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유향(乳香) Olibanum

유향(乳香) Olibanum

강의요약. 감람나무과(Burseraceae)에 딸린 유향나무 및 그 동속근연종의 수지(resin)를 ‘젖(乳) 빛깔의 향(香)’이란 뜻에서 유향(乳香)이라 한다.
 동양권에 유입되었을 당시에는 분향료(焚香料)로 취급되었다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뒤에야 약물로 자리 잡은 듯하다. 1
 8세기에 ‘귀가 먹은 것, 중풍으로 입을 꽉 다물어져 말하지 못하는 것, 여성의 혈기(血氣)를 다스리고 능히 발주(能發酒)2한다. 풍냉(風冷)을 다스리며, 심한 설사를 그치게 하고, 모든 헌 데(瘡)를 안에서 삭힌다. 3’고 한 것과, 10세기에 ‘기(氣)를 내리고 정(精)을 더하며 허리와 무릎을 보한다. 신기(腎氣)를 다스려 곽란(霍亂)을 멎게 하며 심한 나쁜 기운으로 흉복강이 아픈 것과 아랫배가 아픈 것을 다스린다. 졸여서 고약으로 만든 것은 통증을 멎게 해서 살을 기른다.4’고 한 내용이 11세기5에도 비슷하게 반복되어 기록된 것으로 볼 때, 이 때까지만 해도 약물로서의 유향에 대한 인식이 완전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에 단편적으로 기록된 사용례6와 그 뒤 12-13세기의 ‘모든 경(經)의 통증을 바로 잡는다.7’는 내용으로 보아 남송~금원의 시기를 거쳐 활혈지통약(活血止痛藥)으로 자리 잡았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 효능에 대해서 후대의 의가는 ‘혈(血)을 생기 있게 하여 통증을 바로 잡는다(活血定痛).8’는 데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한편, 수많은 처방에서 몰약(沒藥)과 같이 쓴 것을 두고, ‘유향은 활혈(活血)하고 몰약은 산혈(散血)하여 통증을 멎게 하고 새 살을 돋게 하는 게 비슷하다.9’고 하면서도 일부 의가는 몰약이 소종(消腫)에 장점이 있음10을 피력11하였다. 이를 반영하듯 흉복강의 통증, 비증(痺證)으로 인한 통증, 골절상으로 인한 통증, 여성의 하복부 통증, 심한 종기나 부스럼으로 인한 내외부의 통증 등 각종 통증에 유향과 몰약을 병용하여 왔다12.
 한편, 현재(2021년) 국내에서 ‘보스웰리아’라고 시중에 판매되는 제품은 이 유향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13이다. 그러나 실증에 사용하는 약물인 만큼 허약자가 무분별하게 장기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14해야 한다.

【본초명《출전》】 乳香《別錄》

【생약명】 Olibanum

【이명】 熏陸香《別錄》 馬尾香《海藥本草》 乳頭香《海藥本草》 西香《本草衍義》

【약성가】

乳香辛苦止痛奇 心腹卽安瘡生肌

【기원】

감람나무과(Burseraceae ; 橄欖科)에 딸린 떨기나무인 유향나무(乳香樹) Boswellia sacra Flueck. 15또는 동속근연식물의 幹皮에서 滲出한 樹脂로, 봄에서 여름 사이에 樹幹에 상처를 내어 흘러 나오는 樹脂를 응고시켜 채취한다.

⊂ KHP, ChP, THP, DPRKP16

※ 기원 및 품질, 유통상황, 혼위품 등의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群)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花類植物)
      진정국화군 I (Euasterids I ; 眞菊花一類植物) – 꿀풀군 (Lamiids ; 唇形類)
        무환자나무목(Sapindales ; 無患子目)
          감람나무과(Burseraceae ; 橄欖科)

유향나무(乳香樹) Boswellia sacra

[ 유향나무(乳香樹) Boswellia sacra Flueck. ]

【性狀】

유향(乳香) Olibanum

[ 유향(乳香) Olibanum. 

(사진 위 → 아래 순) 상품의 유향, 시간이 지나 변색된 것, 잡질이 혼입된 것, 기원이 불분명한 것 ]

… 고르지 않은 작은 덩어리 … 표면은 … 여러 가지 색을 띠며 겉에 白色의 고운 가루가 묻어 있고 반투명 …

※ 기원 및 품질, 유통상황, 혼위품 등의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産地】

아라비아반도(오만, 예멘)나 북동아프리카(소말리아) 등에 자생하며 이집트, 리비아, 수단, 터키 등에도 분포한다.

【成分】 ※ 유향(乳香)의 성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수지에는 α-/β-boswellic acid(33%), combined boswellic acid(1.5%), olibanoresene(33%), O-acetyl-β-boswell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樹膠는 arabic acid의 calcium salt와 magnesium salt(20%), bassorin(6%)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amaroid도 함유되어 있다. 휘발성 정유성분은 담황색으로 방향성이 있는데, 주요 성분으로는 pinene, limonene, α/β-phellandrene, α-campholenaldehyde, cuminaldehyde 등이 있다.

【작용】

진통, 소염(boswellic acid), 면역억제 작용이 있다.

 

【성미】 性溫 味辛苦     【귀경】 心肝脾經

【효능】 活血止痛 消腫生肌 舒筋活絡

【주치】 氣血凝滯 心腹疼痛 風濕痹痛 趺打損傷 經閉痛經 産後瘀血刺痛 癰瘡腫毒 腸癰

【해설】 

1. 活血止痛(內服)

 : 辛散 苦泄 溫通 香走竄 → 活血消瘀 行氣宣通經<絡 → 止痛 伸筋 消腫生肌 → 瘀血阻滯로 인한 제반 疼痛에 응용

① 氣血凝滯로 인한 痹痛筋攣

② 瘀血阻滯로 인한 心腹諸痛과 痛經, 産後瘀血刺痛, 跌打瘀痛, 癰疽瘡瘍, 痺痛筋攣 瘡瘍久不收斂 등에 모두 응용 가능

③ 打撲으로 인한 筋肉疼痛

2. 消腫生肌(外用) : 癰疽瘡瘍 및 瘡瘍久不收斂 등 證에 모두 適用

3. 止痛力이 비교적 강함 : 外科疾患과 傷科에 더욱 要藥이 되며, 內服과 外用을 막론하고 양호한 효과

4. 실험적으로 협심증의 격렬한 통증에 양호한 진통효과가 있다고 하였음

【포제】

生用하거나, 微炒 또는 醋炒하여 사용한다. 술을 붓고 저어서 泥狀이 되면 水飛하여 사용하기도 한다.17

【용량】

4~12g. 乳香과 沒藥 모두 맛이 쓰고 탁하므로 다량을 내복할 경우에 惡心嘔吐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다용하지 않도록 한다.

【금기】

癰疽已潰者와 膿多者 및 孕婦는 服用을 忌한다.

【배합례】

활락교령단 活絡效靈丹《醫學衷中參書錄》 治氣血凝滯 痃癖癥瘕 心腹疼痛 腿疼臂疼 內外瘡瘍 一切臟腑積聚 經絡湮淤
: 當歸五錢 丹蔘五錢 生明乳香五錢 生明沒藥五錢. 上藥四味作湯服 若為散 一劑分作四次服 溫酒送下.

安息香 朱砂 犀角 麝香 氷片 등을 配合하여 昏迷不省에 응용
소합향환 蘇合香丸= 흘력가환 吃力伽丸《外臺秘要》 廣濟療傳尸骨蒸 殗殜肺痿 疰忤鬼氣 猝心痛 霍亂吐痢 時氣鬼魅瘴瘧 赤白暴痢 瘀血月閉 痃癖疔腫 驚癇鬼忤中小兒吐乳 大人狐狸等病 吃力伽丸方
: 吃力伽白朮是也 光明砂 訶黎勒皮 麝香當門子 香附子 丁子香 沉香重者 蓽茇 白檀香 青木香 安息香 犀角屑各二兩 薰陸香 蘇合香 龍腦各半兩. 上十五味搗篩 白蜜和為丸. 每朝取井花水服如梧子四丸 於淨器中研破服之 老小一丸. 以蠟裹一丸如彈丸 緋絹袋盛當心帶之 一切邪鬼不敢近 千金不傳 冷水暖水臨時量之. 忌五辛生血物 以臘月合 神前藏之密器中 勿令泄藥氣 神驗.

③ 羌活 防風 獨活 등을 配合하여 風濕痹痛, 筋骨拘攣에 응용
견비탕 蠲痹湯《醫學心悟》 通治風寒濕三氣 合而成痹.
: 羌活行上力大 獨活行下力專 各一錢 桂心五分 秦艽一錢 當歸三錢 川芎治風先治血七分 甘草炙五分 海風藤二錢 桑枝三錢 乳香透明者 木香止痛須理氣各八分. 水煎服. 風氣勝者 更加秦艽防風, 寒氣勝者 加附子, 濕氣勝者 加防己萆苡仁, 痛在上者 去獨活 加荊芥, 痛在下者 加牛膝, 間有濕熱者 其人舌乾 喜冷 口渴 溺赤 腫處熱辣 此寒久變熱也 去肉桂 加黃柏三分.

川烏 南星 乳香 등을 配合하여 痺證과 關節疼痛으로 屈伸不利한 證을 치료
소활락단 小活絡丹= 활락단 活絡丹《太平惠民和劑局方》 治丈夫元臟氣虛 婦人脾血久冷 諸般風邪濕毒之氣 留滯經絡 流注腳手 或發赤腫 行步艱辛 腰腿沉重 腳心吊痛 及上衝腹脅膨脹 胸膈痞悶 不思悶亂 及一切痛風走注 渾身疼痛
: 川烏炮去皮臍 草烏炮去皮臍 地龍去土 天南星炮各六兩 乳香 沒藥硏 各二兩二錢. 上為細末 入研藥和勻 酒面糊為丸 如梧桐子大 每服二十丸 空心 日午冷酒送下 荊芥茶下亦得.

⑤ 접골자금단 接骨紫金丹《醫學入門》 治跌打骨折 瘀血攻心 發熱昏暈及瘀血自下 吐血等症. 如遇經事不調 每服加麝七釐即通.
: 土鱉 自然銅 骨碎補 大黃 血竭 歸尾 乳香 沒藥 硼砂 各等分. 為末 每八釐 熱酒調服 其骨自接.

⑥ 현호색탕 玄胡索湯= 연호색탕 延胡索湯《嚴氏濟生方》 治婦人室女 七情傷感 遂使血與氣並 心腹作痛 或連腰脅 或引背膂 上下攻刺 甚作搐搦 經候不調 但是一切血氣疼痛 並可服之
: 當歸去蘆酒浸銼炒 玄胡索炒去皮 蒲黃 赤芍藥 官桂不見火各半兩 片子薑黃洗 乳香 沒藥 木香不見火各三兩 甘草炙二錢半. 上㕮咀 每服四錢 水一盞半 生薑七片 煎至七分 去滓 食前溫服. 吐逆加半夏橘紅各半兩.

진령단 震靈丹= 자금단 紫金丹《太平惠民和劑局方》 此丹不犯金石飛走有性之藥 不僭不燥 奪造化沖和之功. 大治男子真元衰憊 五勞七傷 臍腹冷疼 肢體痠痛 上盛下虛 頭目暈眩 心神恍惚 血氣衰微 及中風癱緩 手足不遂 筋骨拘攣 腰膝沉重 容枯肌瘦 目暗耳聾 口苦舌乾 飲食無味 心腎不足 精滑夢遺 膀胱疝墜 小腸淋瀝 夜多盜汗 久瀉久痢 嘔吐不食 八風五痹 一切沉寒痼冷 服之如神. 及治婦人血氣不足 崩漏虛損 帶下久冷 胎臟無子 服之無不愈者.
: 禹餘糧火煅醋淬不計遍以手捻得碎為度 紫石英 赤石脂 丁頭代赭石如禹餘糧炮製各四兩 以上四味 並作小塊 入甘鍋內 鹽泥固濟 候乾 用炭一十斤煅通紅 火盡為度 入地坑埋 出火毒 二宿. 滴乳香別研 五靈脂去沙石研 沒藥去沙石研各二兩 硃砂水飛過一兩. 上件前後共八味 併為細末 以糯米粉煮糊為丸 如小雞頭大 曬乾出光. 每一粒 空心溫酒下 冷水亦得. 常服鎮心神 駐顏色 溫脾腎 理腰膝 除屍疰蠱毒 闢鬼魅邪癘. 久服輕身 漸入仙道. 忌豬羊血 恐減藥力. 婦人醋湯下 孕婦不可服. 極有神效 不可盡述.

소금단 小金丹《外科證治全生集》 治一切陰疽 流注 痰核 瘰癧 乳岩 橫痃等證
: 白膠香 草烏 五靈脂 番木鱉另有製法 地龍各一兩五錢末 乳香去油 沒藥去油 歸身各七錢五分末 麝香三錢 墨炭一錢二分即陳年錠子墨略燒存性研細. [批] 番木鱉 水浸半月 煮數沸 再浸熱湯中數日 刮去皮心 用香油煎百余沸 撈炒 入盆中拌罨一夜去土用. 上各末稱足 共歸一處和勻 用糯米一兩二錢研粉為濃糊和入諸末 搗千棰為丸如芡實大. 此浸藥 用小杯合蓋 約浸一二時 以銀物加研 熱陳酒沖服 醉蓋取汗. 凡流注等證初起 服消乃止. 如成膿將潰 潰久者當以十丸作五日早晚服 杜其流走 庶不增出. 但方內五靈脂與人參相反 不可與有參之藥同日服. 孕婦忌此.

⑨ 유향정통산 乳香定痛散《雜病源流犀燭》 治潰爛後痛
: 乳香 沒藥各五錢 寒水石一兩 冰片一錢 研末 搽患處 痛即止

天花粉 當歸 生甘草 등을 配合하여 癰瘍初起 紅腫熱痛에 응용에 응용된다
선방활명음 仙方活命飲《校註婦人良方》 治一切瘡瘍 未成者即散 己成者即潰 又止痛消毒之良劑也.
: 白芷  貝母 防風 赤芍藥 當歸尾 甘草節 皂角刺 穿山甲 天花粉 乳香 沒藥各一錢 金銀花 陳皮各三錢. 上用酒一大碗 煎五七沸服.

⑪ 서황단 犀黃丸《外科證治全書》 治乳岩 瘰癧 痰核 橫痃 流注 肺癰 腸癰等證
: 於醒消丸內去雄精加犀黃三分 如前法為丸. 每服三錢 熱陳酒送下. 患生上部臨臥服 下部空心服.

  성소환 醒消丸《外科證治全書》 治一切癰毒壅腫 血凝氣滯 紅熱疼痛 其效如神
: 制乳香一兩 制沒藥一兩 雄精五錢 麝香三分. 上研和 取黃米飯一兩搗爛 入藥末再搗為丸 蘿蔔子大 曬乾 忌烘. 每服三錢 熱陳酒送下 醉蓋取汗. 待酒醒則癰消痛止矣.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41-2.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41-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56-58.


 




각주

  1. https://foramedica.net/archives/1445
  2. 이 ‘能發酒’라는 문구는 후대의 서적에서 문장을 그대로 인용하면서도 별다른 설명없이 넘어가거나, 슬그머니 삭제되는 등의 방식으로 외면받았다. 다만, 《證類本草》의 ‘博濟方治子死腹中 ‧‧‧ 如患者 令酒磨下一丸’, 《本草綱目》의 ‘或言乳香入丸藥 以少酒研如泥 以水飛過 曬乾用’, 《本草滙言》의 ‘修治 用酒浸 研如泥 如作末 用糯米數粒’ 등의 내용으로 볼 때,  ‘술과 함께 복용’하거나 ‘술로 갈아서 쓴다’는 의미로 추정할 수 있다.
  3. 《本草拾遺》 乳香 治耳聾 中風口噤不語 婦人血氣 能發酒 理風冷 止大腸泄澼 療諸瘡令內消
  4. 《日華子諸家本草》 味辛熱微毒. 下氣 益精 補腰膝. 治腎氣 止霍亂 沖惡中邪氣 心腹痛 疰氣. 煎膏止痛長肉 入丸散微炒殺毒 得不黏.
  5. 《證類本草》 乳香. 微溫. 療風水毒腫 去惡氣 療風癮疹癢毒. 日華子云: 味辛 熱 微毒. 下氣 益精 補腰膝 治腎氣 止霍亂 沖惡中邪氣 心腹痛 疰氣. 煎膏止痛長肉 入丸散微炒殺毒 得不黏. 陳藏器云: 蓋薰陸之類也. 其性溫. 療耳聾 中風口噤 婦人血氣 能發酒 理風冷 止大腸泄澼 療諸瘡令內消. 圖經文具沉香條下. 海藥云: 乳頭香 謹按《廣志》云: 生南海. 是波斯松樹脂也. 紫赤如櫻桃者爲上 仙方多用辟穀 兼療耳聾 中風 口噤不語 善治婦人血氣 能發粉酒 紅透明者爲上. 簡要濟眾催生方: 乳香一分黃明者 細研爲末 取母豬血和令勻 丸梧桐子大 每服五丸 酒下 博濟方治子死腹中. 黃明乳香 以端午日午時或歲除夜收豬心血相和 研爲丸如雞頭大 以紅絹袋盛 掛於門上. 如患者 令酒磨下一丸. 又方治急慢驚風. 乳香半兩 甘遂半兩同研細. 每服半錢 用乳香湯調下 或小便調 妙. 靈苑方治甲疽 胬肉裹甲膿血 疼痛不瘥 凡此疾 須剔去肉中甲 不治亦愈. 或已成瘡不瘥用此法 乳香末 膽礬燒研 等分敷之 肉消愈. 沈存中乳香即薰陸香也. 如乳頭者爲乳香 榻地者爲榻香. 丹房鏡源乳香啞銅.
  6. 위 《證類本草》 참조
  7. ≪湯液本草≫ 乳香 苦陽 珍(《珍珠囊》, 1186년)云 定諸經之痛
  8. 《本草綱目》 薰陸香 (乳香)(《別錄》上品)
    【釋名】馬尾香(《海藥》)‧天澤香(《內典》)‧摩勒香(《綱目》)‧多伽羅香.
    宗奭曰: 薰陸即乳香 為其垂滴如乳頭也. 熔塌在地者為塌香 皆一也.
    時珍曰: 佛書謂之天澤香 言其潤澤也. 又謂之多伽羅香 又曰杜嚕香. 李珣言薰陸是樹皮 乳是樹脂. 陳藏器言乳是薰陸之類. 寇宗奭言是一物.
    陳承言薰陸是總名 乳是薰陸之乳頭也. 今考《香譜》言乳有十餘品 則乳乃熏陸中似乳頭之一品爾. 陳承之說為近理. 二物原附沉香下 宋《嘉祐本草》分出二條 今據諸說 合併爲一.
    【集解】恭曰: 薰陸香形似白膠香 出天竺者色白 出單于者夾綠色 香亦不甚.
    珣曰: 按: 《廣志》云: 薰陸香是樹皮鱗甲 採之復生. 乳頭香生南海 是波斯松樹脂也 紫赤如櫻桃 透明者為上. 藏器曰: 乳香 即薰陸之類也. 禹錫曰: 按: 《南方異物志》云: 薰陸出大秦國. 在海邊有大樹 枝葉正如古松 生於沙中. 盛夏木膠流出沙上 狀如桃膠. 夷人採取賣與商賈 無賈則自食之. 宗奭曰: 薰陸 木葉類棠梨 南印度界阿吒釐國出之 謂之西香 南番者更佳 即乳香也.
    承曰: 西出天竺 南出波斯等國. 西者色黃白 南者色紫赤. 日久重疊者 不成乳頭 雜以沙石. 其成乳者 乃新出未雜沙石者也. 薰陸是總名 乳是薰陸之乳頭也. 今松脂‧楓脂中 亦有此狀者甚多. 時珍曰: 乳香今人多以楓香雜之 惟燒之可辨. 南番諸國皆有. 《宋史》言乳香有一十三等. 按: 葉廷珪《香錄》云: 乳香一名薰陸香 出大食國南 其樹類松. 以斤斫樹 脂溢於外 結而成香 聚而成塊. 上品爲揀香 圓大如乳頭 透明 俗呼滴乳. 次曰明乳 其色亞於揀香. 又次爲瓶香 以瓶收者. 又次曰袋香 言收時只置袋中. 次爲乳塌 雜沙石者. 次爲黑塌 色黑. 次爲水濕塌 水漬色敗氣變者. 次爲斫削 雜碎不堪. 次爲纏末 播揚爲塵者. 觀此則乳有自流出者 有斫樹溢出者. 諸說皆言其樹類松. 寇氏言類棠梨 恐亦傳聞 當從前說. 道書乳香‧檀香謂之浴香 不可燒祀上真.
    【修治】頌曰: 乳性至黏難碾. 用時以繒袋掛於窗隙間 良久取研 乃不黏也.
    大明曰: 入丸散 微炒殺毒 則不黏.
    時珍曰: 或言乳香入丸藥 以少酒研如泥 以水飛過 曬乾用. 或言以燈心同研則易細. 或言以糯米數粒同研 或言以人指甲二‧三片同研 或言以乳缽坐熱水中乳之 皆易細. 《外丹本草》云: 乳香以韭實‧蔥‧蒜煅伏成汁 最柔五金. 《丹房鏡源》云: 乳香啞銅.
    【氣味】微溫 無毒.
    大明曰: 乳香: 辛 熱 微毒. 元素曰: 苦‧辛 純陽.
    震亨曰: 善竄 入手少陰經.
    【主治】薰陸: 主風水毒腫 去惡氣伏屍 癮疹癢毒. 乳香同功(《別錄》). 乳香: 治耳聾 中風口噤不語 婦人血氣 止大腸泄澼 療諸瘡 令內消 能發酒 理風冷(藏器). 下氣益精 補腰膝 治腎氣 止霍亂 沖惡中邪氣 心腹痛疰氣. 煎膏 止痛長肉(大明). 治不眠(之才). 補腎 定諸經之痛(元素). 仙方用以辟穀(李珣). 消癰疽諸毒 托裡護心 活血定痛伸筋 治婦人難產折傷(時珍).
    【發明】時珍曰: 乳香香竄 能入心經 活血定痛 故為癰疽瘡瘍‧心腹痛要藥. 《素問》云諸痛癢瘡瘍皆屬心火是矣. 產科諸方多用之 亦取其活血之功爾. 陳自明《婦人良方》云: 知蘄州施少卿 得神寢丸方於蘄州徐太丞 云婦人臨產月服之 令胎滑易生 極有效驗. 用通明乳香半兩 枳殼一兩 爲末 煉蜜丸梧桐子大 每空心酒服三十丸. 李嗣立治癰疽初起 內托護心散 云: 香徹瘡孔中 能使毒氣外出 不致內攻也. 方見谷部綠豆下. 按: 葛洪《抱朴子》云: 浮炎洲在南海中 出薰陸香 乃樹有傷穿 木膠流墮. 夷人採之 恆患狤𤟎獸啖之. 此獸斫刺不死 以杖打之皮不傷 而骨碎乃死. 觀此 則乳香之治折傷 雖能活血止痛 亦其性然也. 楊清叟云: 凡人筋不伸者 敷藥宜加乳香 其性能伸筋.
    【附方】舊四 新二十七.
    口目喎斜: 乳香燒煙燻之 以順其血脈. (《證治要訣》)
    祛風益顏: 眞乳香二斤 白蜜三斤. 瓷器合煎如餳. 每旦服二匙. (《奇效方》)
    急慢驚風: 乳香半兩 甘遂半兩. 同研末. 每服半錢 用乳香湯下 小便亦可. (王氏《博濟方》).
    小兒內釣腹痛: 用乳香‧沒藥‧木香等分 水煎服之. (阮氏《小兒方》).
    小兒夜啼: 乳香一錢 燈花七枚 爲末. 每服半字 乳汁下. (《聖惠方》).
    心氣疼痛不可忍: 用乳香三兩 眞茶四兩 爲末 以臘月鹿血和 丸彈子大. 每溫醋化一丸 服之. (《瑞竹堂經驗方》)
    冷心氣痛: 乳香一粒 胡椒四十九粒. 研 入薑汁 熱酒調服. (潘氏《經驗方》)
    陰症呃逆: 乳香同硫黃燒煙 嗅之. (《傷寒蘊要》)
    闢禳瘟疫: 每臘月二十四日五更 取第一汲井水浸乳香. 至元旦五更溫熱 從小至大 每人以乳一塊 飲水三呷 則一年無時災. 孔平仲云: 此乃宣聖之方 孔氏七十餘代用之也.
    夢寐遺精: 乳香一塊 拇指大 臥時細嚼 含至三更嚥下 三‧五服即效. (《醫林集要》)
    淋癃溺血: 取乳香中夾石者 研細 米飲服一錢. (危氏《得效方》)
    難產催生: 《簡要濟眾方》: 用黃明乳香五錢. 爲末 母豬血和丸梧桐子大. 每酒服五丸. 《經驗方》: 用乳香 以五月五日午時 令一人在壁內奉乳缽 一童子在壁外 以筆管自壁縫中逐粒遞過 放缽內研細 水丸芡子大. 每服一丸 無灰酒下. 《聖惠方》: 用明乳香一豆大 爲末 新汲水一盞 入醋少許.
    令產婦兩手捉石燕 念慮藥三遍乃飲之. 略行數步即下.
    《海上方》: 用乳香‧硃砂等分 爲末. 麝香酒服一錢 良久自下.
    咽喉骨哽: 乳香一錢.
    水研服之. (《衛生易簡方》)
    香口闢臭: 滴乳噙之. (《摘玄方》)
    風蟲牙痛不可忍者: 《梅師方》: 用薰陸香嚼 咽其汁 立瘥. 《朱氏集驗方》: 用乳香豆許安孔中 燒煙箸烙化立止.
    又方: 乳香‧川椒末各一錢 為末 化蠟和作丸. 塞孔中. 《直指方》: 用乳香‧巴豆等分 研和蠟丸 塞之. 《聖惠方》: 用乳香‧枯礬等分 蠟丸. 塞之. 大風癘疾: 摩勒香一斤(即乳頭內光明者)細研 入牛乳五升 甘草末四兩 瓷盒盛之 安桌子上 置中庭 安劍一口. 夜於北極下祝禱 去盒子蓋 露一夜. 次日入甑中蒸 炊三斗米熟即止. 夜間依前祝露又蒸 如此三次乃止. 每服一茶匙 空心及晚食前溫酒調服. 服後當有惡物出 至三日三夜乃愈也. (《聖惠方》)
    漏瘡膿血: 白乳香二錢 牡蠣粉一錢. 爲末 雪糕丸麻子大. 每薑湯服三十丸. (《直指方》)
    斑痘不快: 乳香研細 豬心血和 丸芡子大. 每溫水化服一丸. (聞人規《痘疹論》).
    癰疽寒顫: 乳香半兩 熟水研服. 顫發於脾 乳香能入脾故也. (《仁齋直指方》)
    甲疽弩肉 膿血疼痛不愈: 用乳香(爲末)‧膽礬(燒研)等分 敷之 內消即愈. (《靈苑方》)
    玉莖作腫: 乳香‧蔥白等分 搗敷. (《山居四要》).
    野火丹毒自兩足起: 乳香末 羊脂調塗. (《幼幼新書》)

    癧瘍風駁: 薰陸香‧白蘞同研 日日揩之. 並作末 水服. (《千金方》).

    杖瘡潰爛: 乳香煎油 搽瘡口. (《永類鈐方》)

    《本草正》 乳香. 味苦‧辛 性溫 微熱. 辟邪惡諸氣 治霍亂 通血脈 止大腸血痢疼痛及婦人氣逆血滯‧心腹作痛 消癰疽諸毒 托裡護心 活血定痛 舒筋脈 療折傷. 煎膏 止痛長肉.

    《本草易讀》 乳香二百八十四. 煅去油用 或生用. 同燈草研之 則易細矣. 薰陸香. 辛 溫 無毒. 入手少陰經. 活血定痛 舒筋長肉. 祛風下氣 補腎催生. 消癰癤而平折瘍 止霍亂而除邪惡. 出南番諸國. 其木類松. 以斤斫樹 脂溢於外 結而成香. 有自流出者. 以圓大如乳頭‧透明者為勝. 口目歪斜 燒煙燻之 (驗方第一). 冷心痛 同胡椒為末 姜水下 (第二)

    《本經逢原》 薰陸香. 即乳香. 苦辛微溫 無毒. 以酒研如泥 水飛曬乾或箬上焙去油 同燈心研易碎. [發明] 乳香香竄能入心經 活血定痛 故爲癰疽瘡瘍要藥 諸痛癢瘡皆屬心火也. 產科諸方多用之 亦取其活血調血之功耳. 凡人筋不伸者 熏洗敷藥 宜加乳香 其性能伸筋也. 瘡疽潰後勿服 膿多勿敷 胃弱勿用.

    《本草彙言》 乳香 活血去風 舒筋止痛之藥也 … 鹹取其香辛走散 散血排膿 通氣化滯爲專功也.

  9. 《本草通玄》 沒藥. 苦平. 破血攻瘀 止痛消腫 生肌明目. 乳香活血 沒藥散血 故止痛生肌約略相同. 外科每每相兼而用. 修治與乳香同.
  10. 《本草彙言》 沒藥 … 然乳香行血活血 沒藥行血散血 皆能止痛消腫 故二藥每相兼用.
  11. 유향과 몰약의 한방효능 차이는 여기를 참조
  12. 본문의 배합례 참조
  13. 한 때 일부 업체가 ‘다마르‘를 주재료로 제조한 것을 보스웰리아라하여 판매하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그럴 수 없도록 규정이 정비되었다. 한편, 현재(2021년 기준) 국내에서 일부 업체가 특정 국가에서만 인정하는 매스틱을 ‘지중해의 유향‘이라 소개하고 있으나, 엄연히 유향(보스웰리아)과는 다른 것이므로 혼동치 않도록 해야 한다. 더욱이 매스틱 또한 유향(보스웰리아)과 비슷한 이유로 노약자에게 건강식품으로 적절치 않다.
  14. 건기식 업체가 ‘관절연골엔 보스웰리아’라는 식으로  광고하는 탓에 민간에서는 ‘근골을 튼튼하는 약물’로 오인되고 있다. 유향의 주요 효능으로 언급되는 ‘신근(伸筋)’ 또는 ‘서근(舒筋)’은 활혈정통((活血定痛)의 결과로 보아야 하고, 면역억제의 작용도 있으며, 소화기관에 부담을 줄 수 있는 수지(resin)라는 점에서 근골허약에 대응하는 건강식품으로 적절치 않다.
  15. = Boswellia bhaw-dajiana Birdw. = Boswellia bhaw-dajiana var. serrulata Engl. =  Boswellia carteri Birdw. =  Boswellia carteri var. subintegra Engl. = Boswellia carteri var. undulatocrenata Engl. = Boswellia undulatocrenata (Engl.) Engl.
  16. 옻나무과(Anacardiaceae ; 漆樹科)에 딸린 매스틱나무(乳香黃連木;常綠黃連木) Pistacia lentiscus L.의 수지도 인정
  17. 유향이 잠기도록 술을 붓고 비닐랩을 씌워 약간의 구멍을 뚫은 뒤 전자레인지나 오븐으로 가열과 교반을 반복하여 얻은 혼탁액을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