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대풍자(大風子) Hydnocarpi Semen

대풍자(大風子) Hydnocarpi Semen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추후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大風子≪本草衍義補遺≫ 

【생약명】 Hydnocarpi Semen

【이명】 大楓子≪品匯精要≫

【기원】

아카리아과(Achariaceae)1에 속한 상록교목인 태국대풍자(泰國大風子) Hydnocarpus anthelminthicus Pierre ex Laness. 또는 동속근연종의 성숙한 종자를 건조한 것으로, 4~6월에 채취하여 果皮를 제거하고 種子만 취하여 曬乾한다.

⊂ KHP, ChP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장미군(rosids ; 蔷薇類植物)
        말피기목 (Malpighiales ; 金虎尾目)
          아카리아과(Achariaceae)

태국대풍자(泰國大風子) Hydnocarpus anthelminthicus Pierre ex Laness.

[ 태국대풍자(泰國大風子) Hydnocarpus anthelminthicus Pierre ex Laness. ]

【성상】 

대풍자(大風子) Hydnocarpi Semen

[ 대풍자(大風子) Hydnocarpi Semen ]

불규칙한 卵圓形 또는 다면형이고 약간 둔한 3~5개의 모서리가 있다. 길이는 약 1~1.5㎝, 지름 1~2㎝이다. 外皮는 회갈색으로 가느다란 줄이 있고 한쪽에 선명한 흠과 같은 무늬가 있다. 種皮는 두텁고 단단하며 두께는 약 1~2㎝이다. 내표면은 반질반질하고 담황색 또는 황갈색이다. 種仁과 皮는 분리되고, 種仁은 兩瓣이고 회백색으로 油性이며, 겉은 한꺼풀의 홍갈색 또는 암자색의 얇은 膜으로 싸여 있고 香氣가 조금 있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덤덤하며 떫다. 알이 굵고 外皮가 얇고 種仁이 백색이며 기름기를 많이 함유한 것이어야 한다.

【산지】

동남아시아·인도·베트남·태국·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캄보디아 등에 분포하며, 중국의 華南(臺灣 廣西 海南島), 西南(雲南) 등에서도 산출된다.

【성분】

종자에는 배당체로 ethyl-β-D-fructofuranoside, taraktophyllin, epivolken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유기산으로 cyclopentenyl fatty acid, chaulmoogric acid, hydnocarpic acid, stearic acid, palmitic acid, alepric acid, aleprolic acid, aleprylic acid, aleprest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D-fructose, D-glucose, D-sucrose, cyclopentenylglyc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시험관내에서 多種의 피부진균에 대하여 억재작용이 있다.
· 大風子油는 癩菌 세포의 감소와 菌體의 변형 및 파괴를 일으킨다(aleprylic acid).

 

【성미】 性熱 味辛 有毒     【귀경】 肝脾腎經

【효능】 祛風燥濕 攻毒殺蟲

【주치】 治痲風 疥癬 楊梅瘡

【해설】

1. 祛風燥濕

① 大風諸癩 麻風 등에 응용하였음

② 소량 복용으로도 중독될 수 있으므로 주의

2. 攻毒殺蟲

① 麻風 梅毒 癬痒諸瘡 疥癬 頑癬 등에 외용

3. 중독증상

① 頭暈 頭痛 發熱 失眠 食欲不振 등

② 위장에 강력한 자극을 주어 惡心 嘔吐 噎膈 胸腹部疼痛 등을 유발

③ 심하면 肝臟과 腎臟에 손상

【포제】 去殼하여 사용.

① 外用 : 大風子油 또는 가루로 도포.

② 內服 :  炒炭하여 기름을 제거하고 사용하거나 大風子霜으로 응용

《東醫寶鑑》 많이 먹으면 痰이 마르고 血을 상한다. 丸藥에 넣으려면 殼을 버리고 종이에 싸서 기름을 없애고, 外用으로 바를 경우에는 기름을 버리지 않는다.

【용량】

  內服 2~4g.

【배합례】

① 大風子를 燒存性으로 한 다음 輕粉을 配合하여 硏末하고 麻油에 調和하여 麻風과 梅毒에 塗敷하여 치료한다.

② 大楓子肉에 硫黃 雄黃 枯白礬 등을 配合 硏末한 다음 油調하여 癬痒諸瘡에 塗敷하여 치료한다.

③ 大風子油에 苦參末을 配合하여 糊丸이나 酒湖丸하여 복용하면 大風諸癩를 치료한다.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704-5.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460-2.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85-6.


 




각주

  1. 과거에는 태국대풍자를 이나무과(Flacourtiaceae ; 大風子科)로 분류하였으나 APG II부터 아카리아과(Achariaceae)로 분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