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육두구(肉豆蔲) Myristicae Semen

육두구(肉豆蔲) Myristicae Semen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肉豆蔲《本草綱目拾遺》  

【생약명】 Myristicae Semen

【이명】 迦拘勒《開寶本草》 豆蔲《續傳信方》 肉果《綱目》 頂頭肉《全國中草藥滙編》

【약성가】 肉寇辛溫胃虛冷 瀉痢不止功可等    

【기원】

육두구과 (Myristicaceae ; 肉豆蔲科)에 딸린 상록교목인 肉豆蔲 (肉豆蔻; Nutmeg) Myristica fragrans Houtt.의 성숙한 種仁으로, 4~6월 또는 11~12월에 채취하여 果皮를 벗기고 種仁을 채취하여 석회수에 1일간 담근 후 저온에서 건조하며 또는 석회수에 담그지 않고 60℃에서 직접 건조한다.

⊂ KP, ChP, THP, JP, DPRKP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목련군 (Magnoliids ; 木蘭類植物)
    목련목 (Magnoliales ; 木蘭目)
      육두구과 (Myristicaceae ; 肉豆蔲科)

육두구(肉豆蔲, 肉豆蔻, Nutmeg) Myristica fragrans Houtt.

[ 肉豆蔲 (肉豆蔻; Nutmeg) Myristica fragrans Houtt. ]

 

【성상】

육두구(肉豆蔲) Myristicae Semen

[ 肉豆蔲 Myristicae Semen ]

卵圓形 ~ 橢圓形으로 길이 2~3.5㎝, 지름 1.5~2.5㎝이다. 표면은 灰白色 ~ 灰黃色의 석회가루가 덮여 있으며 網狀의 골무늬가 있고, 한쪽에는 種脊의 위치인 세로로 패인 골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으며 … 질은 단단하여 파쇄하기 어렵고 … 세로로 쪼개면 외면에 한 층의 暗褐色 외배유가 안쪽을 향하여 내밀어 들어갔으며, 乳白色의 내배유와 더불어 교차하여 檳榔의 무늬 모양과 같은 모양을 이루었다.

【산지】

인도네시아, 말레지아, 스리랑카 등에서 주산하며, 기타 인도군도에서 생산.

【성분】

種仁에는 지방유 25~46%, 휘발성 정유성분 8~15%를 함유하는데, 그 중 독성물질인 myristicin 약 4% 함유되어 있다. 휘발성 정유성분에는 sabinene, α-/β-pinene, terpinen-4-ol, γ-terpinene, limonene, bornylene 등이 있다. 지방유에는 주로 trimyristin과 소량의 triole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위액분비 및 腸 유동을 촉진하나 대량에서는 억제한다.
· 진정, 항종양, 소염 작용을 한다.

 

【성미】 性溫 味辛(微澀)            【귀경】 脾胃大腸經

【효능】 溫中行氣 澀腸止瀉

【주치】 心腹脹痛 虛瀉冷痢 嘔吐 宿食不消

【해설】

: 脾胃虛寒으로 氣가 정체되어 脘腹이 脹滿하고 滑脫不固한 久瀉久痢 등 證을 치료하는 요약

1. 澀腸止瀉 

① 脾胃虛寒으로 인한 久瀉久痢에 응용 

② 脾胃虛寒한 小兒의 霍亂吐瀉 腹痛에 응용

③ 脾腎陽虛로 인한 五更泄瀉 등에 응용

 2. 溫中行氣

① 脾胃虛寒으로 인한 脘腹脹痛과 嘔吐에 응용

② 脾胃虛寒으로 인한 腹脹에 응용

【포제】

煨用하면 辛散의 성질이 줄어들고 固澀시키는 효능이 증강되므로 瀉痢不止를 치료하는 데는 煨用한다.

【용량】

2~8g

【금기】

澀腸助火시키므로 瀉痢初起와 濕滯積熱의 병증에는 복용을 忌한다. 예를 들어, 평소 大腸에 火熱이 있거나 혹은 中暑하여 熱泄暴注와 腸風下血, 胃火齒痛 및 濕熱積滯가 盛하여 나타나는 帶下初起에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人蔘 白朮 乾薑 茯苓 등을 配合하여 脾胃虛寒으로 인한 久瀉久痢에 응용
가미사군자탕 加味四君子湯《東醫寶鑑》 治氣虛泄瀉.
 : 四君子湯 肉豆蔲 訶子炮 各一錢 右剉 作一貼 入薑三片 棗二枚 空心 水煎服 《得效》

補骨脂 五味子 吳茱萸 등을 配合하여 脾胃虛寒으로 인한 五更泄瀉 에 응용
사신환 四神丸《證治準繩》 治脾腎虛弱 侵晨五更作瀉 或全不思食 或食而不化 大便不實神效.
: 二神丸(破故紙四兩炒 肉豆蔲二兩) 五味子二兩 吳茱萸四兩 右為末 用大紅棗四十九枚 生薑四兩切碎 同棗用水煮熟 去薑取棗肉 和藥丸桐子大 每服五十丸 空心鹽湯下.

③ 木香 乾薑 半夏 등을 配合하여 脾胃虛寒으로 인한 脘腹脹痛과 嘔吐 에 응용

④ 砂仁 陳皮 人蔘 神麯 山楂 藿香 麥芽 등을 配合하여 開胃進食시키고 消食止瀉할 목적으로 응용

⑤ 木香과 枳實을 配合하여 腹脹에 응용

⑥ 罌粟殼을 配合하여 久瀉腹痛에 응용 (예:肉豆蔲丸).

肉桂 人蔘 白朮 罌粟殼 등을 配合하면 溫中補虛, 澁腸固脫하여 久瀉久痢 脾胃虛寒 腹痛喜按 滑脫不禁 甚則脫肛에 응용
진인양장탕 眞人養臟湯 = 순양진인양장탕 純陽眞人養臟湯《太平惠民和劑局方》 治大人小兒腸胃虛弱 冷熱不調 臟腑受寒 下痢赤白 或便膿血 有如魚腦 裡急後重 臍腹㽲痛 日夜無度 胸膈痞悶 脅肋脹滿 全不思食 及治脫肛墜下 酒毒便血.
 : 人參 當歸去蘆 白朮焙 各六錢 肉豆蔻麵裹 煨 半兩 肉桂去粗皮 甘草炙 各八錢 白芍藥一兩六錢 木香不見火 一兩四錢 訶子去核 一兩二錢 罌粟殼去蒂 蓋 蜜炙 三兩六錢. 上件銼為粗末 每服二大錢 水一盞半 煎至八分 去滓食前溫服. 老人 孕婦 小兒暴瀉 急宜服之 立愈. 忌酒 麵 生冷 魚腥 油膩. 如臟腑滑泄夜起 久不瘥者 可加炮了附子三四片 煎服.

⑧ 黃連과 配合하여 臟腑가 虛寒하고 陽道가 濕熱로 인해 不淸한 赤白下痢 에 응용
적백리방 赤白痢方 = 애엽환방 艾葉丸方《聖濟總錄》 治赤白痢血多痛 不可忍.
 : 艾葉 黃連去須炒 木香一半生一半炒 肉豆蔻去殼各三分 地榆銼一兩 阿膠炙燥 當歸切焙各半兩 上七味 搗羅為末 煉蜜和丸 如梧桐子大 每服三十丸米飲下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64-5.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78-80.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