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몰약(沒藥) Myrrha

몰약(沒藥) Myrrha

강의요약. 감람나무과(Burseraceae)에 딸린 나무인 몰약나무의 수지(oleo-gum resin)를 몰약(沒藥, myrrh1 )이라 한다. 기원전부터 고대의 중동을 중심으로 귀중한 약물2이자 방부제3, 분향료, 화장품 재료 등으로 쓰였다.
 동양권에는 중동과 인도의 생산품이 10세기 전에 페르시아의 상인에 의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당시에는 ‘말에서 떨어져 골절상을 입었을 때 묵은 것을 밀어 내어 새로운 피가 생기도록 하고, 낙태를 유발하며, 가슴과 배의 모든 통증과 치질로 헌 데(痔瘡), 산후의 하복통에 쓴다.4’라고 기록되었다.
 10세기 송나라 초기의 전문 본초서에서 그 효능을 ‘(어)혈을 깨트리고 통증을 멎게 한다(破血止痛)5’고 하였으며, 11-12세기에는 ‘타박상과 가슴과 배의 어혈, 골절상, 근골의 어혈로 인한 통증, 날붙이로 인한 상처 등에 통증이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심할 때 쓴다 … 뱃속에 덩어리가 잡힌 것과 묵은 피를 깨트리고 심한 붓기를 삭힌다 … 부인이 내상으로 인해 통증으로 고생할 때와 어지러우며 하복부가 갑자기 찌르는 듯 아플 때 많이 사용한다 …. 6 ’는 적응증이 종합되어 현재와 같은 활혈지통약(活血止痛藥)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후대의 의가 또한 이러한 견해7에서 벗어나지 않았으며, 응용처방8도 어체동통(瘀滯疼痛)을 동반하는 질환에 치우쳐 있다.
 한편, 대부분의 지통 처방에서 유향(乳香)과 같이 쓰이는데9, 두 약물의 차이를 ‘유향(乳香)은 활혈(活血)하고 몰약(沒藥)은 산혈(散血)한다.10’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는 몰약이 중동 지역에서 방부제로 사용되었다는 점과 동양권에서 심하게 헌 데(瘡)에 자주 응용되었다는 점11을 감안하면, 몰약이 유향에 비해 진균 등에 의한 각종 감염증12에 더 유효했음을 표현한 말이라 볼 수 있다.

【본초명《출전》】 沒藥《海藥本草》 13

【생약명】 Myrrha

【이명】 末藥《本草綱目》 

【약성가】

沒藥溫平能破血 撲損瘡傷痛可絶

【기원】

감람나무과(Burseraceae ; 橄欖科)에 속한 低矮灌木 혹은 喬木인 몰약나무(沒藥樹) Commiphora myrrha (Nees) Engl. [= C. molmol (Engl.) Engl. ex Tschirch]의 樹脂로, 樹幹에 切傷을 입히거나 또는 자연히 유출하여 응고된 樹脂를 채취한다.

⊂ KP, ChP, THP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群)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花類植物)
      진정국화군 I (Euasterids I ; 眞菊花一類植物) – 꿀풀군 (Lamiids ; 唇形類)
        무환자나무목(Sapindales ; 無患子目)
          감람나무과(Burseraceae ; 橄欖科)

몰약나무(沒藥樹) Commiphora myrrha (Nees) Engl.

[ 몰약나무(沒藥樹) Commiphora myrrha (Nees) Engl. ]

【성상】

몰약(沒藥) Myrrha

[ 몰약(沒藥) Myrrha. 상품(좌), 하품(우) ]

불규칙한 …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 紅褐色 또는 黃褐色으로 표면은 거칠고 粉이 붙어 있다. … 破碎面은 불규칙한 顆粒狀으로 褐色을 띠고 기름모양의 광택이 있으며 白色의 작은 點과 줄무늬가 있다. 薄片은 半透明하고 물과 같이 硏하면 黃色의 乳狀液이 된다.

※ 몰약을 天然沒藥과 膠質沒藥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기원식물의 차이가 아니라 ‘씹었을 때의 혀에 달라붙는 粘着性’에 기준하여 구분한것이고, 이는 산지에 따른 성분의 용량차이에 기인한다. 膠質이란 樹脂+小粒脂肪의 결정물을 말하며, 여기에 탄수화물류에 속하는 고무질이 있을 경우에 gum질이 확실하게 나타내게 된다. 膠質沒藥은 식물분포학적 특성상, 이디오피아 소말리아 등의 지역에 분포한다(중국에 유통되었던 대다수 沒藥은 인도산있던 것으로 추정함).

【산지】

소말리아 또는 이디오피아, 아라비아반도 남부, 인도 등에 분포한다.

【성분】

樹脂에는 α-/β-heerabomyrrholic acid, α-, β-/γ-commiphoric acid, commiphorin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휘발성 정유성분으로는 eugenol, m-cresol, cuminaldehyde, pinene, limonene 등이 있고, furanosesquiterpenoid 성분으로 8α-methoxyfuranodiene, 8α-acetylfuranodiene, curzerene 등이 있으며, 그 밖에 E,Z-guggulsterone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피부진균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다.
∙혈중지질 농도를 줄이는 작용이 있다.
∙갑상선호르몬유사작용(E,Z-guggulsterone), 위장운동촉진, 소염, 진통, 해열 작용을 한다.

 

【성미】 性平 味苦     【귀경】 肝脾經

【효능】 活血止痛 消腫生肌

【주치】 胸腹瘀痛 痛經經閉 癥瘕 跌打損傷 癰腫瘡瘍 腸癰 目赤腫痛 風濕痺痛

【해설】 

1. 活血止痛 : 善行走竄(芳香) → 活血散瘀 + 行氣通絡 → 自止疼痛 : 止痛의 良藥

2. 消腫生肌 : 外科와 傷科의 要藥.

 ┌ 金銀花·白蘞: 解毒消腫 – 初期 實證에 응용

 ├ 黃芪         : 補氣生肌 – 慢性 虛證에 응용

 └ 乳香·沒藥   : 行血消腫 鎭痛 – 전반적인 實證 腫痛에 응용

3. 乳香과 沒藥을 同用하면 活血止痛 작용이 증강(氣血凝滯의 疼痛에 相須하여 응용)

┌ 乳香 : 辛溫 活血止痛 消腫生肌 舒筋活絡 →  活血 위주

└ 沒藥 : 苦泄 活血散瘀 消腫生肌                 →  破血(散血) 위주

4. 止血劑로도 응용 : 惡瘡疽가 터져서 고름이 나오고 出血이 나는 경우와 쇠붙이에 상처가 생긴 경우 등에 外用하기도 하였음 ex. 仙方活命飮

【포제】

生用 또는 醋炒하여 사용 or 술에 녹여 泥狀이 되면 水飛14하여 사용.

【용량】

4~12g.

【금기】

胃弱者는 愼服하며, 骨節痛과 胸膜脇肋痛이 瘀血停留로 인하지 않은 者, 血虛者, 産後에 惡露過多로 腹中虛痛者 및 孕婦에는 服用을 忌한다. 乳香과 沒藥 모두 맛이 쓰고 탁하여 다량을 내복할 경우에 惡心嘔吐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다용하지 않도록 한다.

【배합례】

① 血竭을 配合하여 産後血暈, 健忘失志 등에 응용
탈명산 奪命散《東醫寶鑑》 治血暈譫妄
: 沒藥 血竭 各等分 右爲末 每三錢 以童便好酒 各半盞煎數沸 調服神效. 一名血竭散[丹心]

cf. 탈명산 奪命散 《醫宗金鑑•婦科心法要訣》 … 產婦胞衣下不者 或因初產用力困乏 風冷相干致血瘀凝, 或因下血過多 血枯產路乾澁, 或血入胞衣 脹滿疼痛 皆能使胞衣不下. 均當急用奪命散 … 若因惡露不行 敗血上攻於肺而喘者 必面色紫黑 宜奪命散下瘀 瘀去喘自定 … 產後門匯方.
: 沒藥 血竭 各等分. 上研爲細末 才產下 便用童便細酒各半杯 煎一兩沸 調下二錢 良久再服. 其惡血自下行 便不衝上 免生百疾

cf. 비방탈명산 秘方奪命散《東醫寶鑑》  治一切癰疽 無名惡瘡 能內托 令自消.
: 天花粉二錢 穿山甲蛤粉炒 赤芍藥 甘草節 各一錢 防風 白芷 皂角刺 金銀花 陳皮 各七分 當歸尾 貝母 乳香 各五分 右剉作一貼 好酒一大碗煎服[丹心]

② 血竭 麝香 氷片 乳香 紅花 등을 配合하여 跌打損傷, 瘀血腫痛, 筋斷骨節 등에 응용
칠리산 七厘散 = 傷科七厘散 《良方集腋》 活血化瘀止血 消腫止痛 理氣開竅 外用止血生肌. 治跌打損傷 滯作痛 骨斷筋折 創傷出血. 外敷一切無名腫毒.
: 血竭1兩 麝香1分2厘 冰片1分2厘 乳香1錢5分 沒藥1錢5分 紅花1錢5分 硃砂1錢2分 兒茶2錢4分. 黃酒沖服或調敷.

③ 當歸 丹蔘 乳香 등을 配合하여 心腹疼痛, 臂痛, 跌打瘀腫, 內外瘡瘍, 癥瘕積聚 등에 응용
활락교령단 活絡效靈丹《醫學衷中參書錄》 治氣血凝滯 痃癖癥瘕 心腹疼痛 腿疼臂疼 內外瘡瘍 一切臟腑積聚 經絡湮淤
: 當歸五錢 丹蔘五錢 生明乳香五錢 生明沒藥五錢. 上藥四味作湯服 若爲散 一劑分作四次服 溫酒送下.

④ 玄胡索 五靈脂 草果 등을 配合하여 心脾氣痛에 응용
수념산 手拈散《東醫寶鑑》 治九種心痛及心脾痛極驗.
: 草果 玄胡索 靈脂 幷沒藥 酒調三二錢 一似手拈却[綱目]

 cf. 수념산 手拈散《醫學心悟》 治血積心痛.
: 元胡索醋炒 香附酒炒 五靈脂去土醋炒 沒藥箬上炙乾. 等分共爲細末 每服三錢 熱酒調下. 血老者 用紅花五分 桃仁十粒 煎酒調下.

⑤ 신효과루산 神效瓜蔞散《東醫寶鑑》 治乳癰及㛋巖神效.
: 黃瓜蔞大者一箇去皮焙爲末 子多者有力 甘草 當歸酒浸焙各五錢 乳香 沒藥竝另硏各二錢半 右爲末 好酒三升於銀石器內 慢火熬至一升半 去滓分作三服 食後良久服之. 如㛋巖服此 可杜絶病根. 如毒氣已成 能化膿爲黃水 毒未成則卽於大小便中通利. 病甚則再合服以差爲度[精要] ○ 一方酒水各半煎服[入門]

cf. 신효괄루산 神效栝蔞散《壽世保元》 婦人乳腫作痛欲成癰毒.
: 大栝蔞黃熟者一個連皮子穰重重紙包火煨搗爛每一劑半個 白芷一錢五分 元參二錢 升麻五分 歸尾二錢 桔梗一錢 連翹二錢 柴胡一錢 青皮一錢 天花粉一錢五分 穿山甲炒一錢 川芎八分 知母一錢 木通一錢 木鱉子兩個 元胡索二分. 上銼一劑 水煎溫服.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42-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44-7.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48-50.


 




각주

  1. 영문명. ‘쓴맛’을 뜻하는 아랍어 ‘ܡܪܝܪܐ(murr)’에서 유래하였다.
  2. https://web.archive.org/web/20110930043102/http://www.worldagroforestrycentre.org/sea/products/afdbases/af/asp/SpeciesInfo.asp?SpID=17990
  3. 고대 이집트에서 미라를 만들 때 시신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쓰였다.
  4. 《海藥本草》 沒藥. 謹按徐表《南州記》 生波斯國 是彼處松脂也 狀如神香 赤黑色. 味苦辛溫無毒 主折傷馬墜 推陳置新 能生好血. 凡服皆須研爛 以熱酒調服 近效. 墮胎 心腹俱痛 及野雞漏痔 產後血氣痛 並宜丸散中服爾 (《大觀》卷十三頁40, 《政和》頁331, 《綱目》頁1303)
  5. 《開寶本草》 沒藥. 味苦平無毒. 主破血止痛 療金瘡杖瘡 諸惡瘡痔漏 卒下血 目中翳暈痛膚赤. 生波斯國 似安息香 其塊大小不定 黑色.
  6. 《證類本草》 沒藥. 味苦 平 無毒. 主破血止痛 療金瘡杖瘡 諸惡瘡痔漏 卒下血 目中翳暈痛膚赤. 生波斯國. 似安息香 其塊大小不定 黑色. (今附) 臣禹錫等謹按藥性論云 沒藥單用亦得. 味苦辛. 能主打搕損 心腹血瘀 傷折踒跌 筋骨瘀痛 金刃所損 痛不可忍. 皆以酒投飲之. 良. 日華子云 破癥結 宿血 消腫毒. 圖經曰 沒藥 生波斯國 今海南諸國及廣州或有之. 木之根之株皆如橄欖 葉青而密. 歲久者 則有膏液流滴在地下 凝結成塊 或大或小 亦類安息香. 採無時. 今方: 多用治婦人內傷痛楚 又治血暈及臍腹㽲刺者. 沒藥一物 研細 溫酒調一錢 便止. 又治歷節諸風 骨節疼痛 晝夜不可忍者. 沒藥半兩 研 虎脛骨三兩塗酥炙黃色 先搗羅爲散 與沒藥同研令細. 溫酒調二錢 日三服 大佳. 海藥: 謹按徐表《南州記》 生波斯國 是彼處松脂也. 狀如神香 赤黑色. 味苦辛溫無毒. 主折傷馬墜 推陳置新 能生好血. 凡服皆須研爛 以熱酒調服 近效. 墮胎心腹俱痛及野雞漏痔 產後血氣痛 並宜丸散中服爾.
  7. 《本草衍義》 沒藥 大概通滯血. 打撲損疼痛 皆以酒化服. 血滯則氣壅淤 氣壅淤則經絡滿急 經絡滿急故痛且腫. 凡打撲著肌肉須腫脹者 經絡傷 氣血不行壅淤 故如是.

    《神農本草經疏》 沒藥. 味苦 平 無毒. 主破血止痛 療金瘡 杖瘡 諸惡瘡 痔漏 卒下血 目中翳暈痛膚赤. 【疏】 沒藥稟金水之氣以生 故味苦平無毒. 然平應作辛 氣應微寒. 氣薄味厚 陰也 降也. 入足厥陰經. 凡惡瘡痔漏 皆因血熱瘀滯而成. 外受金刃及杖傷作瘡 亦皆血肉受病 血肉傷則瘀而發熱作痛. 此藥苦能泄 辛能散 寒能除熱 水屬陰 血亦屬陰 以類相從 故能入血分散瘀血 治血熱諸瘡 及卒然下血證也. 肝開竅於目 目得血而能視 肝經血熱則目爲赤痛浮翳 散肝經之血熱則目病除矣. 【主治參互】 同延胡索‧乳香‧乾膝‧鱉甲‧琥珀為末 治產後血暈 有神效. 加人參‧澤蘭‧生地‧益母草‧蘇木 作湯送前藥. 治兒枕痛 及惡露未淨 腹痛寒熱等證立效. 同乳香‧白及‧白蘞‧紫花地丁‧半枝蓮‧夏枯草‧忍冬藤‧連翹‧甘菊‧貝母 治一切癰疽疔腫. 同乳香‧當歸‧牡丹皮‧牛膝‧續斷‧川芎‧番降香‧穿山甲 治內傷胸脅骨痛. 入一切膏藥 能消毒止痛長肉. 《御藥院方》: 筋骨損傷. 米粉四兩炒黃 入沒藥‧乳香末各半兩 酒調成膏 攤貼之. 《奇效良方》: 金刃所傷未透膜者. 乳香‧沒藥各一錢 以童子小便半盞 酒半盞 溫化服之. 《圖經本草》: 婦人腹痛內傷㽲刺. 沒藥末一錢 酒服便止. 又治婦人血暈 方同. 《婦人良方》: 產後惡血. 沒藥‧血竭末各一錢 童便‧溫酒各半盞 煎沸服 良. 《危氏得效方》: 女人異疾 月事退出 皆作禽獸之形 欲來傷人. 先將綿塞陰戶 乃頓服沒藥末一兩 白湯調下 即愈. 【簡誤】 孕婦不宜服. 凡骨節痛 與夫胸腹脅肋痛 非瘀血停留 而因於血虛者不宜用. 產後惡露去多 腹中虛痛者不宜用. 癰疽已潰不宜用. 目赤浮翳 非血熱甚者不宜用. 大概其功長於通滯血 血滯則氣亦壅 氣血壅滯則經絡滿急 經絡滿急故發腫作痛 打撲踠跌亦傷經絡血分 血氣不行故壅滯作腫痛也. 沒藥善通壅滯之血. 血行則氣亦行 氣血流通則腫痛自止矣. 故為諸瘡癰 及金瘡‧杖瘡‧跌撲傷損‧腹中血結作痛之要藥 而不主諸虛也.

    《本草蒙筌》 沒藥. 味苦‧辛 氣平. 無毒. 黃黑類安息香 出產自波斯國. 亦木脂液 逐日結凝成塊, 大小不侔 斷碎光瑩可愛. 擂細入藥 制同乳香. 主墜墮跌打損傷 療癰疽瘡瘻潰腐. 破血立效 止痛如神.

    《本草滙言》 ··· 善通壅滯之血 治一切傷損 腹中血結作痛要藥 而不主諸虛也. 凡骨節間與夫胸‧腹‧脅肋‧背胛‧腰脊之痛.

  8. 본문의 배합례 및 유향(乳香)의 배합례 참조.
  9. 《醫學衷中參西錄》 乳香 善透竅以理氣. 沒藥 善化瘀以理血. ··· 二藥並用爲宣通臟腑流通經絡之要藥 故凡心胃脅腹肢體關節諸疼痛皆能治之 又善治女子行經腹疼 產後瘀血作疼 月事不以時下. 其通氣活血之力 又善治風寒濕痹 周身麻木 四肢不遂及一切瘡瘍腫疼 或其瘡硬不疼. 外用爲粉以敷瘡瘍 能解毒‧消腫‧生肌‧止疼 雖爲開通之品 不至耗傷氣血 誠良藥也. ··· 乳香‧沒藥不但流通經絡之氣血 諸凡臟腑中 有氣血凝滯 二藥皆能流通之.
  10. 《本草綱目》 沒藥(宋《開寶》)
    【釋名】末藥. 時珍曰: 沒‧末皆梵言.
    【集解】志曰: 沒藥生波斯國. 其塊大小不定 黑色 似安息香. 頌曰: 今海南諸國及廣州或有之. 木之根株皆如橄欖 葉青而密. 歲久者 則有脂液流滴在地下 凝結成塊 或大或小 亦類安息香. 採無時. 珣曰: 按: 徐表《南州記》云: 是波斯松脂也. 狀如神香 赤黑色. 時珍曰: 按: 《一統志》云: 沒藥樹高大如松 皮厚一‧二寸. 採時掘樹下為坎 用斧伐其皮 脂流於坎 旬余方取之. 李珣言乳香是波斯松脂 此又言沒藥亦是松脂 蓋出傳聞之誤爾. 所謂神香者 不知何物也?
    【修治】同乳香.
    【氣味】苦 平 無毒.
    【主治】破血止痛 療金瘡杖瘡 諸惡瘡痔漏 猝下血 目中翳暈痛膚赤(《開寶》). 破癥瘕宿血 損傷瘀血 消腫痛(大明). 心膽虛 肝血不足(好古). 墮胎 及產後心腹血氣痛 併入丸散服(李珣). 散血消腫 定痛生肌(時珍).
    【發明】權曰: 凡金刃所傷 打損踠跌‧墜馬 筋骨疼痛 心腹血瘀者 並宜研爛熱酒調服. 推陳致新 能生好血. 宗奭曰: 沒藥 大概通滯血. 血滯則氣壅瘀 氣壅瘀則經絡滿急 經絡滿急故痛且腫. 凡打撲踠跌 皆傷經絡 氣血不行 瘀壅作腫痛也. 時珍曰: 乳香活血 沒藥散血 皆能止痛消腫生肌. 故二藥每每相兼而用.
    【附方】舊三 新六.
    歷節諸風 骨節疼痛 晝夜不止: 沒藥末半兩 虎脛骨(酥炙 爲末)三兩. 每服二錢 溫酒調下. (《圖經本草》)
    筋骨損傷: 米粉四兩(炒黃) 入沒藥‧乳香末各半兩 酒調成膏 攤貼之. (《御藥院方》)
    金刃所傷未透膜者: 乳香‧沒藥各一錢 以童子小便半盞 酒半盞 溫化服之. 爲末亦可. (《奇效良方》).
    小兒盤腸氣痛: 沒藥‧乳香等分. 爲末. 以木香磨水煎沸 調一錢服 立效. (湯氏《嬰孩寶書》)
    婦人腹痛 內傷㽲刺: 沒藥末一錢 酒服便止. (《圖經本草》)
    婦人血暈: 方同上. 血氣心痛: 沒藥末二錢 水一盞 酒一盞 煎服. (《醫林集要》)
    產後惡血: 沒藥‧血竭末各一錢 童子小便‧溫酒各半盞 煎沸服 良久再服. 惡血自下 更不生痛. (《婦人良方》)
    女人異疾: 女人月事退出 皆作禽獸之形 欲來傷人. 先將綿塞陰戶 乃頓服沒藥末一兩 白湯調下 即愈. (危氏方)
  11. 《醫學入門》 治瘡散血之科. 凡血滯則氣壅 經絡滿急而作痛腫 此藥推陳致新 故能破宿血 消腫止痛 爲瘡家奇藥也. 

    《本草新編》 消腫突惡瘡‧癰疽潰腐, 破血止痛如神.

    《本草備要》 ··· 治金瘡杖瘡(血肉受傷, 故瘀而發熱作痛) 惡瘡痔漏 翳暈目赤(肝經血熱) ···.

  12. 본문의 작용 및 https://web.archive.org/web/20110930043102/http://www.worldagroforestrycentre.org/sea/products/afdbases/af/asp/SpeciesInfo.asp?SpID=17990 참조
  13.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 공통교재에서는 출전을 《開寶本草》로 제시하였으나, 이전의 《海藥本草》에 먼저 수재되었으므로 여기에서는 이에 따랐다.
    李珣. 海藥本草. 五代十國, 907-960. In: 尙志鈞 (ed). 海藥本草(輯校本). 北京:人民衛生出版社.1997:58.
  14. 몰약이 잠기도록 술을 붓고 비닐랩을 씌워 약간의 구멍을 뚫은 뒤 전자레인지나 오븐으로 가열과 교반을 반복하여 얻은 혼탁액을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