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현호색(玄胡索) Corydalis Tuber

현호색(玄胡索) Corydalis Tuber

강의요약. 양귀비과(Papaveraceae)1에 딸린 들현호색과 그 근연식물2 의 덩이줄기를 현호색(玄胡索)이라 하여 약용한다. 원래의 이름은 현호색(玄胡索)이나 피휘(避諱)3로 인해 연호색(延胡索)이라고 전해지기도 한다.
 5세기 즈음의 ‘가슴이 아파 죽을 것 같을 때에는 급히 현호색을 찾아 먹인다.4’라는 단편적인 기록은 현호색의 효능을 잘 보여준다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에도 불구하고 10~11세기에서야 정식으로 전문 본초서에 유입5되었는데, 이때의 기록은 지통(止痛)보다는 거어(祛瘀)의 효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현대와 같은 본격적인 활혈지통약(活血止痛藥)으로서 자리를 잡는 시기는 금원시대6인 것으로 보인다. 관련 처방7 역시 이 시기를 전후로 폭발적으로 증가했으며, 주로 산후소복통(産後小腹痛), 징가(癥瘕)나 적취(積聚)로 인한 복통, 월경통, 식적통(食積痛), 심통, 요통, 두통 등의 다양한 동통(疼痛) 처방에 응용되었다. 이러한 쓰임새가 정형화되어 결국 16세기 즈음에는 ‘혈중기체(血中氣滯)와 기중혈체(氣中血滯)를 행케하여 온 몸의 동통을 다스린다.8’는 표현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그 이후로부터 현대까지의 응용은 이 언급에 준9한다고 볼 수 있다.

【본초명《출전》】 玄胡索《開寶本草》

【생약명】 Corydalis Tuber

【이명】 延胡《雷公炮炙論》 延胡索《濟生方》 元胡索《藥品化義》

【약성가】

延胡氣溫治撲跌 心腹卒痛幷諸血

【기원】

양귀비과(Papaveraceae ; 罌粟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들현호색(三裂延胡索) Corydalis ternata Nakai 또는 延胡索 C. yanhusuo (Y.H.Chou & Chun C.Hsu) W.T.Wang ex Z.Y.Su & C.Y.Wu10塊莖을 건조한 것으로, 5~6月에 莖葉이 枯死된 후 채취하여 外側의 薄皮를 제거하고 끓는 물에 內部의 白芯이 없어지고 黃色이 될 때까지 삶아내어 曬乾한다.

⊂ KHP, ChP11, THP12, JP13, DPRKP14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미나리아재비목 (Ranunculales ; 毛茛目)
       양귀비과 (Papaveraceae ; 罌粟科)

들현호색(三裂延胡索) Corydalis ternata

[ 좌상: 들현호색(三裂延胡索) Corydalis ternata Nakai
우상: 延胡索 C. yanhusuo (Y.H.Chou & Chun C.Hsu) W.T.Wang ex Z.Y.Su & C.Y.Wu
좌하: 현호색 C . turtschaninovii Besser
우하: 채취한 덩이줄기 ]

【성상】

현호색(玄胡索) Corydalis Tuber

[ 상 : 생것을 절단하여 건조한 것, 하: 찌거나 삶은 뒤 건조한 것 ]

불규칙한 扁球形으로 지름 0.5~1㎝ … 표면은 黃色 또는 黃褐色 … 단면은 黃色의 角質모양이며 光澤이 있다.

【산지】

전국 山麓의 濕氣가 있는 곳에 自生하며 주로 中部, 北部에 분포

【성분】

塊莖에서 抽出되는 alkaloid는 10여 종으로 그 중에 확인된 것은 corydaline, dl-tetrahydropalmatine, conadine, protopine, l– 및 dl-tetrahydrocoptisine, l-isocorypalmine, corybulbine, β-homochelidonine, coptisine, dehydrocorydaline, l-coryclamine, dehydrocorydalmine, tetrahydroberberine 등이다.

【작용】

∙ 현저한 진통작용과 최면작용이 있다.
∙ 위액분비 억제, 위장관궤양 억제작용이 있다.
∙ 중추성 鎭吐 작용이 있다.
∙ 관상동맥 확장, 심박 안정, 부정맥 억제, 허혈성 뇌손상 억제 작용이 있다.
∙ 부신피질자극호르몬분비 촉진(tetrahydropalmatine), 혈소판응집억제, 항혈전, 칼슘길항(l-tetrahydropalmatine), 학습능력 향상, 항산화, 자궁 이완(tetrahydropalmatine), 동맥 이완(tetrahydroberberine) 작용을 한다.

 

【성미】 性溫 味辛苦     【귀경】 肝脾經

【효능】 活血散瘀 理氣止痛

【주치】 胸脇脘腹疼痛 經閉痛經 産後瘀阻 趺撲腫痛

【해설】 

 ┌ 氣鬱滯 → 痛 ┐辛散 苦泄 溫通 ┏→ 入血分 → 血中氣滯를 行 ┐

 └ 血  滯   → 痛 ┘                         └→ 入氣分 → 氣中血滯를 行 ┘

 → 氣暢血行 → 通卽不痛 : 活血理氣의 要藥임과 동시에 止痛의 良藥

1. 活血散瘀 理氣止痛

① 氣血이나 瘀血이 散하지 않고 停滯하여 不行하여 나타나는 全身의 上下諸痛에 고르게 응용

② 胃脘作痛과 經行腹痛에 더욱 빠른 치료효과

2. 止痛力

: 玄胡索 > 五靈脂 > 沒藥 >≒ 乳香.

3. ┌ 乳香 : 活血. 舒筋 작용이 있음

   ├ 沒藥 : 破血(散血). 消腫力>舒筋力.

   └ 玄胡索 : 一身의 上下諸痛에 응용

【포제】

生用하거나, 止痛의 효능을 높이기 위하여 醋炒하여 사용한다(玄胡索 500g에 醋 100g). 드물게 止血의 목적으로 鹽水炒, 오로지 瘀血을 제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酒炒(ex. 當歸鬚散가감)하여 사용.

【용량】

4~12g.

【금기】

多量에서는 破血하므로 産後血虛와 經血不足으로 인한 經痛者, 氣虛作痛者 및 孕婦는 服用을 忌한다.

【배합례】

① 五靈脂 沒藥 草果 등을 配合하여 心腹刺痛에 응용
수념산 手拈散《東醫寶鑑》 治九種心痛及心脾痛極驗
: 草果 玄胡索 靈脂 幷沒藥 酒調三二錢 一似手拈却[綱目]

cf. 수념산 手拈散《醫學心悟》 治血積心痛
: 元胡索醋炒 香附酒炒 五靈脂去土醋炒 沒藥箬上炙乾. 等分共爲細末 每服三錢 熱酒調下. 血老者 用紅花五分 桃仁十粒 煎酒調下.

② 아침산 兒枕散=起枕散《古今醫鑑》 (賈蘭峰傳) 治產後心腹痛 惡血不行 或兒枕作痛甚危.
: 當歸三錢 白芍酒炒三錢 川芎二錢 白芷 官桂 蒲黃 牡丹皮 玄胡索 五靈脂 沒藥 各一錢. 上銼一劑 水煎 入童便 空心服.

cf. 기침산 起枕散《東醫寶鑑》 治兒枕痛極苦.
: 當歸 白芍藥 各二錢 川芎 一錢半 白芷 桂心 蒲黃 牧丹皮 玄胡索 五靈脂 沒藥 各七分 右剉作一貼水煎入好醋空心服[醫鑑]

③ 칠제향부환 七制香附丸《醫學入門》 治諸虛百損 氣血不調 月水前後 結成癥瘕, 或骨蒸發熱 四肢無力.
: 香附米十四兩 分七分 一分同當歸二兩酒浸, 一分同莪朮二兩童便浸, 一分同牡丹皮‧艾葉各一兩 米泔浸, 一分同烏藥二兩 米泔浸, 一分同川芎‧玄胡索各一兩 水浸, 一分同三稜‧柴胡各一兩 醋浸, 一分同紅花‧烏梅各一兩 鹽水浸. 春三夏二 秋七冬十日曬乾 取單香附為末 浸藥水 打糊為丸梧子大. 每八十丸 臨臥酒下.

④ 조경종옥탕 調經種玉湯《萬氏女科》 (治婦人無子 多因七情所傷 致經水不調 不能受孕 )
: 當歸身八錢 川芎四錢 熟地一兩 香附六錢炒 白芍六錢酒炒 茯苓四錢 陳皮三錢 吳茱萸三錢 丹皮三錢 玄胡索三錢. 若過期而經水色淡者 血虛有寒也 加官桂‧炮薑‧熟艾各一錢, 若先期三五日 色紫者 血虛有熱也 加條芩三錢 銼 四帖 生薑三片 水碗半 煎至一碗 空心溫服. 渣再煎 臨臥時服. 經至之日服起 一日一服 藥完經止 即當入房 必成孕矣. 縱未成孕 經當對期 俟期來再服 最效.

cf. 조경종옥탕 調經種玉湯 《東醫寶鑑》 治婦人無子 多因七情所傷 致經水不調 不能受孕
: 熟地黃 香附子炒各六錢 當歸身酒洗 吳茱萸 川芎各四錢 白芍藥 白茯苓 陳皮 玄胡索 牧丹皮 乾薑炒各三錢 官桂 熟艾各二錢. 右剉分作四貼每一貼入薑三水煎空心服待經至之一服起一日一貼藥盡交媾必成孕矣此藥百發百中[醫鑑] ○ 回春無薑桂艾三味

⑤ 격하축어탕 膈下逐瘀湯 《醫林改錯》 積塊 小兒痞塊 痛不移處 臥則腹墜 腎瀉 久瀉
: 靈脂二錢炒 當歸三錢 川芎二錢 桃仁三錢研泥 丹皮二錢 赤芍二錢 烏藥二錢 元胡一錢 甘草三錢 香附錢半 紅花三錢 枳殼錢半. 水煎服.

가미오침탕 加味烏沉湯=加味烏藥湯《奇效良方》 治婦人經水欲來 臍腹㽲痛
: 烏藥 縮砂 木香 玄胡索各一兩 香附炒去毛二兩 甘草一兩半. 上細銼 每服七錢 水一盞半 生薑三片 煎至七分 不拘時溫服.

금령자산 金鈴子散《太平聖惠方》 治熱厥心痛
: 金鈴子15 玄胡索各一兩 右爲末 每二錢 酒調下 溫湯亦可

⑧ 소적정원산 消積正元散《醫學入門》 治久氣積聚 狀如癥瘕 隨氣上下 發作有時 心腹絞痛 攻刺腰脅 小腹䐜脹 大小便不利.
: 白朮一錢 茯苓 陳皮 青皮 砂仁 麥芽 山楂 甘草各三分 神麯 香附 枳實 玄胡索 海粉各五分 薑煎溫服. 如上焦火鬱 加酒炒苓‧連, 下焦火鬱 加炒梔‧柏, 冷氣作疼 加沉香‧木香磨水刺服.

⑨ 반총산 蟠蔥散《醫學入門》 治男婦脾胃虛冷 氣滯不行 攻刺心腹 痛連胸脅 膀胱 小腸腎氣及婦人血氣刺痛 並皆治之.
: 玄胡索 肉桂 乾薑各一分 蒼朮 甘草各四分 砂仁 檳榔 丁皮各二分 三稜 莪朮 靑皮 白茯苓各三分 連須蔥一根. 水煎熱服.

cf. 반총산 蟠葱散《東醫寶鑑》 治脾胃虛冷 心腹攻刺連胸脇 膀胱小腸腎氣作痛
: 蒼朮 甘草各一錢 三稜 蓬朮 白茯苓 靑皮各七分 縮砂 丁香皮 檳榔各五分 玄胡索 肉桂 乾薑各三分. 右麤末 作一貼 葱白一莖煎服[入門]

⑩ 신효산 神效散《世醫得效方》 治遠年近日 一切脾疼 遇食冷物 或天氣寒 陰冷便作 胸間一點痛起 或引入背膂 痛不可忍. 服之即絕根.
: 南木香 青皮 陳皮 麥櫱 大枳殼 京三稜 蓬莪朮 神麯 甘草炙各二錢半 北白芍藥 川白芷 肉桂去皮 延胡索 破故紙各二錢半 蓽澄茄 丁香各一錢. 上銼散 每服三錢 水一盞半 生薑三片 棗子一枚 煎至七分 空心服. 臨睡加鹽一捻 再煎兩沸. 忌麵食‧豆腐‧一切生冷.

⑪ 당귀사역탕 當歸四逆湯《衛生寶鑑》 治臍腹冷痛 相引腰胯而痛.
: 當歸尾七分 附子 官桂 茴香 柴胡各五分 芍藥四分 茯苓 玄胡索 川楝子各三分酒煮 澤瀉二分. 上十味㕮咀 作一服 水二盞半 煎至一盞 去渣 溫服 空心食前 數服而愈.

⑫ 여신탕 如神湯《東醫寶鑑》 治挫閃腰痛
: 玄胡索 當歸 桂心 杜仲薑汁炒 各等分 右爲末 每二錢 溫酒調下[雲岐]

cf. 여신탕 如神湯《婦人大全良方》  治男子‧婦人腰痛. (陳總領方)
: 延胡索 當歸 桂心 (等分. 一方無當歸 有杜仲). 上爲末 溫酒調下二錢. 甚者不過數服. (潭人滕珂云 此方得之於歙州祁門老醫 真是如神 故以名之)

⑬ 입안산 立安散《古今醫鑑》 〔批〕(按此方治閃挫腰痛之劑) 治氣滯腰痛 並閃挫腰痛 腎虛腰痛.
: 當歸一兩 官桂一兩 玄胡索炒 一兩 杜仲薑炒 一兩 小茴炒 一兩 木香五錢 牽牛一錢 半生半熟. 上為末 每服二匙 空心陳酒調下. 一方去牽牛 以酒煎服.

cf. 입안산 立安散《東醫寶鑑》 治挫閃氣滯腰痛
: 白牽牛頭末半生半炒二錢 當歸 肉桂 玄胡索 杜冲薑汁炒 茴香炒各一錢 木香半錢. 右爲末 空心 以溫酒調下二匙[醫鑑]

⑭ 불와산 不臥散《丹溪心法》 治頭痛.
: 豬牙皂角一錢 玄胡 靑黛些少. 上為末. 吹鼻中取涎.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44-5.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47-50.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58-9.


 




각주

  1.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양귀비과 식물은 각종 알칼로이드 성분이 풍부하여 동서양을 막론하고 주요한 약품으로 사용되었다. 양귀비과 식물 기원 한약재(전국한의과대학 공통교재 기준)로는 앵속각(罌粟殼), 현호색(玄胡索), 백굴채(白屈菜)가 대표적이다. 이 중 앵속각은 마약류 관련법에 저촉되어 사실상 사용 금지된 상태이며, 백굴채는 응용 처방이 극히 드물어 한방의료기관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 국내에 자생하는 다양한 현호색이 있으나 현재(2021년) 공정서에서는 2 종만 인정하고 있다. 본문의 ‘기원’ 참조.
  3. 《本草綱目》 玄胡索 好古曰 本名玄胡索 避宋眞宗諱 改玄爲延也
  4. 《雷公炮炙論》 心痛欲死 速覓延胡 以延胡索作散 酒服之 立愈也 (《證類本草》로부터 재인용)
  5. 《開寶本草》 主破血 產後諸病因血爲者, 婦人月經不調 腹中結塊 崩中淋露 暴血沖上 因損下血 或酒摩及煮服.
    《證類本草》 味辛溫無毒 主破血 產後諸病因血所爲者 婦人月經不調 腹中結塊 崩中淋露 產後血暈 暴血衝上 因損下血 或酒摩及煮服. 生奚國 根如半夏色黃(今附). 臣禹錫等謹按日華子云 除風治氣 暖腰膝 破癥癖 撲損瘀血 落胎 及暴腰痛
  6. 《珍珠囊藥性賦》 玄胡索理氣痛血凝 調經有助.
    《湯液本草》 延胡索 氣溫味辛 苦辛溫 無毒. 入手足太陰經. 《象》云 破血治氣 月水不調 小腹痛 暖腰膝 破癥瘕. 碎用. 《液》云 治心氣痛 小腹痛 有神. 主破血 產後諸疾 因血爲病者. 婦人月水不調 腹中結塊 崩漏淋露 暴血上行 因損下血.
    《本草發揮》 海藏云 一名玄胡索 避宋諱也. 治心氣痛 小腹痛如神. 入足厥陰經.
  7. 본문의 배합례 참조
  8. 《本草綱目》 時珍曰 玄胡索 味苦微辛 氣溫 入手 足太陰厥陰四經 能行血中氣滯 氣中血滯 故專治一身上下諸痛 用之中的 妙不可言.

    《本草滙言》凡治男婦長幼一身上下 諸因氣滯‧血滯爲病者 然於婦人爲尤宜. ··· 凡人身臟腑‧膜原‧溪谷隧道偏僻幽隱之處 一切行血藥之所不及至者.

  9. 《本草正義》 … 破滯行血之品  … 又兼能行氣 不專於破瘀見長 故能治內外上下氣血不宣之病 通滯散結 主一切肝胃胸腹諸痛 …
  10. = Corydalis turtschaninovii f. yanhusuo Y.H.Chou & Chun C.Hsu
  11. Corydalis yanhusuo만 인정
  12. Corydalis yanhusuo만 인정
  13. Corydalis yanhusuo만 인정
  14. 현호색 Corydalis turtschaninowii Besser, 애기현호색 C. remota Fisch. ex Maxim., 들현호색 C. ternata Nakai, 산현호색 C. ambigua Cham. et Schult. 을 모두 인정
  15. = 川楝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