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귀판(龜板) Testudinis Plastrum et Carapax

귀판(龜板) Testudinis Plastrum et Carapax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龜板《神農本草經》  

【생약명】 Testudinis Plastrum et Carapax1

【이명】 神屋《本經》 龜筒《本草衍義》 龜下甲《朱丹溪》 龜甲《綱目》 烏龜殼 下甲 烏龜板

【약성가】 龜甲味甘滋陰迅 逐瘀續筋醫顱顖

【기원】

돌거북과(Geoemydidae)에 속한 脊椎動物인 남생이(烏龜) Mauremys reevesii (Gray ,1831)2의 腹甲 또는 背甲을 채취하여 殘肉을 제거하고 曬乾한 것이다. 연중 채집이 가능하나 가을과 겨울철에 주로 많이 포획한다. 腹甲을 龜板이라 불렀으며, 背甲을 龜甲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 KHP, ChP, DPRKP

  동물계 (動物界 ; Animalia)
    척삭동물문 (脊索動物門 ; Chordata)
      파충강 (爬行綱 ; Reptilia)
        거북목 (有鱗目 ; Testudines)
          잠경아목 (Cryptodira)

 

남생이(烏龜) Mauremys reevesii (Gray ,1831)

[ 남생이(烏龜) Mauremys reevesii (Gray ,1831) ]

 

【성상】

귀판(龜板) Testudinis Plastrum et Carapax

[ 龜板 Testudinis Plastrum et Carapax ]

板片狀의 長方橢圓形 … 앞쪽은 鈍圓 또는 截形이고 뒷쪽은 三角形의 缺刻 … 바깥면은 엷은 黃色으로 광택이 있으며 紫褐色의 放射狀 무늬를 가지고 있는데 대부분이 紫褐色을 나타내며 角板은 12쪽 … 안쪽은 黃白色으로 피자국이나 肉質이 남아 있는 것도 있으며, 깨끗이 씻어내면 9쪽의 骨板을 볼 수 있는데 鋸齒狀으로 서로 붙어 있다. …

【산지】

한반도와 중국의 해안에서 서식. 3

【성분】

腹甲에는 cholesterol, cholesterol-4-ene-3-one, dodecenoic acid cholesterol ester 및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등 18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10여종의 무기원소 중에는 strontium 함량이 비교적 높고, Zn, Cu가 그 다음으로 높은 함량을 보인다. 그리고 CaO, MgO, P2O5, SiO2 등 산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데 그 중 SiO2의 함량이 비교적 높다. 그 밖에 collagen, keratin, steroid 성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갑상선 기능회복, 면역증강, 부신피질 기능회복, 자궁수축, 항노화, 골밀도 개선, 신경손상 억제 작용을 한다.
· 龜甲膠는 조혈기능촉진, 지혈작용을 한다.

 

【성미】 性微寒 味鹹甘    【귀경】 肝 腎 心經

【효능】 滋陰潛陽 益腎健骨 養血補心

【주치】 腎陰不足 骨蒸勞熱 頭暈目眩 腰痛 骨痿 陰虛風動 久痢 久瘧 吐血 衄血 久咳 遺精 崩漏 帶下 小兒囟門不合

【해설】 滋陰益腎(以甘鹹 入腎經) 潛斂浮陽(以重質)

1. 滋陰潛陽

: 腎陰不足으로 인한 骨蒸勞熱과 盜汗 그리고 陰虛陽亢으로 인한 眩暈耳鳴과 陰虛風動으로 인한 手足瘈瘲 등에 常用

2. 益腎健骨

: 腎陰虧虛로 인한 腰膝軟弱 筋骨軟弱 小兒顖門不闔 등에 응용

3. 養血補心

: 陰虛血熱로 인한 崩漏에도 응용.

4. 龜板 vs 鹿茸 : 益腎而健骨하여 治筋骨痿軟하지만,

┌龜板 : 補陰→通任脈而益腎陰→滋陰潛陽 補血止血

│       : 血熱로 인한 崩漏 등에 응용 가능

└鹿茸 : 補陽→補督脈而助腎陽→溫腎助陽 生精補髓

           : 虛寒으로 인한 崩漏 등에 응용 가능

∴ 陰陽兩虛에 配合하여 응용 ex. 二仙膠

 5. 龜板膠 (龜膠)

: 龜板을 煎熬하여 농축한 것. 甲類약재는 약재가 쉽게 溶出되지 않으므로 통상적으로 膠를 만들어 사용(예:鹿角膠 등). 龜板膠의 효능은 龜板과 같으나, 滋陰力이 상대적으로 강하며, 아울러 강한 止血작용을 지님.

《本草求眞》龜膠 補陰分之陰(任脈) 用板不如用膠.

【포제】

기본적으로 砂炒하고, 혹은 砂炒 후 醋灸(龜板 500g당 米醋 156.25g)하여 사용4

【용량】

6~24g, 大劑는 45g(先煎)

【금기】

脾胃虛寒 또는 寒濕의 경우와 外感邪氣未解者는 忌(많은 量을 쓰면 泄瀉 유발) 5

【배합례】

① 熟地黃 知母 黃栢 猪脊髓 등을 配合하여 腎陰不足으로 인한 骨蒸勞熱 혹은 陰虛陽亢 등에 응용
대보음환 大補陰丸《同壽錄》卷一. 益精明目 補腎水 壯腰膝.
: 黃柏(酒炒)3兩(淨) 知母(酒炒)3兩(淨) 龜版(酥炙 去邊)3兩(淨) 熟地(酒蒸9次)5兩 鎖陽2兩 甘枸杞2兩 乾薑(炒紫色)2兩 五味子1兩 白芍(酒炒)1兩 天冬1兩 覆盆子2兩 菟絲子(酒炒)2兩 於白朮3兩(炒) 陳皮1兩 牡蠣(童便煆)1兩 山萸肉1兩 虎脛骨1兩 防己(酒洗)1兩 牛膝(酒洗)1兩 當歸(酒洗)2兩. 上爲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80-90丸 空心炒淡鹽湯送下 冬月酒送下或米湯送下.

cf. 대보환 大補丸= 대보음환 大補陰丸《丹溪心法》 降陰火 補腎水
: 黃柏炒褐色 知母酒浸炒 各四兩 熟地黃酒蒸 龜板酥炙 各六兩. 上為末 豬脊髓蜜丸. 服七十丸 空心鹽白湯下.

② 牡蠣粉 鱉甲 生乾地黃 生白芍 去心麥門冬 阿膠珠 麻子仁 등을 配合하여, 熱病후 心弱津竭의 병증에 응용
삼갑복맥탕 三甲復脈湯 《溫病條辨》卷三. (滋陰淸熱 潛陽熄風) 溫病後期 熱爍肝腎之陰 虛風內動之手指蠕動 甚則心中痛 舌乾齒黑 唇裂 脈沉細數.

: 炙甘草6錢 乾生地6錢 生白芍6錢 麥冬5錢(不去心) 阿膠3錢 麻仁3錢 生牡蠣5錢 生鱉甲8錢 生龜版1兩. 水8杯 煮取3杯 分3次服. 劇者 加甘草1兩 地黃8錢 白芍8錢 麥冬7錢 日3夜1服.

二甲複脈 防痙厥之漸 即痙厥已作 亦可以二甲複脈止厥. 茲又加龜版名之三甲者 以心中大動 甚則痛而然也. 心中動者 火以水爲體 肝風鴟張 立刻有吸盡西江之勢 腎水本虛 不能濟肝而後發痙 既痙而水難淬補 心之本體欲失 然大動也. 甚則痛者 陰維爲病主心痛 此證熱久傷陰 八脈麗於肝腎 肝腎虛而累及陰維 故心痛 非如寒氣客於心胸之痛可用溫通 故以鎭腎氣·補任脈·通陰維之龜版止心痛 合入肝搜邪之二甲 相濟成功也.

cf. 가감복맥탕 加減復脈湯
: 炙甘草六錢 乾地黃六錢 生白芍六錢 麥冬不去心五錢 阿膠三錢 麻仁三錢

cf. 일갑복맥탕 一甲復脈湯方
: 即於加減復脈湯內 去麻仁 牡蠣一兩

cf. 이갑복맥탕 二甲復脈湯方
: 即於加減復脈湯 生牡蠣五錢 生鱉甲八錢

天門冬 玄蔘 龍骨 牡蠣 등을 配合하여 陰虛陽亢으로 인한 眩暈 등에 응용
진간식풍탕 鎭肝熄風湯《衷中參西錄》上冊  治內中風證. 其脈弦長有力 或上盛下虛 頭目眩暈 或腦中作疼發熱 或目脹耳嗚 或心中煩熱 或時常噫氣 或肢體漸覺不利 或口眼漸形喎斜 或面色如醉 甚或顛仆 昏不知人 移時始醒 或醒後不能複元 精神短少 或肢體痿廢 或成偏枯.
: 懷牛膝1兩 生赭石1兩(軋細) 生龍骨5錢(搗碎) 生牡蠣5錢(搗碎) 生龜版5錢(搗碎) 生杭芍5錢 玄參5錢 天冬5錢 川楝子2錢(搗碎) 生麥芽2錢 茵陳2錢 甘草1錢半. 心中熱甚者 加生石膏1兩, 痰多者 加膽星2錢, 尺脈重按虛者 加熟地黃8錢 淨萸肉5錢, 大便不實者 去龜版·赭石 加赤石脂1兩.

黃栢 黃芩 樗根白皮 芍藥 香附子를 配合하여 血熱로 인한 崩漏帶下 등에 응용
고경환 固經丸( = 저백고경환 樗白固經丸《簡明醫彀》卷七) 方出《丹溪心法》卷五 名見《醫方類聚》卷二一○引《新效方》 滋陰淸熱 固經止帶. 治婦人經水過多 陰虛血熱 月經先期 量多 色紫黑 赤白帶下.
: 黃芩(炒)1兩 白芍(炒)1兩 龜版(炙)1兩 黃柏(炒)3錢 椿樹根皮7錢半 香附子2錢半. 上爲末 酒糊爲丸 如梧桐子大 每服50丸 空心溫酒或白湯送下.

귀녹이선교 龜鹿二仙膠 《醫方考》 卷三 精極者 夢泄遺精 瘦削少氣 目視不明 此方主之.
 : 鹿角血取者,十斤 龜板五斤 枸杞子三十兩 人參十五兩. 上件用鉛壇如法熬膠 初服酒化錢半 漸加至三錢 空心下. 精氣神 有身之三寶也. 師曰 精生氣 氣生神. 是以精極則無以生氣 故令瘦削少氣. 氣少則無以生神 故令目視不明. 龜鹿稟陰氣之最完者 其角與板 又其身聚氣之最勝者 故取其膠以補陰精. 用血氣之屬劑而補之 所謂補以類也. 人參善於固氣 氣固則精不遺 . 枸杞善於滋陰 陰滋則火不泄. 此藥行則精日生 氣日壯 神日旺矣.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51-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56-8.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262-4.


 




각주

  1. ‘거북의 복갑 또는 배갑’이라는 뜻이다.
  2. = Chinemys reevesii Gray, 1831 = Geoclemys reevesii Gray, 1856
  3. 남생이는 ‘천연기념물 제453호‘이므로 전량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음.
  4. 《本草害利》 凡入丸散 須研極細 不爾留滯腸胃 能變癥
  5. 《本經逢原》 胃虛少食 大便不實 及妊娠禁用

    《玉楸藥解》 龜板鹹寒瀉火 敗脾傷胃 久服胃冷腸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