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석곡(石斛) Dendrobii Cauli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石斛《神農本草經》  

【생약명】 Dendrobii Caulis

【이명】 林蘭《本經》 禁生 杜蘭《別錄》 千年竹《植物名實圖考》

【약성가】石斛味甘卻驚悸 冷肺虛損壯骨餌

【기원】

※ 현재 식물분류의 혼란이 극심하므로 부득이하게 국내 공정서의 내용을 그대로 기술함.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난초과(Orchidaceae ; 蘭科)에 속한 여러해살이기생풀인 金釵石斛 Dendrobium nobile Lindl. 또는 環草石斛 D. loddigesii Rolfe, 馬鞭石斛 D. fimbriatum var. oculatum Hook., 黃草石斛 D. chrysanthum Wall. ex Lindl., 鐵皮石斛 Dendrobium candidum Wall. ex Lindl.의 줄기로, 늦여름 개화전에 채취하여 曬乾한다.

⊂ KHP, ChP, THP

※  ChP는 鐵皮石斛을 별도의 약물로 수재하고 있는데 그 학명을 ‘Dendrobium officinale Kimura & Migo’로 제시함. 그러나 石斛의 항목에는 鐵皮石斛의 학명으로 ‘Dendrobium candidum Wall. ex Lindl.’을 제시하여 같은 공정서 내에서도 학명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음. 한편, 최근의 WFO는 이 둘 모두 국내 자생식물 ‘석곡’의 학명인 ‘Dendrobium moniliforme (L.) Sw.’의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음.

※ 국내 자생 식물 : 석곡(細莖石斛) Dendrobium moniliforme (L.) Sw. ⊂ DPRKP

  속씨식물군 (被子植物群 ; Angiosperms)
   외떡잎식물군 (單子葉植物群 ; Monocots)
      아스파라거스목 (天門冬目 ; Asparagales)
         난초과(蘭科 ; Orchidaceae)

 

金釵石斛 Dendrobium nobile Lindl.

[ 金釵石斛 Dendrobium nobile Lindl. ]

석곡(細莖石斛) Dendrobium moniliforme (L.) Sw.

[ 석곡(細莖石斛) Dendrobium moniliforme (L.) Sw. ]

【성상】 전체적으로 육질이 두텁고 줄기가 굵으며 겉이 黃潤한 것이 좋다.

금채석곡 金釵石斛 Dendrobii Nobilis Caulis

[ 金釵石斛 Dendrobii Nobilis Caulis ]

∙ 金釵石斛(石斛) : 줄기의 지름이 상대적으로 굵다(0.4∼0.6cm). 표면은 황금색 또는 중앙에 녹색을 띤 황색(生石斛은 표면이 黃綠色으로 매끄럽다)이며 깊은 세로홈(縱溝) 및 주름이 있다. 마디는 명확하며 棕色으로 색깔이 비교적 짙고 때로 부풀어 올라 있으며, 위에 花序柄痕과 膜質葉鞘가 있다. 體는 가볍고 質은 단단하면서 부스러지기 쉬우며, 단면은 비교적 평탄하고 灰白色이며 섬유가 노출되어 있다. 거의 냄새가 없고 맛은 쓰며, 씹으면 점성이 있다..

∙ 環草石斛(美花石斛) : 細長한 원주형으로 구부러졌고 길이 15~35㎝, 지름 0.1~0.3㎝이며 마디 사이의 길이는 1~2㎝이다. 표면은 황금색으로 광택이 있으며 가는 세로주름이 있다. 質은 부드러우면서 질기며 속이 충만해 있다. 단면은 비교적 평탄하고 맛은 淡하다.

∙ 馬鞭石斛(流蘇石斛) : 줄기가 거칠고 길어 馬鞭(말채찍)과 같아 馬鞭石斛이라 부른다. 줄기의 지름이 크며(0.5∼1.5cm) 깊은 8∼9條의 세로홈이 있고, 단면은 섬유성으로 엉성하다.

∙ 黃草石斛(束花石斛)  : 길이 30~80㎝, 지름 0.3~0.5㎝이고 마디사이의 길이는 2~3.5㎝이다. 표면은 황금색 또는 엷은 황갈색으로 縱溝가 있다. 體는 가볍고 속이 충만하며, 質은 절단하기 쉽고, 단면은 약간 섬유성이며 씹으며 점성이 있다. 거의 냄새가 없고 맛은 조금 쓰다.

∙ 鐵皮石斛(藿山石斛) : 줄기가 圓形이고 外皮가 鐵綠色이어서 鐵皮石斛(썰어서 다발로 만들어 말린 것)이라 부르며, 鬚根을 제거한 후에 나선형이나 용수철 모양으로 만들어 烘乾한 것으로 일명 ‘耳環石斛(鐵皮楓斗)’이라고도 한다. 지름이 상대적으로 가늘고(0.15∼0.3cm), 圓形으로 표면에 가는 세로주름이 있다.

【산지】

중국의 西南(四川 貴州 雲南 西藏), 華南(臺灣 廣西 海南島 廣東), 華中(湖北) 등지 및 인도·네팔·부탄·미얀마·태국·라오스·베트남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난과 식물에 속하는 대표적인 한약재 중의 하나로서 우리나라 남부지방, 제주도, 흑산도 지역의 암석에서 자생하며 石蘭이라 불리고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성분】

∙ 金釵石斛(石斛)의 줄기에는 alkaloid 성분이 0.3% 함유되어 있는데, 그 주요 성분으로 dendrobine, nobilonine, 6-hydroxydendrobine, dendramine, dendroxine, 6-hydroxydendroxine, 4-hydroxydendroxine, dendrine 등이 있다. 그리고 nobilomethylene, denbinobin, β-sito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고, bibenzyl 성분인 moscatilin이 함유되어 있다. 휘발성 정유 성분으로는 nerolidol, pentadecanoic acid, manool, palmitic acid 등이 있고, 그 밖에 dendroside A, derdronobilosides A~B 등의 성분이 함유되었다.

∙ 環草石斛(美花石斛) 의 줄기에는 alkaloid 성분으로 shihunine, shihunidin, dendrophenol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黃草石斛의 莖에는 hygrine, dendrochrysinem 등의 alkaloid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 馬鞭石斛(流蘇石斛) 의 줄기에는 cis-/transp-hydroxycinnamic acid의 tetracosyl, pentacosyl ester 등 총 18개 성분, stigmasterol 및 β-sitosterol류 성분, 그리고 denfigenin, diosgenin, chrysophanol, n-dotriacontano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 鐵皮石斛의 줄기에는 alkaloid 성분으로 hygrine, dendrochrys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위장운동과 위액분비를 촉진시켜 소화를 도와주며 아울러 해열·진통 작용을 나타낸다.
∙ 위장운동 억제, 소장평활근 수축 작용을 한다.
∙ 심장박동을 억제하며, 포도상구균에 억제작용이 있다.
∙ 항산화, 면역촉진(dendroside A, dendronobilosides A), 면역억제(dendronobilosides B), 백내장 억제, 혈소판응집 억제, 항종양, 돌연변이 억제, 체중증가 작용을 한다.

 

【성미】 性微寒 味甘     【귀경】 胃腎經

【효능】 益胃生津 滋陰淸熱

【주치】 治熱病傷津 口乾煩渴 病後虛熱 目暗不明

【해설】

補中有淸 혹은 淸中有補

1. 養胃陰 : 胃中虛熱을 없애주고 煩渴을 그치게 함

① 주로 熱病 후기에 津傷口渴 夜熱早涼 舌絳少津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要藥

② 胃陰不足으로 인한 胃痛과 口渴 食少 乾嘔 舌紅無苔 등에 응용

2. 淸虛熱 : 아울러 腎中浮火를 맑게 해주어 虛熱을 없애줌

① 陰虛發熱에 응용

② 腎陰虧損 腰膝軟弱에 응용

③ 産後에 血虛驚悸를 나타내는 데 응용

3. 麥門冬 vs 石斛 : 石斛의 養胃生津작용은 麥門冬보다 우수하나, 潤肺止咳 淸心除煩의 효능이 없음

→ 麥門冬을 대체하는데 응용할 수 있음

┌ 麥門冬 : 肺水를 보충해주면서 胃陰을 보충 → 治肺燥咳嗽
└ 石   斛 : 腎水를 보충해주면서 胃陰을 보충 → 治腎胃肺燥 ex. 鹿茸大補湯,地黃飮子

4.鮮石斛 vs 乾石斛

┌ 鮮石斛 : 淸熱生津작용이 강하여 熱病傷津 舌絳煩渴한 것에 응용

└乾石斛 : 滋陰生津작용이 강하여 병후에 陰虛津虧하여 虛熱이 不退한 證에 응용1

5. ┌强壯劑로서의 石斛 : 益精 補精작용
    └治風劑로서의 石斛 : 治風痺. 中風半身不遂 神經障碍 등에 응용

6. 노인들의 口臭 : 음료로 사용(老人性口臭를 腎陰이 부족하여 胃에 津液을 공급하지 못해 胃熱이 발생한 것으로 해석). 야간에도 항상 물을 마시는 정도가 심한 것이 특징. 2

7. 과거에 唱을 하는 사람들이 검은 콩과 石斛을 끓여서 복용 : 淸虛熱 養胃陰하여 얻을 수 있는 여러 이점을 활용하였다고 추론

8. 다량 사용시 혈압을 하강시키고 혈당을 상승시켜 쇼크를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조심하여야 함.

【포제】

건조하여 사용하거나, 12시간 정도 酒浸한 후 사용

【용량】

4~16g, 신선한 것은 16~30g(入湯劑 先煎 혹은 久煎)

【금기】

본 약물은 戀邪助濕하므로 燥하지 않은 溫熱病(濕溫症)이나 陰虛로 熱象이 있없을 때(虛而無火者)나 脾胃虛寒의 경우에는 忌

【배합례】

왕씨청서익기탕 王氏清暑益氣湯 《溫熱經緯》 三十八 濕熱證 濕熱傷氣 四肢困倦 精神減少 身熱氣高 心煩溺黃 口渴自汗 脈虛者 東垣用清暑益氣湯主治. 同一熱渴自汗 而脈虛 神倦 便是中氣受傷 而非陽明鬱熱 清暑益氣湯乃東垣所制 方中藥味頗多 學者當於臨證時斟酌去取可也. 雄按: 此脈此證 自宜清暑益氣以為治 但東垣之方 雖有清暑之名 而無清暑之實. 觀江南仲治孫子華之案 程杏軒治汪木工之案可知 故臨證時須斟酌去取也. 汪按: 清暑益氣湯 洄溪譏其用藥雜亂固當 此云無清暑之實尤確. 餘每治此等證 輒用
: 西洋參 石斛 麥冬 黃連 竹葉 荷稈 知母 甘草 粳米 西瓜翠衣 等 以清暑熱而益元氣 無不應手取效也. 汪按: 此方較東垣之方為妥 然黃連尚宜酌用.

야광환 夜光丸 = 석곡야광환 石斛夜光丸《瑞竹堂經驗方》 治腎虛血弱 風毒上攻 眼目視物昏花不明 久而漸變內障. 常服降心火 益腎水 明目除昏. 夜可讀細字.
: 天門冬去心焙 麥門冬去心焙 生地黃懷州道地 熟地黃懷州道地 新羅參去蘆 白茯苓去黑皮 乾山藥以上各一兩 枸杞子揀淨 牛膝酒浸別搗 金釵石斛酒浸焙乾另搗 草決明 杏仁去皮尖炒 甘菊揀淨 菟絲子酒浸焙乾另搗 羚羊角鎊各七錢半 肉蓯蓉酒浸焙乾另搗 五味子 防風去蘆 甘草炙赤色銼 沙苑蒺藜 黃連去須 枳殼去瓤麩炒 川芎 生烏犀 青葙子各半兩. 上件二十五味 除另搗外 同為極細末 煉蜜為丸 如梧桐子大 每服三 五十丸 空心 溫酒送下 鹽湯亦可.

③ 生地黃 麥門冬 天花粉 등을 配合하여 熱病으로 傷陰하여 口燥煩渴한 경우에 응용
청열보진법 清熱保津法《時病論》 治溫熱有汗 風熱化火 熱病傷津 溫瘧 舌苔變黑
: 連翹三錢去心 天花粉二錢 鮮石斛三錢 鮮生地四錢 麥冬四錢去心 參葉八分. 水煎服

④ 茯苓 橘皮 枳殼 白扁豆 藿香 牧丹皮 赤芍藥 등을 配合하여 麻疹홍역후 열이 심하여 嘔吐不食한 것을 치료
석곡청위산 石斛淸胃散《張氏醫通》卷十五 養胃津 益脾氣 治麻疹後嘔吐 胃虛不食 熱滯
: 石斛·茯苓·橘皮·枳殼·扁豆·藿香·丹皮·赤芍等分 甘草減半 上爲散 每服3-4錢 加生薑1片 水煎服

⑤ 麥門冬 生地黃 玄蔘 등을 配合하여 陰虛發熱을 치료
석곡탕 石斛湯《醫方大成》卷四引《濟生》 治精實極 眼視不明 齒焦發落 通身虛熱 甚則胸中煩疼 夜夢遺精
: 小草1兩 石斛(去根)1兩 黃耆(去蘆)1兩 麥門冬(去心)1兩 生地黃(洗)1兩 白茯苓(去皮)1兩 玄參1兩 甘草(炙)半兩 上咬咀 每服4錢 水1盞半 加生薑5片 煎服 不拘時候

⑥ 人蔘 酸棗仁 茯神 遠志 白芍藥 麥門冬 五味子 등을 配合하여 産後의 血虛驚悸를 치료
석곡산 石斛散《婦科玉尺》卷四. 治產後血虛驚悸
: 人參 棗仁 茯神 遠志 白芍 石斛 麥冬 炙草 五味子 桂圓湯下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40-2.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335-8.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277-8.


 




각주

  1. 《本草正義》 若肺胃火熾 津液已耗 舌質深赤乾燥 或焦黑嗜飲者 必須鮮斛 清熱生津 力量尤偉
  2. 《本草通玄》 古人以此代茶 甚清上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