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백피(樗白皮) Ailanthi Cortex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樗白皮《新修本草》 1
【생약명】
Ailanthi Cortex
cf. ‘樗根白皮’처럼 根皮만을 지칭할 경우에는 ‘Ailanthi Radicis Cortex’
【이명】 樗皮《日華子》 臭椿皮《中藥材手冊》 樗根皮《中藥材手冊》 樗白皮《藥性論》
【기원】
소태나무과(Simaroubaceae ; 苦木科)에 딸린 낙엽교목인 가죽나무(臭椿, 樗樹)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의 根皮나 樹皮로, 채취하여 粗皮를 제거하고 건조한 것.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群)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장미군 (Rosids ; 薔薇類植物)
아욱군 (Malvids ; 錦葵類) – 진정장미군 II (Eurosids II ; 眞薔薇二類植物)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 無患子目)
소태나무과 (Simaroubaceae ; 苦木科)
[ 가죽나무(臭椿, 樗樹)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
【성상】
[ 樗白皮 Ailanthi Cortex : 根皮(상), 樹幹皮(하) ]
根皮는 고르지 않은 片狀 ~ 卷片狀 … 두께 0.3~1㎝이다. 외표면은 灰黃色 ~ 黃褐色으로 엉성하며 때로는 코르크층이 떨어져 黃白色 … 내표면은 엷은 黃色으로 비교적 평탄하고 菱形의 작은 구멍과 작은 점이 분포 … 질은 단단하고 부서지기 쉬우며, 단면의 외층은 과립성이며 내층은 섬유성이다. 樹幹皮는 불규칙한 板片狀으로 크기가 같지 않으며 두께 0.5~2㎝이다. 외표면은 灰黑色으로 매우 엉성하며 깊이 쪼개져 있다.
【산지】
각지에 분포
【성분】
· 根皮에는 amarolide, 11-acetyl amarolide, shinjudilactone, syringic acid, vanillic acid, β-sitosterol, azelaic acid, D-mannitol, mersosin, tannin, phlobaph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 樹皮에는 ailanthone, amarolide, 11-acetyl amarolide, quassin, neoquass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항종양, 항균, 항말라리아, 항진균, 항바이러스 작용을 한다.
【성미】 性寒 味苦澀 【귀경】 大腸胃肝經
【효능】 淸熱燥濕 收澀止帶 止瀉 止血
【주치】 赤白帶下 濕熱瀉痢 久瀉久痢 便血崩漏 月經過多
【해설】
1. 淸熱燥濕 收澀 止帶 止瀉 止血 : 苦寒하여 淸熱燥濕하고 味澀하여 收斂固澁
① 黃栢과 배합되어 赤白帶下 또는 濕熱帶下에 많이 응용
② 黃連과 배합되어 久瀉久痢에 응용
③ 黃芩과 배합되어 便血에 응용
2. 外用(←燥濕淸熱) : 疥癬濕瘡 등에 洗劑로 응용
3. 鳳眼草(가죽나무 果實) : 性味·效能은 椿皮와 비슷하여 痢疾 便血 白帶 등에 응용. 사용량은 3~9g(煎服)
【포제】
粗皮를 제거하고 醋炙 또는 蜜炙用한다
【용량】
8~12g
【금기】
脾胃虛寒者, 崩帶가 腎臟의 眞陰이 虛하여 된 경우와 痢疾이 積滯未盡으로 인한 자는 복용을 忌
【배합례】
① 黃柏 當歸 白芍 등을 配合하여 赤白帶下에 응용
유대환 愈帶丸《飼鶴亭集方》 治婦人衝任不固 帶脈失司 赤白帶下 經濁淋漓.
: 熟地120g 白芍150g 當歸90g 川柏 良薑各60g 川芎30g 椿根皮450g. 上藥研末 米飯糊丸 每服10克 溫開水送下 一日二次.
② 黃柏 白芷 車前子 등을 配合하여 濕熱帶下 에 응용
③ 訶子 木香 黃連 등을 配合하여 久瀉久痢 에 응용
④ 龜板 芍藥 등을 配合하여 血熱로 인한 月經過多나 漏下不止 등에 응용
고경환 固經丸( = 저백고경환 樗白固經丸《簡明醫彀》卷七) 方出《丹溪心法》卷五 名見《醫方類聚》卷二一○引《新效方》 滋陰淸熱 固經止帶. 治婦人經水過多 陰虛血熱 月經先期 量多 色紫黑 赤白帶下.
: 黃芩(炒)1兩 白芍(炒)1兩 龜版(炙)1兩 黃柏(炒)3錢 椿樹根皮7錢半 香附子2錢半. 上爲末 酒糊爲丸 如梧桐子大 每服50丸 空心溫酒或白湯送下.
cf. 고경환 固經丸《醫學入門》 治經水過多.
: 黃芩 白芍 龜版各一兩 椿根皮七錢 黃柏三錢 香附二錢半. 為末 酒糊丸梧子大 每五十丸 酒下.
⑤ 저근백피환 樗根白皮丸《古今醫鑑》 〔批〕 (按此方治濕熱傷脾遺精之劑) 治濕熱傷脾遺精之劑.
: 白朮 枳實麵炒 茯苓 柴胡 升麻各二錢 黃柏鹽水炒 知母鹽水炒 牡蠣煅, 各三錢 韭子炒,一兩 芍藥炒,五錢. 上為末 神麯糊為丸 每服五十丸 空心鹽湯下. 久不止 加樗根白皮七錢.
⑥ 疥癬濕瘡에 煎湯液을 도포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671-2.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92-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39-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