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羌活 Notopterygii Incisi Radix et Rhizoma

강활(羌活) Osterici seu Notopterygii Radix et Rhizom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羌活《藥性本草》  

【생약명】

① 韓羌活( ⊃ 北羌活, 南羌活) : Osterici Radix

② 中國羌活(蠶羌 또는 竹節羌) : Notopterygii Incisi Radix et Rhizoma 1 

③ 寬葉羌活(大頭羌2과 條羌3) : Notopterygii Forbesii Radix et Rhizoma 4 

【이명】 羌靑本經》 胡王使者吳普本草》 羌滑本草蒙筌》 蠶羌中草藥滙編》

【약성가】 羌活微溫祛風濕 身痛頭疼筋骨急

【기원】

강활의 기원식물은 식물분류학적 견해가 상이하므로 부득이하게 정명으로 기술치 않고 공정서의 학명으로 기술함.

미나리과(Apiaceae ; Umbelliferae ; 傘形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강활(강호리) Ostericum koreanum (Maxim.) Kitag.5의 根, 또는 羌活(中國羌活6) Notopterygium incisum K.C.Ting ex H.T.Chang7, 寬葉羌活 Notopterygium forbesii H.Boissieu 8 의 根莖 및 根을 건조한 것.

※ 국내에서는 蘆頭로 번식시킨 강호리를 北羌活이라 하고 종자로 번식시킨 강호리를 南羌活이라고 함9 . 또한 중국의 강활과 구분하기 위하여 이 둘을 韓羌活이라고 통칭하는 경향이 있음.

※ 중국에서는 西南지역(四川)에서 생산되는 것을 ‘川羌’, 西北지역(甘肅 靑海)에서 생산되는 것을 ‘西羌’이라 구분하기도 함. 또한, 약용부위의 모양에 따라 蠶羌 大頭羌 竹節羌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하여 유통되었음.

⊂ KP, ChP, THP, JP, DPRKP.

단, ChP 및 THP, JP는 羌活과 寬葉羌活만을, DPRKP는 강호리만을 기원식물로 인정함.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Asterids ; 菊類植物)
         진정국화군 II(euasterids II ; 眞菊二類植物) – 초롱꽃군(Campanulids ; 桔梗類植物)
           미나리목(Apiales ; 傘形目)
             미나리과(Apiaceae ; Umbelliferae ; 傘形科)

• 羌活과 獨活의 이름이 구별되기 시작한 것은 唐의 《藥性本草》에서 비롯되었음(神農本草經에는 獨活의 別名으로 羌活이 기재됨) . 그러나 李時珍도 獨活以羌中來者良故有羌活이라 한 바와 같이 명대까지 모호하게 응용되었음을 알 수 있음. 羌活과 獨活이 약재명과 효능이 분리된 것은 《本草品彙精要》(1505년)가 최초임. 《동의보감》(1546~1615년) 에는 羌活은 강호리, 獨活은 땃둘흡이라고 분리되어 기술되어 있음.

• 선 등은 현재 국내에 한약재로 유통되는 강활 Ostericum koreanum을 다른 묏미나리속 식물과 비교연구한 결과 왜천궁(毛珠當歸) Angelica genuflexa Nutt. ex Torr. & A.Gray과 같다고 보고하였음. 이러한 관점에서 신감채 O. grosseserratum (Maxim.) Kitag.와 O. koreanum (Maxim.) Kitag.을 같다고 보는 견해 또한 오류라고 보고하였음.
선병윤,김철환,김태진,김상태,서영배. 한국산 산형과 묏미나리속 식물의 계통. 식물분류학회지. 2000 ; 30(2) :  93-104.

• Lee 등은 형태학적 특징을 근거로 강활의 학명을 Angelica reflexa B.Y.Lee 로 새로이 명명하였음.
BY Lee, MH Kwak, JE Han, E-H Jung, G-H Nam. Ganghwal is a new species, Angelica reflexa. Journal of Species Research. 2013 ; 2(2) : 245-8.

강활 Angelica reflexa B.Y.Lee

[ 강활(강호리) Ostericum koreanum (Maxim.) Kitag. ]

중국강활 羌活 Notopterygium incisum K.C.Ting ex H.T.Chang

[ 羌活 Notopterygium incisum K.C.Ting ex H.T.Chang ]

[ 寬葉羌活 Notopterygium forbesii H.Boissieu ]

 

【성상】

한강활 韓羌活 Osterici Radix , 北羌活(좌하), 北羌活(우하)

[ 韓羌活 Osterici Radix , 北羌活(좌하), 南羌活(우하) ]

① 韓羌活 : 방추형의 주근과 여러 개의 곁뿌리로 이루어지고 근두부에는 줄기의 그루터기가 남아 있으며 그 둘레에 자색의 곁눈이 2 ~ 5 개 붙어 있다. 길이 15 ~ 30 cm, 지름 2 ~ 5 cm이다. 바깥면은 황갈색 ~ 갈색이며 세로주름이 많고 군데군데 잔뿌리 자국이 남아 있다. 횡단면을 확대경으로 볼때 피부는 연한 황색이고 목부는 황색이며 갈색의 형성층이 뚜렷하다.

┌ 南羌活 : 뿌리줄기와 뿌리몸통(身)이 짧고 잔뿌리가 많으며 길고, 유조직세포 속에 전분입자가 많다.

└ 北羌活 : 뿌리줄기와 뿌리몸통(身)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잔뿌리가 적고 대나무마디 모양인 것도 있으며, 유조직세포속에 전분입자가 적다.

 → 한국에서는 오랫동안 北羌活을 선호하였다.

 

중국강활 中國羌活(蠶羌, 竹節羌) Notopterygii Incisi Radix et Rhizoma

[ 中國羌活 Notopterygii Incisi Radix et Rhizoma , 蠶羌(좌,우상), 竹節羌(우하) ]

② 中國羌活(蠶羌 또는 竹節羌)   : 약간 구부러진 원주형 ~ 원추형이고 길이 3 ~ 10 cm, 지름 5 ~ 20 mm이다. 때로 뿌리줄기가 분지되어 있다. 표면은 황갈색 ~ 어두운 갈색을 띤다. 뿌리줄기의 꼭대기에는 약간 원형의 줄기 흔적이 있고, 때로 짧은 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으며, 표면에는 도드라진 마디가 있고 마디 사이가 보통 짧다. 마디에는 혹 모양의 뿌리 흔적이 있다. 뿌리의 바깥면에는 조잡한 세로의 주름 및 혹모양의 잔뿌리 흔적이 있다. 질은 가볍고 약간 약하여 쉽게 끊어진다. 횡단면은 방사상의 갈라진 무늬가 있고 피층은 황갈색~ 갈색이며 목부는 연한 황색 ~ 연한 회황색을 띠고 수부는 회백색 ~ 연한 갈색을 띤다. 횡단명을 확대경으로 볼 때 피층 및 수부에 갈색의 가느다란 유점 (油點)이 있다. 이 약은 특유한 향내가 있고 맛은 처음에 약간 시다가 후에 약간 맵고 알알하다.

寬葉羌活(大頭羌, 條羌) Notopterygii Forbesii Radix et Rhizoma

[ 寬葉羌活(大頭羌, 條羌) Notopterygii Forbesii Radix et Rhizoma ]

③ 寬葉羌活(大頭羌10과 條羌11) : 뿌리줄기는 원주상이고 위쪽 끝은 줄기 및 엽초의 흔적이 나와 있으며 뿌리는 원추형으로 세로로 주름무늬와 피공이 있다. 표면은 갈색이고 뿌리줄기 가까운 곳에는 비교적 치밀한 환형 무늬가 있다. 길이 4 ~ 13 cm, 지름 6 ~ 25 mm이다. 어떤 것은 뿌리줄기가 거칠고 크며 불규칙한 결절상으로 위쪽 끝에는 여러 개의 줄기 기저부가 있고 뿌리는 비교적 가늘다. 뿌리는 쉽게 꺾인다. 절면은 약간 평탄하며 껍질은 연한 회흑갈색이고 목부는 황백색이다. 이 약의 맛은 약간 쓰고 비교적 담백하다.

【산지】

① 韓羌活 : 강원도가 주산지

② 中國羌活은 四川 雲南 靑海 甘肅 등지에서 생산

③ 寬葉羌活 :  四川 靑海 陝西 河南 등지에서 생산

【성분】

·  中國羌活의 根莖에는 coumarin 성분인 notopterol(1.2%), isoimperatorin(0.38%), cnidilin(0.34%), bergapten(0.009%), demethylfuropinnarin(0.012%), bergaptol(0.088%), nodakenetin(0.04%) 등이 함유되어 있다. Phenol 화합물로는 xanthotoxol, bergamottin, p-hydroxy-m-methoxy-benzonic acid 등이 있다. Steroid에는 β-sitosterol glucoside, β-sitosterol 등이 있다. 휘발성 정유성분은 약 2.7%정도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는 α-thujene, α,β-pinene, β-ocimene 등이 있다. 지방산에는 methyltetradecanoate, 12-methyltetradecanoate, methylhexadecanoate 등이 있고, 당류로 rhamnose, fructose, glucose, sucrose, phenethylferulate도 함유되어 있다.
·  寬葉羌活 지하부에는 coumarin 성분인 bergaptin, isoimperatorin(0.62%), cnidilin(0.024%), notopterol(0.083%), bergapten(0.008%), demethylfuropinnarin(0.038%) 등이 함유되어 있다. Phenol 화합물로는 p-hydroxyphenethyl anisate(0.70%), ferulic acid(0.83%) 등이 함유되어 있고, β-sitosterol glucoside도 함유되어 있다. 휘발성 정유성분으로는 α-pinene(36.30%), β-pinene(21.04%), limonene(14.42%) 등이 있다.

【작용】

· 해열, 발한, 진통(notopterol), 소염(notopterol, nodakenin) 작용이 있다.
· 항산화(phenethylferulate, isoimperatorin)작용은 羌活이 寬葉羌活보다 높은 효능을 보인다.
· 각종 세균에 억제작용이 있다.

 

[ 주영승 명예교수(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의 본초학 강의, ‘강활(羌活)’편 ]

 

【성미】 性溫 味辛苦     【귀경】 膀胱腎經

【효능】 散寒祛風 除濕止痛

【주치】 治風寒感冒頭痛 風濕痹痛 肩背痠痛 瘡瘍初期 水腫

【해설】 上昇發散하는 작용이 강하여 肌表의 游風과 寒濕의 邪氣를 發散시키고 關節을 通利하여 止痛시키는 효능

1. 散寒祛風

① 氣香性散하여 表의 風寒濕邪를 發散시키는 효능이 좋음

② 表證이 風寒에 속하고 濕을 겸하여 나타나는 頭身疼痛 寒熱無汗 頭痛如裹 項背强痛 骨節酸疼 肢體沈重 등에 마땅

③ 辛溫解表하므로 瘡瘍初期에 風寒表證이 있고 寒熱無汗한 경우에 응용

2. 除濕止痛

① 祛風濕 散寒邪하여 利關節하는 효능 → 風寒濕痹를 치료하는 要藥

② 風寒濕痹에 병정에 따라 配伍

 ┌ 風邪偏勝 : 桂枝 防風 威靈仙 薑黃 등과 配合

 ├ 寒邪偏勝 : 附子 細辛 炙甘草 등과 配合

 └ 濕邪偏勝 : 薏苡仁 蒼朮 防己 등과 配合

③ “直上頂巓, 橫行支臂”하는 특징이 있어 上半身의 痹痛에 더욱 효과

④ 疏風透表하여 遍身水腫 二便不利한 陽水證에 응용

3. 退熱시키는 효능이 좋아 淸熱藥인 蒲公英과 板藍根등과 配合하여 風熱表證에 응용 → 退熱되면 다시 發熱하지 않는 특징

4. 羌活 vs 獨活 : 逐風勝濕 透關利節 常同用

┌ 羌活 : 上行(膀胱>腎) – 發汗解熱>祛風濕 -治足太陽經之游風 ex.大羌活湯

└ 獨活 : 下行(膀胱<腎) – 發汗解熱<祛風濕 -治足少陰經之伏風 ex.獨活寄生湯

 → 羌活과 獨活을 相須配合하여 神經痛 關節炎등에 주로 痛症을 수반하는 경우에 多用

5. 韓羌活은 北羌活과 南羌活의 두 종류가 있으나 이는 같은 식물을 재배하는 방식(南羌活은 종자번식, 北羌活은 종근번식)에 따라 분화된 것이므로 효능의 유의한 차이는 없다는 견해가 많음

6. 韓羌活은 蠶羌이나 大頭羌에 비해 發汗解熱止痛이 약하나 상대적으로 장기 진행된 風寒濕痹에 응용할 수 있음

7. 和羌活은 땅두릅 Aralia cordata Thunb.의 뿌리를 일컫는 것으로 이는 獨活 중 九眼獨活이라는 약물이므로 羌活로 쓰지 않도록 한다.

【포제】

雜質을 제거하고 洗淨하여 厚片으로 切片해서 사용한다.

【용량】

內服:煎湯 4~12g. 혹은 入丸散.

【금기】

血虛痹痛, 氣血虧虛者 및 表虛汗多症에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防風 細辛 白芷 川芎 등을 配合하여 外感風寒으로 인한 惡寒發熱, 頭痛身痛에 응용
구미강활탕 九味羌活湯《此事難知》 (發汗祛濕 兼淸裡熱. 外感風寒表濕證. 惡寒發熱 肢體痠痛 口苦而渴 舌苔白薄 脈浮緊)
: 羌活治太陽肢節痛君主之藥也 然非無以爲主也 乃撥亂反正之主 故大無不通 小無不入關節痛非此不治也 防風治一身盡痛乃軍卒中卑下之職 一聽軍令而行所使引之而至 蒼朮別有雄壯上行之氣 能除濕 下安太陰 使邪氣不納傳之於足太陰脾 細辛治足少陰腎苦頭痛 川芎治厥陰頭痛在腦 香白芷治陽明頭痛在額 生地黃治少陰心熱在內 黃芩治太陰肺熱在胸 甘草能緩裡急調和諸藥. 以上九味. 雖爲一方然亦不可執 執中無權 猶執一也. 當視其經絡前後左右之不同 從其多少大小輕重之不一 增損用之 其效如神 即此是口傳心授. 㕮咀水煎服 若急汗熱服 以羹粥投之. 若緩汗溫服而不用湯投之也. 脈浮而不解者 先急而後緩 脈沉而不解者 先緩而後急 (九味羌活湯)不獨解利傷寒 治雜病有神. 中風行經者 加附子 中風秘澀者 加大黃. 中風並三氣合而成痹等證. 各隨十二經上下內外 寒熱溫涼 四時六氣 加減補瀉用之 煉蜜作丸尤妙.

시갈해기탕 柴葛解肌湯《傷寒六書》 (即葛根湯 本湯自有加減法). 治足陽明胃經受證 目疼鼻乾 不眠 頭疼眼眶痛 脈來微洪. 宜解肌 屬陽明經病. 其正陽明腑病 別有治法.
: 柴胡 乾葛 甘草 黃芩 芍藥 羌活 白芷 桔梗. 本經無汗 惡寒甚者 去黃芩 加麻黃 冬月宜加 春宜少 夏秋去之 加蘇葉. 本經有汗而渴者 治法開在如神白虎湯下. 水二鍾 姜三片 棗二枚 槌法 加石膏末一錢 煎之熱服.

cf. 시갈해기탕 柴葛解肌湯《醫學心悟》 治春溫夏熱之病 其症發熱頭痛 與正傷寒同 但不惡寒而口渴 與正傷寒異耳 本方主之.
: 柴胡一錢二分 葛根一錢五分 赤芍一錢 甘草五分 黃芩一錢五分 知母一錢 貝母一錢 生地二錢 丹皮一錢五分. 水煎服. 心煩 加淡竹葉十片. 譫語 加石膏三錢.

재조산 再造散《傷寒六書》 治患頭疼發熱 項脊強 惡寒無汗 用發汗藥二三劑 汗不出者。庸醫不識此證 不論時令 遂以麻黃重藥 及火劫取汗 誤人死者 多矣. 殊不知陽虛不能作汗 故有此證 名曰無陽證.
: 黃耆 人參 桂枝 甘草 熟附 細辛 羌活 防風 川芎 煨生薑. 夏月 加黃芩 石膏 冬月 不必加. 水二鍾 棗二枚 煎至一鍾. 槌法 再加炒芍藥一撮 煎三沸 溫服.

 防風 薑黃 當歸 赤芍藥 甘草 등을 配合하여 風寒濕邪로 인한 肩臂肢節疼痛에 응용
견비탕 蠲痹湯《楊氏家藏方》 治風濕相搏 身體煩疼 項臂痛重 舉動艱難 及手足冷痹 腰腿沉重 筋脈無力
: 當歸去土酒浸一宿 羌活去蘆頭 薑黃 白芍藥 黃耆蜜炙 防風去蘆頭 以上六味各一兩半 甘草半兩炙. 上件㕮咀 每服半兩 水二盞 生薑五片 同煎至一盞 去滓溫服 不拘時候.

cf. 견비탕 蠲痹湯《醫學心悟》 通治風寒濕三氣 合而成痹.
: 羌活行上力大 獨活行下力專 各一錢 桂心五分 秦艽一錢 當歸三錢 川芎治風先治血七分 甘草炙五分 海風藤二錢 桑枝三錢 乳香透明者 木香止痛須理氣各八分. 水煎服. 風氣勝者 更加秦艽防風, 寒氣勝者 加附子, 濕氣勝者 加防己萆苡仁, 痛在上者 去獨活 加荊芥, 痛在下者 加牛膝, 間有濕熱者 其人舌乾 喜冷 口渴 溺赤 腫處熱辣 此寒久變熱也 去肉桂 加黃柏三分.

cf. 진교천마탕 秦艽天麻湯《醫學心悟》 肩背臂膊痛 … 凡背痛多屬於風 … 背為諸腧之所伏 凡風邪襲人 必從腧入 經絡之病也. 間有胸痛連背者 氣閉其經也 亦有背痛連胸者 風鼓其氣也 … 祛風邪 宜用秦艽天麻湯.
: 秦艽一錢五分 天麻 羌活 陳皮 當歸 川芎各一錢 炙甘草五分 生薑三片 桑枝酒炒,三錢. 水煎服. 挾寒 加附子桂枝.

⑤ 海桐皮  등을 配合하여 風濕으로 인한 肩臂疼痛에 응용
서경탕 舒經湯《婦人大全良方》 治臂痛. 又名五痹湯 亦治腰下疾
: 片子薑黃四兩 甘草 羌活各一兩 白朮 海桐皮 當歸 赤芍藥各二兩. 上爲粗末 每服三錢. 水一盞半 煎至七分 去滓溫服. 如腰以下疾 空心服, 腰以上疾 食後服.

⑥ 오령지산 五靈脂散《世醫得效方》 治臂胛痛 (《東醫寶鑑》 風寒濕氣血壅滯臂胛疼痛)
: 五靈脂 荊芥穗 防風 羌活 獨活 甘草節 穿山甲 骨碎補 草烏各五錢 麝香少許. 上為末 用溫酒調下 臨睡服. 如渾身損痛 加沒藥 木香 酒調 空心服.

⑦ 附子 白朮 甘草 등을 配合하여 風濕相搏, 掣痛不可屈伸 등에 응용
강부탕 羌附湯《奇效良方》 治風濕相搏 身體煩疼掣痛 不可屈伸 或身微腫不仁.
: 羌活 附子炮,去皮臍 白朮 甘草炙,各二錢半. 作一服 水二盅 生薑五片 煎至一盅 不拘時服.

cf. 강활부자산 羌活附子散《醫學心悟》 客寒犯腦者 腦痛連齒 手足厥冷 口鼻氣冷 羌活附子湯主之
: 羌活一錢 附子 乾薑各五分 炙甘草八分. 水煎服.

⑧ 獨活 防風 川芎 藁本 蔓荊子 등을 配合하여 肩背痛不可回顧, 脊痛項强 등에 응용
: 강활승습탕 羌活勝濕湯《內外傷辨惑論》 肩背痛不可回顧者 此手太陽氣鬱而不行 以風藥散之. 脊痛項強 腰似折 項似拔 此足太陽經不通行 以羌活勝濕湯主之.
: 羌活 獨活以上各一錢 藁本 防風 甘草 川芎以上各五分 蔓荊子三分. 上㕮咀 都作一服 水二盞 煎至一盞 去渣 大溫服 食後. 如身重 腰沉沉然 經中有寒濕也 加酒洗漢防己五分 輕者附子五分 重者川烏五分.

⑨ 대강활탕 大羌活湯《醫學正傳》 治風濕相搏 肢節疼痛.
: 羌活 升麻各一錢 獨活七分 蒼朮 防己 葳靈仙 川歸 白朮 茯苓 澤瀉各五分. 上細切 作一服 水二盞 煎至一盞 去渣空心溫服.

cf. 대강활탕 大羌活湯《此事難知》 解利兩感(風寒濕邪表證兼有裡證 頭痛發熱 惡寒 口乾煩滿而渴等證)
: 防風 羌活 獨活 防己 黃芩 黃連 蒼朮 白朮 甘草 細辛去土各三錢 知母 川芎 地黃各一兩. 上㕮咀 每服半兩 水二盞煎至一盞半 去渣得清藥一大盞 熱飲之不解再服. 三四盞解之亦可. 病愈則止. 若有餘證 並依仲景隨經法治之.

 당귀염통탕 當歸拈痛湯≪醫學啓源≫ 治濕熱為病 肢節煩痛 肩背沉重 胸膈不利 遍身疼 下注於脛 腫痛不可忍.
: 羌活半兩 防風三錢 升麻一錢 葛根二錢 白朮一錢 蒼朮三錢 當歸身三錢 人參二錢 甘草五錢 苦參酒浸二錢 黃芩一錢炒 知母三錢酒洗 茵陳五錢酒炒 豬苓三錢 澤瀉三錢. 上銼如麻豆大 每服一兩 水二盞半 先以水拌濕 候少時 煎至一盞 去滓溫服 待少時 美膳壓之.

⑪ 소풍활혈탕 疏風活血湯《古今醫鑑》 死血所致 四肢百節 流注刺痛 其痛處或腫或紅.
: 威靈仙 白芷 防己 黃柏 南星 蒼朮 羌活 桂枝 各一錢 紅花三分 生薑五片. 水煎服.

cf. 소경활혈탕 疏經活血湯《萬病回春》 風濕之邪內侵 經脈瘀滯者. 遍身骨痠痛如針刺 左足尤甚 晝輕夜重.
: 當歸 甘草 白芍 生地黃 蒼朮 牛膝 陳皮 桃仁 威靈仙 川芎 防己 羌活 白芷 龍膽草 茯苓 生薑. 挾痰 加南星半夏, 上身臂痛 加桂枝薑黃, 下身足痛 加木瓜木通黃柏薏苡仁, 氣虛 加人參白朮龜板, 血虛 倍四物湯加阿膠丹參薑汁.

 사청환 瀉青丸《小兒藥證直訣》 治肝熱搐搦 脈洪實
: 當歸去蘆頭切焙秤 龍腦焙秤 川芎 山梔子 川大黃濕紙裹煨 羌活 防風去蘆頭切焙秤. 上件等分為末 煉蜜和丸 雞頭大 每服半丸至一丸 煎竹葉湯同沙糖溫水化下.

⑬ 천문동음 天門冬飲《醫宗金鑒》 轆轤轉關肝風盛 旋轉睛珠轆轤同 輕則瞳斜重反背 初起鉤藤飲蠍芎參防二麻僵蠶草 後服天冬飲赤令 羌活大冬五味子 人參知母蔚防風.
: 赤茯芩七分 羌活七分 天門冬一錢 五味子五分 人參七分 知母一 錢 茺蔚子一錢 防風五分. 右爲粗末 以水二盞 煎至一盞 食後去渣溫服.

⑭ 荊芥 防風 등을 配合하여 風寒表證의 瘡瘍初起에 응용
형방패독산 荊防敗毒散《東醫寶鑑》12 治瘟疫及大頭瘟
: 羌活 獨活 柴胡 前胡 赤茯苓 人參 枳殼 桔梗 川芎 荊芥 防風各一錢 甘草五分. 右剉作一貼水煎服.

cf. 형방패독산 荊防敗毒散《攝生眾妙方》 治外感風寒初起 惡寒發熱 頭疼身痛 胸悶咳嗽 痰多色白 苔白脈浮 及一切瘡瘍腫毒 腫痛發熱 左手脈浮數者.
: 羌活 獨活 柴胡 前胡 枳殼 茯苓 荊芥 防風 桔梗 川芎各一錢五分 甘草五分. 水一盅半 煎至八分 溫服.

⑮ 강방포박탕 羌蒡蒲薄湯《中醫方劑臨床手冊》 解表 清熱解毒. 治外感發熱, 如流行性感冒 上呼吸道感染 扁桃體炎 腮腺炎等.
: 羌活3至5錢 牛蒡子3錢 蒲公英5錢至1兩 薄荷葉1至2錢. 咳嗽等肺氣不宣明顯時 加桔梗 杏仁 前胡. 咽喉腫痛嚴重者 加板藍根 射干 馬勃. 胸悶 胃呆 泛惡 舌苔厚膩等濕濁中阻者 加厚朴 半夏 枳殼 六曲. 日服1劑 水煎 煮沸3-5分鐘即可 分2-3次服.

 승양익위탕 升陽益胃湯《內外傷辨惑論》 脾胃虛則怠惰嗜臥 四肢不收 時值秋燥令行 濕熱少退 體重節痛 口乾舌乾 飲食無味 大便不調 小便頻數 不欲食 食不消, 兼見肺病 灑淅惡寒 慘慘不樂 面色惡而不和 乃陽氣不伸故也. 當升陽益氣 名之曰升陽益胃湯.
: 黃耆二兩 半夏洗 此一味脈澀者用 人蘆去蘆 甘草炙 以上各一兩 獨活 防風以秋旺 故以辛溫瀉之 白芍藥何故秋旺用人參白朮芍藥之類反補肺 為脾胃虛則肺最受邪 故因時而補 易為力也 羌活 以上各五錢 橘皮四錢 茯苓小便利不渴者勿用 柴胡 澤瀉不淋勿用 白朮以上各三錢 黃連一錢. 上㕮咀 每服秤三錢 水三盞 生薑五片 棗二枚 煎至一盞 去渣 溫服 早飯後 或加至五錢. 服藥後如小便罷而病加增劇 是不宜利小便 當少去茯苓 澤瀉. 若喜食 一二日不可飽食 恐胃再傷 以藥力尚少 胃氣不得轉運升發也 須薄味之食或美食助其藥力 益升浮之氣而滋其胃氣 慎不可淡食以損藥力 而助邪氣之降沉也. 可以小役形體 使胃與藥得轉運升發, 慎勿太勞役 使氣復傷 若脾胃得安靜尤佳. 若胃氣稍強 少食果以助谷藥之力. 經云 「五穀為養 五果為助」者也.

 茯苓皮 椒目 赤小豆 등을 配合하여 水腫脹滿과 二便不利에 응용
소착음자 疏鑿飮子《嚴氏濟生方》 治水氣 通身洪腫 喘呼氣急 煩躁多渴 大小便不利 服熱藥不得者.
 : 澤瀉 赤小豆 商陸 羌活去蘆 大腹皮 椒目 木通 秦艽去蘆 檳榔 茯苓皮. 上等分 㕮咀 每服四錢 水一盞半 生薑五片 煎至七分 去滓 溫服 不拘時候.

⑱ 윤장환 潤腸丸《脾胃論》 治飲食勞倦 大便秘澀 或乾燥 閉塞不通 全不思食 及風結 血秘 皆能閉塞也. 潤燥和血疏風 自然通利也.
: 大黃去皮 當歸梢 羌活以上各五錢 桃仁湯浸,去皮尖,一兩 麻子仁去皮取仁,一兩二錢五分. 上除桃仁麻仁另研如泥外 搗羅爲細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每服五十丸 空心用白湯送下.

⑲ 紅花 續斷 當歸 등을 配合하여 跌打損傷 등에 응용
서근활혈탕 舒筋活血湯《傷科補要》 筋絡 筋膜 筋腱損傷. 爲傷筋中期及脫臼複位後調理之
: 羌活 防風 荊芥 獨活 當歸 續斷 靑皮 牛膝 五加皮 杜仲 紅花 枳殼

⑳ 乳香 沒藥 當歸 羌活 등을 配合하여 跌撲骨折에 응용
자연동산 自然銅散《張氏醫通》 治跌撲骨斷
: 自然銅通紅醋淬七次放濕土上月余用 乳香 沒藥 當歸身 羌活 等分. 為散 每服二錢. 醇酒調 日再服. 骨傷 用骨碎補半兩酒浸搗絞取汁沖服.

㉑ 파혈소통탕 破血消痛湯《醫宗金鑑》 傷損內
: 羌活 防風 官桂各一錢 蘇木一錢半 柴胡 連翹 當歸梢各二錢 麝香另研少許 水蛭炒去煙盡另研二錢. 以上為粗末 共一服 酒二大盞 水一盞. 水蛭麝香另研如泥 餘藥煎至一大盞 去火 稍熱 調二味服之 兩服立癒.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160-2.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339-4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326-7.


 




각주

  1. 최근 연구를 반영하면 생약명은 ‘Hanseniae Weberbauerianae Radix et Rhizoma’이다.
  2. 根莖
  3. 최근 연구를 반영하면 생약명은 ‘Hanseniae forbesii Radix et Rhizoma’이다.
  4. = Ostericum grosseserratum (Maxim.) Kitag. = Angelica grosseserrata Maxim. = Angelica koreana Maxim.

    그러나 최근의 다른 연구에서는 약용하는 강활은 앞서 기재된 것과 다르고 왜천궁(毛珠當歸) Angelica genuflexa Nutt. ex Torr. & A.Gray과 같다고 보고되기도 하였음. 또한, 왜천궁과도 다르므로 Angelica reflexa B.Y.Lee라는 새로운 종으로 보고되기도 하였음. 이와 같이 식물분류학적 견해가 상이함.

  5. 국내에 자생하지 않으며 중국식물명은 ‘羌活’임. 공정서에서는 강호리와 구분키 위해 이를 ‘중국강활(中國羌活)’로 표기하고 있음.
  6. = Hansenia weberbaueriana (Fedde ex H.Wolff) Pimenov & Kljuykov
  7. = Hansenia forbesii (H.Boissieu) Pimenov & Kljuykov =(?) Notopterygium franchetii H.Boissieu
  8. ITS의 염기서열 비교분석결과 2종류는 매우 유사한 계통의 식물(최봉채. 羌活類 한약재의 유전자 감식연구. 2003년 경희대 석사학위논문).南羌活은 2n=22이며, 北羌活은 2n=110인 배수체화된 것.
  9. 根莖
  10. 해당 처방의 출전을 《동의보감》에서 ‘得效’라 밝혔으나 《世醫得效方》에서 찾을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