崇原》今名凌霄花 謂其花之極高也 根花並用.
  2. 《神農本草經》 紫葳 味酸(《御覽》作咸) 微寒. 主婦人產乳余疾 崩中 癥瘕血閉 寒熱羸瘦 養胎. 生川谷
  3. 《日華子本草》 根 治熱風身癢 游風風疹. 治瘀血帶下 花‧葉功用同. 又云 : 凌霄花 治酒齄 熱毒風刺 婦人血膈‧游風 崩中帶下.
  4. 《本草綱目》 紫葳 … [莖葉] 行血分 能去血中伏火. 故主產乳崩漏諸疾 及血熱生風之證也.
    《本草備要》 凌霄花 一名紫葳. 瀉血熱甘酸而寒. 入厥陰(心包‧肝)血分. 能去血中伏火 破血去瘀.
    《本經逢原》 凌霄花手足厥陰血分藥也 能去血中伏火.
    《本草從新》 紫葳花 一名凌霄花. 瀉血熱‧破血瘀. 甘酸而寒. 入厥陰血分(心包肝) 能去血中伏火 破血去瘀.
    《本草求真》 凌霄花(蔓草). 瀉肝血熱. 凌霄花(耑入肝) 即紫葳花 肝經血分藥也. 味甘而酸 氣寒無毒 凡人火伏血中 而見腸結血閉 風癢崩帶癥瘕 一切由於血瘀血熱而成者 所當用此調治. 蓋此耑主瀉熱 熱去而血自活也. 是以肺癰之藥 多有用此為君(凌霄為末 和密陀僧 唾調敷 亦治酒齄). 妊娠用此克安者 以其內有瘀積 瘀去而胎即安之意也. 所云孕婦忌服者 恐其瘀血既無 妄用恐生他故也. 此為女科血熱必用之藥 但當相症施治耳. 藤生 花開五瓣 黃赤有點 不可近鼻 聞傷腦.
    《長沙藥解》 紫葳 味酸 微寒 入足厥陰肝經. 專行瘀血 善消症塊. 金匱鱉甲煎丸方在鱉甲. 用之治病瘧日久 結為癥瘕 以其行瘀而化癖也. 紫葳酸寒通利 破瘀消症. 其諸主治 通經脈 止淋瀝 除崩中 收帶下 平酒齇 滅風刺 治癩風 療陰瘡. 紫葳即凌霄花
  5. 《本草綱目》 … 時珍曰 花不可近鼻聞 傷腦. 花上露入目 令人昏蒙.
  6. 《本草經集註》 紫葳 味酸 微寒 無毒. 主治婦人產乳余疾 崩中 癥瘕 血閉 寒熱 羸瘦 養胎. 莖葉 : 味苦 無毒. 主痿蹶 益氣. 一名陵苕 一名茇華. 生西海川谷及山陽
    《名醫別錄》 紫葳 無毒. 莖葉 味苦 無毒. 治痿蹶 益氣. 一名陵苕 一名茇華 一名陵時生西海及陽. 《本經》原文 : 紫葳 味酸 微寒. 主婦人產乳余疾 崩中 癥瘕血閉 寒熱羸瘦 養胎. 生川谷
  7. 《本草崇原》 紫葳延引藤蔓 主通經脈 氣味酸寒 主清血熱 故《本經》主治如此. 近時用此 為通經下胎之藥. 仲景鱉甲煎丸 亦用紫葳以消癥瘕 必非安胎之品. 《本經》養胎二字 當是墮胎之訛耳.
  8. 《本經逢原》 紫葳 … 皆取其散惡血之功也. 若無瘀血而胎息不安者禁用.
  9. 《神農本草經疏》 味酸 微寒 無毒. 主婦人產乳余疾 崩中 癥瘕 血閉寒熱羸瘦 養胎. 疏 :  紫葳 即凌霄花也. 稟春氣以生 故其味酸 氣微寒 無毒. 花開於夏而色赤 味應帶苦 入肝行血之峻藥. 故主婦人產乳余疾 及崩中 癥瘕 血閉寒熱羸瘦諸證. 至於養胎 決非其性所宜 用者慎之!… [簡誤] 紫葳長於破血消瘀. 凡婦人血氣虛者 一概勿施. 胎前斷不宜用.
  10. 《本草彙言》 紫葳花 行血閉(《本經》) 通血絡(《日華》)之藥也 … 但其性利而善攻 走而不守 破血行血 是其專職 虛人禁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