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곽향(藿香) Agastachei seu Pogostemoni Herba

토곽향(土藿香) :: Agastachei Herba

광곽향(廣藿香) :: Pogostemoni Herba

 


도서출반 우석

주영승(우석대 한의대 본초학교실)교수님의 저서 ‘운곡본초도감‘ 및 ‘운곡본초학‘의 내용을 발췌 및 편집, 개정하여 소개하오니 상세한 내용은 해당 서적을 참고 바랍니다.

또한, 이 글에 사용한 공정서 관련 약어는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Written & Pictured by : Young-Sung Ju. Department of Herbology, Woosuk Univ.
Revised by : Guemsan Lee. Department of Herbology, Wonkwang Univ.
Jung-Hoon Kim. Division of Pharmacology, Pusan National Univ.
Goya Choi.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blished online : April 12, 2019.


 

[편집자 주. KP에는 ‘광곽향’이, KHP에는 ‘곽향’이 수재되어 있다. 이후로 두 약물의 구분을 쉽게 하기 위해 ‘곽향’의 유통명인 ‘배초향’과 ‘토곽향’ 중에서 식물 이름과 다른 ‘토곽향’으로 기술하였다. 즉, 이후에 기술한 토곽향은 ‘배초향의 지상부’를 의미한다.  ‘Agastache’는 그리스어의  ‘ἄγαν'(very much)와 ‘στάχυς'(ear of corn)에서 유래한 5군 여성명사이므로 생약명은 ‘Agastachei Herba’이다.  ‘Pogostemon’은 2군 중성명사이므로 생약명은 ‘Pogostemoni Herba’이다. 여기에서는 공정서 기재와는 달리 ‘속명의 단수소유격’+’약용부위의 단수 주격’이라는 규칙에만 맞게 고쳐서 기술한다.]

 공정서에 각기 별도로 수재된 한약재라도 속단(續斷)과 한속단(韓續斷), 당귀(當歸)와 일당귀(日當歸) 등과 같이 동일한 듯 보이면서도 다른 약물이 있다. 이와 같은 약물군은 처방에 응용할 때 상당한 고민을 안겨주기 마련이다. 곽향(藿香)과 광곽향(廣藿香)도 이와같아 그간 효능 차이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던 약물이다.

 이는 지역에 따라 ‘곽향(藿香)’이라고 쓰인 약물의 기원 식물이 동일하지 않았기에 예견된 혼란이기도 하다. 여기에서는 곽향으로 유통되는 대표적인 두 약물의 구분점과 함께 실제 응용에 어느 것이 적합할지 의견을 제시하였다.

 

1. ‘곽향(藿香)’과 ‘토곽향(土藿香)/배초향(排草香)’, ‘광곽향(廣藿香)’

 곽향(藿香)은 暑濕으로 인한 각종 脾胃 질환에 응용하는 대표적인 芳香化濕藥이다. 이름은 잎의 모양이 콩잎(豆藿)과 비슷하고 향(香)이 있다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국내에선 매운탕이나 생선탕에, 중국에선 잉어(鯉魚) 요리에 넣는 등 식품으로도 활용된다.

 한반도에 흔하게 자라는 배초향이 기원식물인 ‘토곽향(土藿香)’은 ‘藿香’ 또는 ‘排草香’이라는 이름으로 국내에 유통된다. 중국은 동북쪽에는 토곽향(土藿香)이 남쪽에서는 광곽향(廣藿香)이 생산되는데 이는 각 지역에서 잘 자라는 식물을 곽향으로 사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토곽향(土藿香)은 한국과 중국에, 광곽향(廣藿香)은 중국의 華南(廣東 廣西 福建 海南島 臺灣)과  西南(雲南 四川 貴州), 華東(山東) 지역에서 생산된다 하였다.

 고문헌의 기록도 다양하여  《證類本草》 등에 의하면 ‘광곽향’이, 《植物名實圖考》 등에 의하면 ‘토곽향’이 곽향에 각각 적합한 형태를 띤다. 이렇듯 두 약물의 기원식물과 유통, 생산 현황이 다르기에 효능 차이에 대한 의문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편집자 주. 藿香正氣散이 기록된 《太平惠民和劑局方》과 동시대의 책인 《證類本草》에 의한다면 광곽향이 원래의 곽향에 더욱 적합한 듯 하나 淸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동일 처방에 광곽향이 아닌 토곽향이 쓰인 예가 많아 효능 비교를 위한 근거로 삼기 어렵다.]

 참고로 한약재로서의 土藿香과 廣藿香은 모두 줄기가 푸르고 잎이 많이 붙어 있으며 향기가 짙은 것이 상품이다.

 

2. 유통 현황

 

1) 토곽향(土藿香) Agastachei Herba

꿀풀과(Lamiaceae ; Labiatae ; 唇形科)에 딸린 배초향(排草香 ; 藿香) Agastache rugosa (Fisch. & C.A.Mey.) Kuntze [= A. formosana (Hayata) Hayata ex Makino & Nemoto]의 지상부

⊂ KHP IV, DP VII, THP II, ChP 2015 부록

[편집자 주. DP VII에서는 ‘향방아풀 A. formosanum Hayata.’도 포함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이는 A. rugosa와 같은 식물이다. 즉, DP VII의 ‘향방아풀’은 ‘배초향’과 같은 식물로 보아도 무방(A. formosanumA. formosana의 誤記)하다. 또한, ChP부록과 THP에 아래의 ‘광곽향’과는 별도 약물로 ‘곽향’을 위와같이 규정하고 있다. ]

 

2) 광곽향(廣藿香) Pogostemoni Herba

꿀풀과(Lamiaceae ; Labiatae ; 唇形科)에 딸린 廣藿香 Pogostemon cablin (Blanco) Benth.지상부

⊂ KP 11, ChP 2015, THP II, JP 17

[편집자 주. 인도네시아 답사(2018년)를 통해 비누 제조용과 약용의 두 가지가 재배 및 생산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현재 중국과 국내에 유통되는 광곽향의 다수가 인도네시아산인데, 중국과 인도네시아 모두 건조보관시설이 열악하고 선편으로 거래하여 유통이 길어져 대체로 품질이 좋지 않다. 참고로 약용으로 재배한 양호한 광곽향은 여기에서 구할 수 있다.]

 

3. 한방 효능

 

본초명 土藿香 廣藿香
생약명 Agastachei Herba Pogostemoni Herba
성미 微溫 辛 無毒
귀경 肺 脾 胃
효능 祛暑解表 化濕和胃 芳香化濕 和中止嘔 發表解暑
주치 夏令感冒 寒熱頭痛 胸脘痞悶 嘔吐泄瀉 妊娠嘔吐 鼻淵 手足癬 濕濁中阻 脘痞嘔吐 腹痛吐瀉 暑濕倦怠 寒熱頭痛 胸悶不舒 寒濕閉暑 鼻淵 手足癬
효능분류 解表藥 芳香化濕藥 芳香化濕藥

 

① 문헌상의 효능 주치는 대동소이하다. 다만, 土藿香은 辛溫解表에, 廣藿香은 芳香化濕에 각각 장점이 있다 하겠다.

[편집자 주. 문헌상의 효능으로 보았을때 중국의 북부와 한반도의 환절기는 중국의 남부에 비해 寒濕의 영향이 더 강하므로 解表에 장점을 지닌 토곽향이 낫다는 견해도 있다.]

②  토곽향은 함유한 정유 중 estragole(methyl chavicol)이 약 80% 정도, 광곽향은 함유한 정유 중 patchoulol (patchouli alcohol)이 약 30%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유의 함량을 품질 기준으로 삼는다면 유통 거리와 보관 기간이 짧을 수록 좋다고 할 수 있다. 즉, 국내 유통현황을 고려한다면 대체로 품질이 좋지 않은 광곽향보다는 토곽향이 낫다고 볼 수 있다.

③ 만약 품질이 좋은 광곽향을 사용한다면 위 ①을 참고하여 응용할 수 있다.

[편집자 주. 앞서 언급된 정유가 휘발성이 강하다는 점과 ‘푸르고 향기가 짙은 것’이 상품으로 취급되었다는 점을 상기해 보면, 明 이후 중국 문화의 중심지가 점차로 베이징 인근으로 이전되면서 토곽향의 사용이 늘어난 이유를 짐작 가능하다.]

[편집자 주.  참고로 estragole은 암을 유발하고 유전독성을 지닌 물질로 보고되었으나, 실험에서 사용된 양 1–10 mg/kg을 설치류의 대사 속도를 고려하여 인체에 적용한다면 100~1000에 이르는 용량이 적용되어야 그 독성이 나타난다1 하였다. 게다가 일반적인 토곽향의 인당 일 복용량이 3-10 g에 불과하며 그나마 전탕하면 estragole이 대부분 휘발되므로 걱정할 필요는 없다. 즉, 일반적으로 전탕하여 복용하는 토곽향에 있어서는 해당 성분이 함유된 식품을 날것으로 섭취하거나 향료로 사용할 때보다 더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성분에 알러지반응이 있는 사람이나 임신부에게 전탕액이 아닌 환산제(丸散劑)로의 응용은 피하는 것이 좋다.]

 

4. 형태 특징

 

1) 토곽향(土藿香) Agastachei Herba

① 줄기가 四角形이며 털이 없다.

② 잎은 卵形으로 가지잎(茄葉)과 비슷하며 털이 없다.

③ 葉基는 圓底 또는 亞心臟底이다.

④ 꽃은 자주색이다.

⑤ 果實은 卵狀三菱形이며 先端에 짧은 硬毛가 있다.

① 줄기에는 세로의 골이 깊게 나있고 단면은 확연하게 사각져 있으며 털이 없다.

② 잎의 윗면은 융모가 없으나 아랫면에는 작은 융모가 있다.

 

2) 광곽향(廣藿香) Pogostemoni Herba

① 줄기가 약간 각이 있으며 황색의 융모로 덮여 있다.

② 잎은 廣卵形이며 위아래면 모두 털로 덮여있다.

③ 葉基는 楔形 혹은 微心形이다.

④ 꽃은 옅은 홍자색이다.

⑤ 果實은 橢圓形으로 매끄럽다.

① 줄기에 얕은 세로골이 있으며 단면의 모서리는 둥근편이다.

② 잎의 양면에 회백색의 융모가 있다.

 

5. 감별 요점

 

1) 기원식물 검색표

1. 잎이 對生하고 꽃은 脣形으로 穗狀花序로서 頂生 혹은 腋生하며 輪傘으로 모여 핀다.

2. 줄기의 세로골이 깊고 단면은 사각져 있으며, 잎은 卵狀이며 털이 없고, 果實은 卵狀三菱形이다 ——————————————— 배초향 Agastache rugosa

2. 줄기의 세로골이 얕고 단면은 둥글게 각져 있으며 털이 있고, 잎은 廣卵形이며 털로 덮여있고, 果實은 橢圓形으로 매끄럽다 —————— 廣藿香 Pogostemon cablin

2) 한약재 검색표

1. 줄기의 세로골이 깊고 단면은 사각져 있으며 털이 없으며, 잎의 뒷면에만 미세한 융모가 있다
—————————- 토곽향(土藿香) Agastachei Herba

1. 줄기의 세로골이 얕고 단면은 둥글게 각져 있으며, 잎의 양면에 灰白色의 융모가 있다
—————————- 광곽향(廣藿香) Pogostemoni Herba




각주

  1. https://en.wikipedia.org/wiki/Estrag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