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죽(玉竹) Polygonati Odorati Rhizom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玉竹《神農本草經》
【생약명】 Polygonati Odorati Rhizoma
【이명】
女萎《本經》 葳蕤 節地 烏萎《吳普本草》 萎蕤《別錄》 萎香《綱目》 熒 委萎 王馬 蟲蟬 靑黏 黃芝 地節 馬熏 葳參 玉朮 山玉竹 筆管子 十樣錯 竹七根 竹節黃 黃脚雞 百解藥 山薑 黃蔓菁 尾參 連竹 西竹
【기원】
아스파라거스과(Asparagaceae ; 天門冬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또는 기타 동속근연식물의 根莖으로,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曬乾하거나 쪄서 말린다.
⊃ KHP, ChP, THP, DPRKP 1
속씨식물군 (被子植物群 ; Angiosperms)
외떡잎식물군 (單子葉植物群 ; Monocots)
아스파라거스목 (天門冬目 ; Asparagales)
아스파라거스과 (天門冬科 ; Asparagaceae)
[ 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
【성상】
[ 玉竹 Polygonati Odorati Rhizoma ]
… 바깥면은 엷은 黃色~엷은 黃褐色으로 세로주름이 많으며 반투명하고 약간 볼록한 가락지 모양의 마디가 있으며, 白色의 등근 점상의 수염뿌리의 흔적과 圓盤狀의 줄기자국이 있다. 질은 연하여 부스러지기 쉽고 혹은 조금 단단한 것도 있으나 절단하기 쉽고, 단면은 角質樣 혹은 顆粒狀을 나타낸다. 길고 굵으며 바깥면이 엷은 황백색으로 윤기가 있고 質이 연하고 맛이 달며 점성이 있는 것이 좋다.
【산지】
중국과 한국의 각지에 분포
【성분】
∙ 다당류 성분으로 odoratum mucopolysaccharide(odoratan)와 polygonatum-fructan A~D, oligosacchar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 Steroid 계열 성분으로 polyspirostanol, polyspirostanoside, polyfuroside, polygonin Ⅳ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혈당강하, 혈중지질 개선, 강심 작용을 나타내나, 대량에서는 반대의 현상이 나타난다.
∙ 家兎의 정맥에 주사시에 혈압상승을 나타낸다.
∙ 부신피질호르몬 유사작용, 潤腸通便, 항종양, 돌연변이 억제, 항바이러스 작용을 한다.
【성미】 性微寒 味甘 【귀경】 肺胃經
【효능】 養陰潤燥 生津止渴
【주치】 治肺胃陰傷 熱病陰傷 咳嗽煩渴 虛勞發熱 咽乾口渴 消穀易飢 小便頻數
【해설】 味甘 多液 質柔潤 ← 補하되 膩滯하지 않고 補養하되 戀邪하지 않는 특징 ← 養陰 ← 肺胃의 燥熱證에 응용
1. 養陰潤燥 : 肺燥로 인한 乾咳稠痰, 陰虛한 상태에서 外感에 상한 發熱 咳嗽症에도 사용
① 肺胃의 燥熱로 傷陰된 병증에 응용
② 陰虛로 風濕發熱咳嗽하는 병증에 응용
2. 養陰生津止渴 : 胃熱傷津으로 인한 煩渴易飢
① 溫病 후기에 胃陰 손상으로 나타나는 口舌乾燥와 식욕부진에 응용
② 虛熱 少津口乾에 응용
3. 일부 文獻의 ‘人蔘의 대용’, ‘人蔘 黃芪의 대용’
: 玉竹의 滋補能力을 과대평가한 것. 실제로 滋補能力은 黃精보다 못하며, 潤燥能力은 麥門冬보다 못함
→ 충분한 효력을 내기 위해서는 대량을 사용해야 함 2
4. 玉竹 vs 天門冬 , 麥門冬 : 養陰潤肺
┌ 麥門冬 : 淸心작용이 뚜렷
├ 天門冬 : 滋腎작용이 뚜렷
└ 玉竹 : 肺胃燥熱을 주로 치료함. 黃精 天門冬 麥門冬에 비하여 補陰力이 상대적으로 약함.
∴ 玉竹은 소화에 큰 지장을 주지 않아 상기약물의 보조약 혹은 대체약으로 활용
5. 중국 광동지방의 음료인 淸補凉(玉竹, 沙蔘, 蓮子, 山藥, 百合, 白扁豆 등)에 응용
6. 최근에는 强心작용이 입증되어 임상에서 응용되기도 한다.
【포제】
淸熱養陰에는 生用하고 滋補養陰에는 蒸熟하거나 炒用.
【용량】
10~20g이나 少量으로는 효력이 약하므로 大量을 사용.
【금기】
滋膩하므로 脾虛 및 痰濕氣滯의 경우에는 愼用.
【배합례】
① 麥門冬 沙蔘 등을 配合하여 燥傷肺胃의 증에 응용
사삼맥동탕 沙參麥冬湯 《溫病條辨》卷一 (甘寒生津 淸養肺胃) 治燥傷肺胃 或肺胃陰津不足 咽乾口渴 或熱 或乾咳少痰.
: 沙參3錢 玉竹2錢 生甘草1錢 冬桑葉1錢5分 麥冬3錢 生扁豆1錢5分 花粉1錢5分. 水5杯 煮取2杯 每日服2次. 久熱久咳者 加地骨皮3錢. 方中沙參·麥冬淸養肺胃 玉竹·花粉生津解渴 生扁豆·生甘草益氣培中·甘緩和胃 配以桑葉 輕宣燥熱 合而成方 有淸養肺胃·生津潤燥之功
② 옥죽맥문동탕 玉竹麥門冬湯 《溫病條辨》卷二 治燥傷胃陰
: 玉竹3錢 麥冬3錢 沙參2錢 生甘草1錢. 水5杯 煮取2杯 分2次服. 土虛者 加生扁豆 氣虛者 加人參.
③ 桔梗 豆豉 白薇 薄荷 등을 配合하여 陰虛로 風濕發熱咳嗽하는 病證에 응용
가감위유탕 加減葳蕤湯《重訂通俗傷寒論》 滋陰發汗 治陰虛之體 感冒風溫 及冬溫咳嗽 咽喉痰結者
: 生葳蕤2錢至3錢 蔥白2至3枚 桔梗1錢至錢半 東白薇5分至1錢 淡豆豉3錢至4錢 蘇薄荷1錢至錢半 炙草5分 紅棗2枚. 何秀山按:方以生玉竹滋陰潤燥爲君, 臣以蔥·豉·薄·桔 疏風散熱, 佐以白薇苦鹹降泄, 使以甘草·紅棗甘潤增液 以助玉竹之滋陰潤燥. 爲陰虛體感冒風溫 及冬溫咳嗽 咽乾痰結之良劑.
④ 沙蔘 麥門冬 生地黃 등을 配合하여 溫病후기에 胃陰이 손상되어 나타나는 口舌乾燥와 식욕부진에 응용
익위탕 益胃湯 《溫病條辨》卷二 陽明溫病 下後汗出 胃陰受傷
: 沙參3錢 麥冬5線 冰糖1錢 細生地5錢 玉竹(炒香)1錢5分. 水5杯 煮取2杯 分2次服 滓再煮1杯服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42-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38-40.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1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