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해마(海馬) Hippocampus

해마(海馬) Hippocampu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海馬《本草拾遺》    

【생약명】 Hippocampus

【이명】 水馬《抱朴子》 鰕姑《海南介語》 馬頭魚《動物學大辭典》 龍落子魚《藥材學》

【약성가】 海馬甘溫催産奇 或用燒服或手持

【기원】

실고기과(Syngnathidae ; 海龍科)에 속한 동물인 왕관해마(冠海馬) Hippocampus coronatus Temminck & Schlegel, 1850 또는 기타 동속근연동물1몸체로, 포획하여 내장을 제거하고 건조한 것.

⊂ KHP, ChP2

3 동속근연동물 중 점해마 및 복해마, 가시해마는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해양보호생물

※ 2004.05.15. 해마속 전체 CITES 부속서 II 수재

동물계 (動物界 ; Animalia)
  척삭동물문 (脊索動物門 ; Chordata)
    조기어강 (輻鰭魚綱 ; Actinopterygii)
      실고기목 (海龍目 ; Syngnathiformes)
        실고기과 (海龍科 ; Syngnathidae)

【성상】

옆으로 扁壓되어 구부러졌고 길이 10~30㎝이며, 황백색이고 머리는 말의 머리와 비슷하고 닭벼슬 모양의 돌기가 있다. 앞에는 冠狀의 긴 주둥이가 있고 입은 작으며 이가 없고 두 눈은 깊게 들어가 있다. 몸 부분은 七棱形이고, 꼬리 부분은 四棱形으로 점점 가늘어지면서 말려 있다. 몸에는 꼬막조개 모양의 마디와 짧은 가시가 있다. 몸은 가볍고 骨質이며 단단하다. 비린내가 조금 있으며 맛은 약간 짜다. 몸이 크고 견실하며 머리와 꼬리가 완전한 것이어야 한다.

해마(海馬) Hippocampus

(좌상, 우상) 켈로그해마(선문해마, 克氏海馬) Hippocampus kelloggi Jordan & Snyder, 1901
(좌하) 가시해마(刺海馬) Hippocampus histrix Kaup, 1856
(우하) 점해마(삼반해마, 三斑海馬) Hippocampus trimaculatus Leach, 1814

 

【산지】

중국의 華南(廣東 福建 臺灣 海南島), 동해·남해 등에서 산출하며, 산호해마(海蛆, , 小海馬, 日本海馬)는 중국의 전국 연안에서 산출된다.

【성분】

· 가시해마(刺海馬)에는 단백질, 지방, 여러종의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피부의 황색소는 γ-carotene, 홍색소는 astaxanthin, astacene, 흑색은 melanin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밖에 acetylcholinesterase, cholinesterase, protease 등이 함유되어 있다.
· 복해마(大海馬, 큰해마)에는 arginine, aspartic acid, alanine, glycine 등 20 여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또 약용으로 가치가 높은 tourine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Ca, K, Na 등의 무기원소가 함유되어 있다.
· 점해마(三斑海馬, 斑海馬)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proline, alanine 등 17종의 아미노산과 19종의 무기원소가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성호르몬 유사작용, 항산화, 항혈전, 항피로, 항종양 작용을 한다.
· 알콜침출액은 발정기를 연장하고 자궁의 무게를 늘린다.

 

【성미】 性溫 味甘     【귀경】 肝 腎經

【효능】 補腎壯陽 調氣活血

【주치】 治陽痿 遺尿 虛喘 難産 癥瘕積聚 疔瘡腫毒

【해설】 

1. 補腎壯陽 : 性味甘溫 專入腎經 → 元陽을 補助하는 要藥

 ① 흥분성 강장제로서 陽痿를 치료하여 성욕을 촉진시키는 약물

 ② 腎氣의 衰弱이 지나침으로 인한 精寒痿弱을 치료

 ③ 延年益壽 添精和氣 駐顔壯骨에 보조적으로 응용

2. 調氣活血

 ① 疔瘡 및 惡瘡發背에 外用으로 응용

 ② 氣血不行으로 인한 癥瘕와 難産에 응용 (出産할때 진통을 줄여주는 催生의 효능4

3. 性慾 촉진 治陽痿 : 蛇床子=淫羊藿 > 海馬 > 蛤蚧

【포제】

酒浸 또는 酥炙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燒存性으로 搗末하여 사용.

【용량】

4~12g.   

【금기】

孕婦와 陰虛火旺한 경우에는 복용을 忌.

【배합례】

① 부용해마단 芙蓉海馬丹《醫級》 陽萎精衰 不能生育 或精滑不攝 不能交接
: 熟地3兩煮搗 山藥炒1兩半 枸杞炒1兩半 萸肉炒2兩 茴香炒1兩 巴戟酒炒1兩 蓯蓉洗 蒸1兩 淫羊藿焙1兩 茯神人乳拌 蒸1兩 續斷酒炒1兩 杜仲鹽水炒1兩 故紙炒1兩 胡桃肉2兩 桂心研5錢 海馬1對切 焙 阿芙蓉3錢須去泥 清膏 蛤蚧1對去頭足 清水浸五宿 逐日換水 拭去浮鱗 炙黃. 上為末 先將熟地蓯蓉胡桃三味搗膏令勻 然後用鹿膠八兩溶化 入諸末 搗為丸 如梧桐子大. 每日早晚各服3錢 用開水送下. 服藥靜養 不妄作強勞 待時交接 再遲速得宜. 婦有病者 宜先調理之.

② 枸杞子 魚鰾膠 紅棗 등과 배합하여 腎陽虛弱․夜尿頻繁 혹은 婦女의 體虛로 인한 白帶에 응용
해다탕 海馬湯

③ 木香 大黃 靑橘皮 白牽牛 巴豆 등과 배합하여 오래된 積聚癥塊에 응용
: 목향탕 木香湯 = 해마탕 海馬湯《聖濟總錄》卷七十三5) 治遠年虛實積聚瘕塊.
: 木香1兩 海馬子1對(雌者黃色 雄者靑色) 大黃(銼 炒)2兩 靑橘皮(湯浸 去白 焙)2兩 白牽牛(炒)2兩 巴豆49粒. 以童便浸靑橘皮軟 裹巴豆 以線系定 入小便內 再浸7日 取出 麩炒黃 去巴豆 只使靑橘皮 並餘藥爲粗末 每服2錢匕 水1盞 煎3-5沸 去滓 臨臥溫服. 

④ 穿山甲 水銀 朱砂 雄黃 輕粉 腦子 麝香 등과 배합하여 등에 생긴 惡瘡과 疔瘡 등에 응용
: 해마발독산 海馬拔毒散《急救仙方》卷一 治發背 諸惡瘡 兼治疔瘡.
: 海馬1雙(炙) 穿山甲(黃土炒)2錢 水銀2錢 朱砂2錢 雄黃3錢 輕粉1錢 腦子少許 麝香少許. 上除水銀外 各研爲末 和合水銀 再研至無星 針破瘡口 點藥入內 1日1點. 神效.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17-9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297-9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227-8


 




각주

  1. 켈로그해마(선문해마, 克氏海馬) Hippocampus kelloggi Jordan & Snyder, 1901

    가시해마(刺海馬) Hippocampus histrix Kaup, 1856

    복해마(腹海馬, 大海馬) Hippocampus kuda Bleeker, 1852

    점해마(삼반해마, 三斑海馬) Hippocampus trimaculatus Leach, 1814

    산호해마(珊瑚海馬, 日本海馬) Hippocampus japonicus Kaup, 1856

  2. ‘왕관해마(冠海馬)’는 인정치 않음
  3. 본초학공통교재 및 대부분의 본초학 서적에는 유통이 금지된 약물뿐만 아니라 CITES I~III, 멸종위기 야생생물, 해양보호생물, IUCN 리스트 등에 해당하는 동식물도 있습니다. 이는 해당 약물의 사용을 권장키 위함이 아니라, 관련 법규에 저촉됨이 없도록 안내하고, 완전하게 사용 불가에 해당할 경우 적당한 대체 약물을 선택할 수 있도록 그 효능 및 주치를 이해하기 위함입니다.
  4. 《동의보감》에서 ‘출산할 때 손에 쥐고 있으면 양처럼 순산하니 출산 즈음에 몸에 지니고 있으면 좋다(婦人難産手握此虫則如羊之産也生物中羊産最易臨産帶之或手持之可也)’하였다. 《證類本草》에도 유사한 내용(主婦人難產 帶之於身 神驗)이 있다. 더욱이 난산에 복용약으로서의 활용은 찾기 어려우므로 해당 효능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5. 《本草綱目》은 ‘海馬湯’으로 인용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