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오배자(五倍子) Rhois Gall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五倍子《本草綱目合遺》 

【생약명】 Rhois Galla

【이명】 鹽麩葉上毬子《日華子》 百倉蟲 文蛤《開寶本草》 木附子《現代實用中藥》

【약성가】 五倍苦酸療齒疳 痔癬瘡膿風熱覃

【기원】 

옻나무과(Anacardiaceae ; 漆樹科)에 딸린 갈잎작은큰키나무(낙엽소교목)인 붉나무(鹽麩木) Rhus chinensis Mill. 1 또는 靑麩楊 Rhus potaninii Maxim. , 紅麩楊 Rhus punjabensis var. sinica (Diels) Rehder & E.H.Wilson에 면충과(Pemphigidae)에 딸린 오배자면충 (五倍子蚜) Schlechtendalia chinensis Bell, 1851 2이 기생하여 만든 蟲癭으로, 立秋~白露에 黃褐色으로 변할 때 채취하여 灰色으로 될 때까지 약간 삶거나 쪄서 曬乾하고, 肚倍와 角倍로 분리한다.

⊂ KHP, ChP, THP, DPRKP

 

붉나무(鹽麩木) Rhus chinensis Mill.에 붙은 오배자면충 (五倍子蚜) Schlechtendalia chinensis Bell, 1851의 충영(蟲癭)

[ 붉나무(鹽麩木) Rhus chinensis Mill.에 붙은 오배자면충 (五倍子蚜) Schlechtendalia chinensis Bell, 1851의 충영(蟲癭) ]

【성상】

오배자(五倍子) Rhois Galla , 각배(角倍)

[ 五倍子 Rhois Galla , 角倍 ]

① 角倍:마름모 모양의 불규칙한 뿔모양으로 分枝되었고 표면은 회백색의 부드러운 털로 싸여 있는데 肚倍보다 뚜렷하며 벽은 비교적 얇다.

오배자(五倍子) Rhois Galla , 두배(肚倍)

[ 五倍子 Rhois Galla , 肚倍 ]

② 肚倍:長圓形 또는 紡錘形의 囊狀으로 길이 2.5~9㎝, 지름 1.5~4㎝이다. 표면은 灰褐色 또는 엷은 褐色으로 灰黃色의 부드러운 털로 싸여 있다. 질은 단단하면서 잘 부스러지며, 단면은 각질상으로 광택이 있으며 속에는 黑褐色의 죽은 진드기와 灰色 분말상의 배설물이 붙어 있다.

【산지】

붉나무(鹽麩木)에 기생하여 된 五倍子는 전국각지에서 생산. 靑麩楊과 紅麩楊에 기생하여 된 五倍子는 중국의 四川, 貴州, 雲南, 陝西, 湖北, 福建 등에서 생산.

【성분】

붉나무 蟲癭에는 gallotannin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주요 성분으로는 1,2,3,4,6-penta-O-galloyl-β-D-glucose, 3-O-digalloyl-1,2,4,6-tetra-O-galloyl-β-D-glucose 등이 있다. 五倍子油의 구성 지방산에는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ric acid 등이 있다.

【작용】

· 피부·점막 궤양에서 조직단백질을 응고시켜 수렴작용을 나타낸다.
· 혈액을 응고시켜 지혈작용을 나타내며, 소염·진통작용을 한다(tannin류).
· 이질균, 녹농균, 티푸스균에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함유하는 tannin이 단백질을 응고시켜 세균의 영양과 대사에 영향을 준다.
· 항바이러스, 항진균, 항종양, 항산화 작용을 한다.

 

【성미】 性寒 味酸澀              【귀경】 肺大腸腎經

【효능】 斂肺降火 澀腸止瀉 斂汗止血 收濕斂瘡

【주치】 肺虛久咳 久痢 久瀉 脫肛 自汗 盜汗 遺精 便血 衄血 崩漏 外傷出血 癰腫瘡毒 皮膚濕爛

【해설】

1. 斂肺降火 澀腸止瀉 (← 酸澀收斂) : 肺虛로 인한 久咳와 久瀉로 인한 滑脫證에 응용

2. 斂汗止血 (← 酸收固澀) : 汗多 便血 遺精 遺尿 등에 응용

3. 收濕斂瘡 (外用) : 濕熱로 인한 瘡癬과 潰爛이 愈合되지 않은 證에 응용

4. (참고)

① tannin이 조직중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불용성물질을 발생시켜 수렴작용을 나타내어 혈관을 수축하고 감각을 마비시키고 止血작용을 나타냄.

② 胃腸의 이상발효에 대하여 효소억제작용을 하여 세균을 살균

③ 腸管에서는 장벽조직에 들어가 筋의 수축성물질에 작용하여 腸의 운동을 억제하여 止瀉작용을 나타낸다.

【포제】

破開하여 사용

【용량】

4~8g

【금기】

外感風寒과 肺에 實熱이 있는 咳嗽 및 積滯가 未淸한 瀉痢에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五味子 罌粟殼 등을 配合하여 肺虛久咳에 응용

② 肉豆蔲 人蔘 木香 등을 配合하여 久瀉, 久痢 에 응용

③ 地楡炭 槐花 등을 配合하여 便血 에 응용

④ 枯白礬 白糖 등을 配合하여 鵝口瘡 에 응용

⑤ 분말로 하여 물을 섞어 膏로 만들어 배꼽위에 붙여서 虛汗에 응용

⑥ 茯苓 龍骨 등을 配合하여 心氣不足 思慮太過 腎經虛損 眞陽不固 遺瀝 小便白濁 夢想頻泄에 응용
비전옥쇄단  秘傳玉鎖丹《太平惠民和劑局方》 治心氣不足 思慮太過 腎經虛損 眞陽不固 漩有遺瀝 小便白濁如膏 夢寐頻泄 甚則身體拘倦 骨節痠疼 飲食不進 面色黧黑 容枯肌瘦 唇口乾燥 虛煩盜汗 舉動乏力
 : 茯苓去皮,四兩 龍骨二兩 五倍子六兩. 上為末 水糊為丸 每服四十粒 空心用鹽湯吞下 日進三服. 此藥性溫不熱 極有神效.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72-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94-7.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60-1.


 




각주

  1. Rhus javanica L.
  2. = Melaphis chinensis (Bell, 1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