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마황근(麻黃根) Ephedrae Radix et Rhizoma

마황근(麻黃根) Ephedrae Radix et Rhizom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麻黃根《名醫別錄》  

【생약명】 Ephedrae Radix et Rhizoma

【이명】 苦椿菜

【기원】

마황과(Ephedraceae ; 麻黃科)에 딸린 버금떨기나무(亞灌木)인 草麻黃 Ephedra sinica Stapf 과 中麻黃 E. intermedia Schrenk & C.A.Mey.의 根과 根莖으로, 立秋 후에 채취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건조한다.

⊂ KHP, ChP

겉씨식물군 (Gymnosperms ; 裸子植物)
  구과식물문 (Pinophyta ; 毬果植物)
    매마등아강 (Gnetidae ; 買麻藤亞綱)
      마황목 (Ephedrales ; 麻黃目)
        마황과(Ephedraceae ; 麻黃科)

 

초마황(草麻黃) Ephedra sinica Stapf

[ 草麻黃 Ephedra sinica Stapf ]

 

중마황(中麻黃) Ephedra intermedia Schrenk & C.A.Mey.

[ 中麻黃 Ephedra intermedia Schrenk & C.A.Mey. ]

 

【성상】

마황근(麻黃根) Ephedrae Radix et Rhizoma

[ 草麻黃根 Ephedrae Sinicae Radix et Rhizoma  (좌),
中麻黃 Ephedrae Intermediae Radix et Rhizoma (우) ]

① 草麻黃根 : 원주형(圓柱形)으로 약간 구부러졌고 길이 8~25㎝, 지름 0.5~1.5㎝이다. 표면은 홍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세로주름과 갈라진 뿌리의 흔적이 있다. 외피는 엉성하고 조각조각으로 쉽게 떨어진다. 뿌리줄기(根莖)에는 돌기된 마디가 있어 마디와 마디사이는 0.7~2㎝로 표면에는 가로로 길게 돌출된 피공(皮孔)이 있다. 가벼우며 단단하고 부스러지기 쉽고, 단면의 피층부는 황백색(黃白色)이고 목부(木部)는 담황색 또는 황색이며 방사상의 사선이 있으며 중심주에는 수(髓)가 있다. 냄새가 약간 나고 맛은 약간 쓰다.

② 中麻黃根 : 뿌리가 굵으며 홍갈색으로 표면에 거친 주름이 있고 단면에 빈틈이 많다.

【산지】

중국의 內蒙古, 遼寧, 河北, 陝西, 甘肅 등에서 생산된다.

【성분】

Alkaloid인 ephedradine A~D, feruloylhistamine, maokon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ephedranin A, mahuannin A~D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혈압강하(ephedradine), 호흡량 증대 등 麻黃과는 다른 반응을 나타낸다. 다만, 麻黃根에 함유된 maokonine은 혈압을 약간 상승시킨다.
· 말초혈관을 확장시키고 腸管과 자궁 평활근을 수축시킨다.
· 止汗 작용을 나타낸다.

 

【성미】 性平 味甘     【歸經】 心肺經

【효능】 收斂 止汗    

【주치】 自汗 盜汗

【해설】

1. 收斂 止汗 : 味甘하여 收斂止汗의 효능 (體表로 走行하여 外泄되는 汗液을 收斂하여 땀을 그치게 함)
→ 複方中에 配合하여 陽虛自汗과 陰虛盜汗을 치료하는데 적용 (治標藥)
→ 自汗과 盜汗에 따라 해당 약물군과의 배합1이 필수적임

2. 단지 收斂性만 있을 뿐이므로, 浮小麥등과 같이 益氣除熱하여 止汗하는 扶正祛邪작용은 없다.

【포제】

生用하거나 蜜炙하여 사용

【용량】

4~20g

【금기】

表邪가 있는 자는 복용을 금한다.

【배합례】

① 當歸 黃芪 등을 配合하여 自汗不止에 응용

② 牡蠣를 配合하여 產後虛汗不止에 응용
 마황근산 麻黃根散《太平聖惠方》 治產後虛汗不止
 : 麻黃根 當歸銼微炒 黃耆 人參去蘆頭 甘草炙微赤銼 牡蠣粉 以上各半兩, 上件藥 搗粗羅為散 每服四錢 以水一中盞 煎至六分 去滓 不計時候溫服.

③ 生․乾地黃 熟地黃 山茱萸 龍骨 牡蠣 등 滋陰收斂藥과 配合하여 陰虛盜汗에 응용

④ 炙黃芪 炒白朮 人蔘 當歸 桂枝 炒甘草 牡蠣 浮小麥 등을 配合하여 表虛 氣虛自汗에 응용
 마황근탕 麻黃根湯《傅青主女科》 治產後虛汗不止
 : 人參二錢 當歸二錢 黃耆一錢半, 炙 白朮一兩, 炒 桂枝五分 麻黃根一錢 粉草五分, 炒 牡蠣研, 少許 浮麥一大撮. 虛脫汗多 手足冷 加黑薑四分 熟附子一片. 渴加麥冬一錢 五味十粒. 肥白人產後多汗 加竹瀝一盞 薑汁一小匙 以清痰火. 惡風寒 加防風 桂枝各五分. 血塊不落 加熟地三錢 晚服八味地黃丸.

⑤ 黃芪 龍骨 煆牡蠣 五味子 炙甘草 등을 配合하여 傷寒虛汗不止에 응용
 마황근탕 麻黃根湯《太平聖惠方》 治傷寒虛汗不止
: 麻黃根一兩 黃耆一兩銼 五味子半兩 牡蠣二兩燒為粉 甘草三分炙微赤 龍骨一兩. 上件藥 搗篩為散 每服五錢 以水一大盞 煎至五分 去滓 不計時候溫服.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60-1.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71-2.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331-2.


 




각주

  1. 黃芪 浮小麥 煆牡蠣 등을 배합하여 약한 體虛自汗에 쓴다.
    黃芪 當歸 등 養氣血藥物을 배합하여 産後虛汗에 쓴다.
    黃芪 白朮 등 補氣固表藥物을 배합하여 중간정도의 表虛 혹은 氣虛自汗에 쓴다.
    人蔘 附子 등 補陽藥物을 배합하여 重證의 陽虛自汗에 쓴다.
    熟地黃 山茱萸 龍骨 牡蠣 등 滋陰收斂藥物을 배합하여 陰虛盜汗에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