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목통(木通) Akebiae Caulis, etc.

목통(木通) :: Akebiae Caulis

천목통(川木通) :: Clematidis Armandii Caulis

목통근(木通根) :: Akebiae Radix

관목통(關木通) :: Aristolochiae Caulis

 


도서출반 우석

주영승(우석대 한의대 본초학교실)교수님의 저서 ‘운곡본초도감‘ 및 ‘운곡본초학‘의 내용을 발췌 및 편집, 개정하여 소개하오니 상세한 내용은 해당 서적을 참고 바랍니다.

또한, 이 글에 사용한 공정서 관련 약어는 여기를 참조하십시오.

Written & Pictured by : Young-Sung Ju. Department of Herbology, Woosuk Univ.
Revised by : Guemsan Lee. Department of Herbology, Wonkwang Univ.
Jung-Hoon Kim. Division of Pharmacology, Pusan National Univ.
Goya Choi.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Published online : March 21, 2019.


 

 ‘목통(木通)’은 利水滲濕藥 중 利尿通淋藥에 속하는 약물로 오랫동안 사용해왔음에도 불구하고, 고대에는 ‘통초(通草)’와의 혼용 문제가 있었으며 근현대에는 이에 더하여 목통(木通)과 천목통(川木通), 목통근(木通根), 관목통(關木通) 등의 여러 약물이 국내외에 유통되고 있다. 특히, 관목통은 신장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1. 목통(木通)의 혼위품

 

 목통(木通)에 있어 고대로부터 혼란이 있었던 약물은 ‘통초(通草)’이다. ≪神農本草經≫ 및 ≪名醫別綠≫, ≪新修本草≫, ≪本草綱目≫에 ‘通草’로 기재된 약물의 형태는 현재의 으름덩굴의 줄기인 ‘木通’에 적합하다. 즉, 古方에서의 通草는 현대의 ‘木通’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 현재 通草의 기원은 ‘통탈목 Tetrapanax papyrifer (Hook.) K.Koch의 莖髓’로서 현재 木通과는 거리가 꽤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검증 없이 古代의 문헌을 재인용을 거듭하여 明代까지도 혼란이 지속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현재는 목통(木通) 및 통초(通草)로 유통되는 으름덩굴의 뿌리인 목통근(木通根), 국내에서 인정하지 않는 천목통(川木通), 신장독성으로 문제가 되었던 관목통(關木通) 등이 유입되고 있다. 특히, 관목통(關木通)의 경우 신장에 독성을 나타내는 Aristolochic acid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목통(木通)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편집자 주. 국내외 공정서에 기재된 학명 ‘Tetrapanax papyriferus’는 정명이 아니므로 이 글에서는 정명인 ‘Tetrapanax papyrifer’으로 수정하였습니다.]

 

2. 유통 현황

 

1) 목통(木通) Akebiae Caulis

 으름덩굴과(Lardizabalaceae ; 木通科)에 딸린 으름덩굴(木通) Akebia quinata (Houtt.) Decne.藤莖

⊂ KP 11, ChP 2015, THP II, JP 17, DP VII

[편집자 주. JP는 白木通 Akebia trifoliata subsp. australis (Diels) T.Shimizu의 藤莖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ChP 및 THP는 三葉木通 Akebia trifoliata (Thunb.) Koidz.와  白木通 Akebia trifoliata subsp. australis (Diels) T.Shimizu의 藤莖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2) 천목통(川木通) Clematidis Armandii Caulis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毛茛科)에 딸린 小木通 Clematis armandii Franch.藤莖

⊂ ChP 2015, THP II, HKCMMS 2

[편집자 주. ChP 및 THP는 綉球藤 Clematis montana Buch.-Ham.의 藤莖도 포함하고 있다.]

3) 목통근(木通根) Akebiae Radix

 으름덩굴과(Lardizabalaceae ; 木通科)에 딸린 으름덩굴(木通) Akebia quinata (Houtt.) Decne.

⊂ 수재한 공정서 없음

4) 관목통(關木通) Aristolochiae Caulis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 馬兜鈴科)에 딸린 등칡 Aristolochia manshuriensis Kom.藤莖

⊂ DP VII

 

3. 한방 효능

 

본초명 木通 川木通 木通根 關木通
생약명 Akebiae Caulis Clematidis Armandii Caulis Akebiae Radix Aristolochiae Caulis
약용부위 줄기 줄기 뿌리 줄기
기미 寒 苦 無毒 寒 淡苦 苦 平 苦 寒 有毒
귀경 心 小腸 膀胱 心 小腸 膀胱 膀胱 肝 心 小腸 膀胱
효능 瀉火行水 通利血脈 淸熱利尿 通經下乳 祛風利尿 行氣活血 瀉熱降火 通淋 下乳通經
주치 小便赤澁 淋濁水腫 胸中煩熱 喉痺咽痛 遍身拘痛 婦女經閉 乳汁不通 濕熱癃閉 水腫淋證 心火上炎 口舌生瘡 濕熱痺痛 關節不利 婦人經閉 乳汁不通 風濕關節痛 小便不利 胃腸氣脹 疝氣 經閉 跌打損傷 口舌生瘡 小便赤澁 熱淋 水腫 心中煩熱 口舌生瘡 白帶 經閉 産後乳汁不通 濕熱痹痛
효능분류 利水滲濕藥 利水滲濕藥 祛風濕藥 利水滲濕藥
효능소분류 利尿通淋藥 利尿通淋藥 祛風濕止痺痛藥 利尿通淋藥

 

① 문헌상 ‘木通’은 ‘으름덩굴의 줄기’가 기존의 알려진 효능을 지니고 있다. 더불어 식물분류학적인 측면과 타국 공정서의 내용을 참고한다면 Akebia屬에 속하는 다른 2 종(三葉木通, 白木通)의 줄기도 대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② 중국에서 川木通으로 공인하고 있는 小木通 또는 綉球藤의 덩굴줄기의 문헌상의 효능은 Akebia屬에 속하는 3종과 유사하다.

[편집자 주. ‘목통’은 Akebia, ‘천목통’은 Clematis속에 딸린 식물로 유전적 거리가 상당하므로 실제 대용이 가능한지의 여부는 검증이 필요하다.]

③ 국내에 通草로 임의 유통되었던 木通根은 문헌상 祛風濕藥의 효능을 지니므로 木通으로 적당치 않다.

④ 氣味와 效能에서 木通과 유사하지만 關木通은 급성신장염을 유발시키는 Aristolochic acid을 다량 함유하므로 목통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4. 형태 특징

 

1) 木通 Akebiae Caulis

① 全形의 경우 分枝하며 分枝부위의 마디는 팽대하며, 皮目이 뚜렷하다.

② 斷面은 圓形 또는 橢圓形의 자른 조각으로, 斷面은 섬유성으로 白色, 灰黃色의 放射狀 花紋이 있다.

 

2) 川木通 Clematidis Armandii Caulis

① 木通과 유사하나 약간 섬세하고 작아 보인다.

② 斷面에 황백색의 방사상무늬와 裂隙이 특징이다.

③ 髓部는 비교적 작고 간혹 빈공간이 있다.

 

3) 木通根 Akebiae Radix

① 全形의 경우 표면이 灰褐色이고 보통 分枝되는 부위의 마디는 부풀어 오른 부분이 보인다.

② 斷面은 灰褐色 혹은 淡白色이며 치밀하고 木部의 放射狀 花紋이 뚜렷하다. 髓는 엷은 灰黃色으로 뚜렷하다.

 

4) 關木通 Aristolochiae Caulis

① 全形의 경우 표면이 灰黃色이고 長圓柱形으로 꼬여 있다.

② 斷面은 黃色이고 木部가 매우 넓은데, 전체적으로 環狀과 放射狀의 무늬가 치밀하다.

 

5. 감별 요점

 

1) 기원식물 검색표

1. 木質藤本이다.

2. 잎이 3∼5개의 掌狀複葉이다

3. 잎은 5개의 掌狀複葉이며 倒卵形이고, 葉緣이 全緣이며,
수꽃이 작고 암꽃이 크다 ——————————–
——————————- 으름덩굴 Akebia quinata

3. 잎이 3出複葉이다

4. 잎은 卵狀披針形으로 葉緣이 全緣이다 —————
—————————– 小木通 Clematis armandii

4. 잎은 卵形으로 葉緣이 3淺裂한다 ———————
—————————— 綉球藤 C. montana

2. 잎이 單葉으로 둥글며 基部가 心臟形이고, 꽃은 중앙부가
구부러져 U자형을 나타낸다  ——————————–
———————————– 등칡 Aristolochia manshuriensis

1. 落葉灌木으로 잎은 5∼7掌狀分裂하며, 줄기 단면은 대부분이
白色의 髓로 충만하고, 꽃은 크기가 큰 圓錐花序이다——–
————————————— 통탈목 Tetrapanax papyrifer

 

2) 약재 검색표

1. 약용부위가 藤莖 혹은 뿌리이다

2. 약용부위가 藤莖이며, 단면의 木部 방사상배열이 뚜렷하다

3. 절단면이 白色으로 기원에 적합한 藤莖이다

4. 절단면에 灰黃色의 방사상무늬가 있으며 틈새는 없다
—————————————- 木通 Akebiae Caulis

4. 절단면에 黃白色의 방사상무늬와 찟긴 틈새가 있다
—————————————- 川木通 Clematidis Armandii Caulis

3. 독성으로 사용이 부적합한 藤莖으로서, 절단면이 황갈색이고 環狀
및 방사상으로 치밀하게 이루어져 있다 —–關木通 Aristolochiae Caulis

2. 誤用되고 있는 뿌리로서, 절단면이 褐色이며 단면이 치밀하고
木部의 방사상배열이 뚜렷하다 ————- 木通根 Akebiae Radix

1. 약용부위가 莖髓로서, 절단면의 가운데가 비어있거나 반투명의 얇은
막이 층층으로 되어 있다———————– 通草 Tetrapanacis Medul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