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붕사(硼砂) Borax

붕사(硼砂) Borax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硼砂《日華子本草》  

【생약명】 Borax

【이명】 大朋砂《丹房鑒源》 蓬砂 鵬砂《日華子》 月石《三因方》 盆砂《綱目》

【약성가】 硼砂味辛喉腫解 膈上熱痰噙卽瘥

【기원】

單斜晶系의 광물인 붕사(硼砂) Sodium Borate를 채취하여 정제한 결정체로, 붕산(硼酸, boric acid)을 미세하게 분말로 한 뒤 NaCO3 등으로 중화하여 析出시켜 얻는다. 이 약은 정량할 때 붕사 (Na2B4O7 ·10H2O) 99.0 ~ 103.0 %를 함유한다.

⊂ KP 의약품각조 제1부, ChP 부록

【성상】

붕사(硼砂) Borax

[ 붕사(硼砂) Borax ]

이 약은 무색 또는 흰색의 결정 또는 흰색의 결정성 가루로 냄새는 없고 약간 특이한 짠 맛이 있다. 글리세린에 잘 녹으며 물에 녹고 에탄올(95), 에탄올(99.5) 또는 에테르에는 거의 녹지 않는다. 건조공기 중에 방치할 때 풍화되어 흰색의 가루로 덮여진다.

1) 제조과정에서 56℃를 초과하지 않은 상태의 것은 斜系稜柱狀의 결정으로서 47%의 결정수를 함유하고 있다. 이는 무색투명하고 열을 받으면 결정수를 잃어 백색 해면상의 물질이 되고 더욱 가열하면 용해되어 투명한 유리모양의 덩어리를 형성한다.

2) 제조과정에서 56℃를 초과한 상태의 것은 等軸八面體의 결정으로서 38%의 결정수를 함유하고 있는데, 공기중에 방치하면 서서히 수분을 흡수한다.

【산지】

중국의 西北(靑海 甘肅 新彊 陜西), 西南(四川 雲南 西藏) 지역에서 산출된다. 기타 인도, 페르시아, 북미 등 지역에서도 생산된다.

【성분】

주요 성분은 사붕산나트륨 10수화염(Na2B4O7·10H2O)이고, 그 밖에 소량의 Pb, Cu, Ca, Al, Fe, Mg, Si 등의 잡질이 포함되어 있다.

【작용】

· 피부점막에 收斂 보호작용과 세균성장을 억제.
· 시험관내에서 煆硼砂는 綿毛狀表皮菌을 강하게 억제.
· 內服하면 위액분비를 촉진하며 腸 흡수 후에 소변으로 배출되는데, 尿液분비를 촉진하고 泌尿道의 염증을 방지.

 

【성미】 性涼 味甘鹹     【귀경】 肺胃經

【효능】 解毒防腐 淸熱消痰

【주치】 治咽喉腫爛 口舌生瘡 目赤翳障 (骨硬)  / 噎膈 咳嗽痰稠

【해설】

1. 解毒防腐(外用)

① 咽喉腫爛 鵝口瘡 등으로 인한 瘡口不斂에 去惡生新의 목적으로 응용

② 目赤腫痛 등에 洗眼劑로 응용

2. 淸熱消痰(內服)

① 痰熱壅滯 등에 드물게 內服

3. 장기간 복용하면 신병증을 일으키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alkaloid를 함유하거나 산성을 띠는 약재를 배합하지 않도록 함.

【포제】

硏末 또는 煆(炒). 또는 甘草水에 煮化하고 微火로 炒하여 사용

【용량】

入丸散 2~4g

【금기】

內服은 삼가해야 한다.

【배합례】

① 冰片 玄明粉 朱砂 등을 配合하여 咽喉腫痛, 口舌生瘡, 目赤腫痛을 치료한다(예:氷硼散)

② 瓜蔞仁 貝母 등을 配合하여 痰熱咳嗽로 喀痰이 不暢한 증을 치료한다.

③ 冰片 雄黃 甘草 등을 配合하여 鵝口瘡을 치료한다(예:四寶丹).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701.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452-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