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자하거(紫河車) Hominis Placent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紫河車《本草拾遺》 

【생약명】 Hominis Placenta

【이명】 胞衣《梅師集驗方》 人胞《本草拾遺》 混沌皮 混元丹《本草蒙筌》 胎衣《綱目》

【약성가】 紫何車甘療虛損 勞瘵骨蒸培根本

【기원】

건강한 産婦의 태반(Hominis Placenta)을 혈관을 절개하고 맑은 물에 깨끗이 씻은 후에 烘製하여 건조한 것

⊂ 공정서 미수재 1 

자하거(紫河車) Hominis Placenta

[ 자하거(紫河車) Hominis Placenta ]

【주의】

※ 적출물관리법에 의거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하였으나, 2005년 KHP에서 삭제[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54호(2005.09.30)]되어 가공의약품 외에는 사용이 불가.

※ 고시 내용 : 자하거는 “건강한 사람의 태반을 건조한 것”으로서 동의보감 등 한의학 문헌에서 만성 소모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해 온 약재이나, 산모로부터 병원성 미생물 등 감염 우려가 있어 이번에 삭제하기로 했다.

※ 2008년 식약청 행정지시에 따라 …… ‘인태반 유래 완제의약품’의 허가를 받은 의약품제조업소와 이들 품목을 취급하는 의약품 도매상은 이들 의약품을 취급·판매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나 의약품판매업소(여타 도매상 또는 약국)에만 판매해야… 

→ 식약청은  ‘인태반 유래 완제의약품’은 종전 한약재로 사용하던 ‘자하거’와는 달리 인태반을 추출 또는 가수분해, 멸균 등 공정을 거쳐 제제화한 것이라…

→ 한의계의 반발로 현재 한약조제용 자하거추출물이 유통 및 사용되고 있음

【성분】

Interferon, macroglobulin, urokinase 억제제, plasminogen activator 등이 함유되어 있다. 다종의 호르몬으로 gonadotropin A~B, lactogen, thyrotropin, oxytosin-like substance, 다종의 steroid 호르몬과 estrone, estradiol, estriol, progesterone, 11-dehydrocorticosterone, cortisone, 17-hydroxycorticosterone, tetrahydrocorticoster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erythropoietin, phospholipid, β-endorphin, 아미노산 다당체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滋補强壯 작용으로 乳腺 분비를 촉진하고 여성생식기와 난소의 발육을 촉진한다.
· 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CG) 등 호르몬 유사작용, 자궁수축, 조혈기능 촉진, 피부세포 증식·대사 촉진 작용을 한다.
· 면역증강, 항알러지, 항암, 항피로, 기억·학습능력 향상,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다.
· 진통, 혈액응고 억제 작용을 한다.

 

【성미】 性溫 味甘鹹     【귀경】 肺 肝 腎

【효능】 補氣 養血 益精

【주치】 虛損羸瘦 勞熱骨蒸 虛勞咳喘 咯血 盜汗 遺精 陽痿 婦女血氣不足 不孕 或 乳少

【해설】 甘味에 鹹味를 겸하고, 性이 溫하되 燥하지 않아 肺 肝 腎三經에 들어가 氣血을 크게 補(大補氣血的藥物)하고 腎精을 補益

1. 補氣 養血 益精

 ① 久病으로 인한 身體虛弱이나 혹은 體質虛弱과 氣血不足 및 腎虛精虧 등에 單味(또는 複方)으로 응용

 補肺止咳 – 肺腎虛喘 ——————————— 肺  ┐
 補血益氣 – 婦女氣血不足所致的不育體弱乳少– 肝 ┼  河車大棗丸
 補腎益精 – 虛弱所致的陽痿遺精潮熱盜汗——– 腎 ┘

2. 强壯藥으로서 인체의 저항력(抗病能)을 증강케 하여 폐결핵(抗結核), 신경쇠약, 빈혈, 기관지천식 등 만성병에 응용

3. 효력이 완만하므로 장기간 복용해야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음

【포제】

1具를 여러번 分服하거나 분말하여 呑服하고 丸散片劑 등으로 이용 → ‘인태반 유래 완제의약품’의 형태로만 이용 가능

【용량】

2~12g

【금기】

滋養補益 작용이 있기 때문에 實邪의 경우와 陰虛火旺者는 忌

【참고】

라이넥주 (일명 ‘태반주사’)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의약품상세정보-라이넥주(자하거가수분해물)>

· 주요성분 및 함량 : human placenta hydrolysate 1㎖/㎖

· 효능 및 효과 : 만성간질환에 있어서의 간기능의 개선

· 용법용량 : 성인 : 자하거가수분해물로서 보통 1일 1회, 1회 2 mL 피하 또는 근육주사

· 이상반응

1) 쇽 : 사람조직유래의 단백 아미노산제제이므로 쇽증상의 발현 가능성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와 함께 경과를 충분히 관찰하십시오.

2) 과민반응: 때때로 오한, 발열, 발진 등의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합니다.

3) 주사부위 : 때때로 동통, 발적, 경결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기타 : 때때로 여성형 유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합니다.

· 일반적 주의

1) 이 약을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질병의 치료에서의 이 약의 필요성과 함께, 이 약의 제조에 대해 감염증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책이 취해지지만, 인태반을 원료로 유래하는 감염증 전파의 위험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음을 환자에게 설명하고, 이해를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2) 이 약의 효능이나 효과는 ‘만성 간 질환의 간 기능 개선’임을 명심하고 적절하게 사용한다.

· 임상재평가 결과 :

1) 국내에서 ALT 수치가 정상상한치(40 U/L)의 1.5배 이상인 알코올성 간염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 194명(시험군 95명, 대조군 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임상시험에서 이 약을 최대 6주간 투여한 결과, 투여완료시점의 ALT수치가 투여 전 수치 대비 20 %이상 개선된 피험자의 비율을 평가지표로 한 유효성이 대조군과 비교해 열등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2) 본 임상시험의 안전성 평가 결과, 이상반응의 발현율은 이 약과의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20.00 %(19명/95명, 21건)이었으며, 이 중 이 약과 관련이 있는 이상약물반응 발현율은 발진 1명(1건)으로 1.05 %(1명/95명, 1건)이었다.

【배합례】

① 白茯苓 人蔘 山藥 등과 배합하여 勞瘵虛損과 骨蒸 등에 응용
하거환 河車丸《婦人良方》 治勞瘵虛損 骨蒸
: 紫河車一具(洗淨 杵爛) 白茯苓半兩 人參一兩 乾山藥二兩. 上爲末 面糊和入河車 加三味 丸梧子大. 每服三·五十丸 空心米飲下 嗽甚 五味子湯下

② 杏仁 百合 胡桃仁 등과 배합하여 老人의 久病으로 인한 喘息과 咳嗽 등에 응용
? 돈태반방 炖胎盤方

③ 黃柏 杜仲 牛膝 生地黃 天門冬 麥門冬 人蔘 등과 배합하여 婦人의 無子․月水不調․早産․難産 등에 응용
대조환 大造丸 《東醫寶鑒·雜病篇》卷四引《醫方集略》 滋陰補陽 養壽 六脈虛微 血氣衰弱. 陰虛遺泄.
: 紫河車1具 (泔浸 洗淨 盛竹器 長流水中浸1刻 以回生氣;盛小瓦盆於木甑或瓦甑內 蒸極熟如糊 取出 先傾自然汁別貯 將河車石臼內搗千下 同前汁和勻) 生乾地黃4兩 龜版1兩半 杜仲1兩半 天門冬1兩半 黃柏(鹽酒炒)1兩半 牛膝1兩2錢 麥門冬1兩2錢 當歸身1兩2錢 人參1兩 五味子5錢. 上爲末 河車汁和米糊爛搗爲丸 每服100丸 以溫酒或鹽湯任下 1日2次.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608-9.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279-81.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185-6.


 




각주

  1. 중국도 ChP 2015부터 삭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