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조(大棗) Ziziphi Fructu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大棗《神農本草經》
【생약명】 Ziziphi Fructus
【이명】 乾棗 美棗 良棗《別錄》 紅棗《梅師方》 膠棗《日用本草》
【약성가】 大棗味甘和百藥 益氣養脾滿休嚼
【기원】
갈매나무과(Rhamnaceae ; 鼠李科)에 속한 落葉灌木인 대추나무(大棗) Zizi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의 성숙한 果實로, 가을에 채취하여 曬乾한다.
⊂ KP, ChP, THP, JP, DPRKP
속씨식물군 (被子植物 ; Angiosperms)
진정쌍떡잎식물 군(眞雙子叶植物 ; eudicots)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 (核心眞雙子叶植物 ; core eudicots)
장미군 (蔷薇類植物 ; rosids)
콩군 (豆類植物 ; fabids) – 진정장미군 I (眞蔷薇一類植物 ; eurosids I)
장미목 (薔薇目; Rosales)
갈매나무과 (鼠李科; Rhamnaceae)
[ 대추나무(大棗) Ziziphus jujuba var. inermis (Bunge) Rehder ]
【성상】
[ 大棗 Ziziphi Fructus ]
타원형 또는 원형으로 길이 2~3.5㎝, 지름 1.0~2.5㎝이다. 표면은 적갈색 또는 어두운 적색으로 쭈글쭈글하고 잔주름이 있고 약간 광택이 있다. 양쪽 끝은 약간 오목하게 들어갔으며 한쪽 끝에는 花柱, 다른 쪽 끝에는 果柄의 자국이 있다. 外果皮는 얇고 가죽과 같이 질기며 中果皮는 두껍고 어두운 회갈색이며 갯솜같이 부드럽고 점착성이 있다. 內果皮는 단단한 방추형으로 한쪽 끝은 뾰족하고 그 속은 2室로 분리되어 납작한 卵圓形의 종자가 들어 있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달다. 향기롭고 맛이 달며 점성이 강한 것을 上品으로 한다.
【산지】
한국과 중국 각지에서 재식
【성분】
glycoside 성분으로 zizybeoside I~II, zizyvoside I~II, roseoside 등이 함유되어 있고, alkaloid 성분으로 zizyphusin, daechu-alkaloid A, nuciferine, coclaur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사염화탄소에 의한 간 손상에 혈청단백질 등을 증가시켜 보호작용
· 强壯, 체중증가, 근지구력 향상, 세포면역 촉진 작용
· 중추신경 억제(최면·진정), 항산화, 항종양 작용
【성미】 性溫(平) 味甘 【歸經】 脾胃(心肝)經
【효능】 補脾和胃 益氣生津 調營衛 解藥毒 (補脾胃 益氣血 安心神 調營衛 和藥性)
【주치】 胃虛食少 脾弱便溏 氣血津液不足 營衛不和 心悸怔忡 婦人臟躁
【해설】
1. 補脾和胃 益氣生津 調營衛
① 脾胃虛弱으로 倦怠乏力하며 食少便溏한 경우에 응용
② 脾胃虛弱 營血不足으로 인한 臟躁證에 응용
③ 生薑이 大棗를 得하면 그 자극성이 완화되고, 大棗가 生薑을 得하면 氣壅을 방지하여 脹滿되는 것을 방지
→ 大棗의 甘味와 生薑의 辛味가 적절히 配合되어 營衛를 조화하여 줌1
2. 解藥毒 ≒ 緩和藥性
① 補益藥 등과 配合되어 汗多로 인하여 傷營되는 것을 방지
② 攻下藥 등과 같이 配合되어 해당약물의 峻烈한 성질을 완화
③ 棗肉和丸과 같이 不傷脾胃를 목적으로 응용(capsule)
【포제】
蒸熟하여 核을 제거하고 사용
【용량】
2~12개 혹은 10~30g
【금기】2
소화 장애를 유발하므로 濕盛으로 인한 脹滿者, 食積, 蟲積, 齲齒 作痛 및 痰熱咳嗽者는 服用을 忌한다
【배합례】
① 人蔘 白朮 枳實 등과 配合하여 脾胃虛弱으로 倦怠乏力하며 食少便溏한 경우를 치료한다
삼출건비탕 蔘朮健脾湯《證治準繩·類方》 發黃日久 脾胃虛弱 飲食少思
: 人參1錢5分 白朮1錢5分 白茯苓1錢 陳皮1錢 白芍藥煨1錢 當歸酒洗1錢 炙甘草7分. 水2鍾 加大棗2個 煎8分 食前服. 色疸 加黃耆 炒白扁豆各1錢.
② 계지탕 桂枝湯《傷寒論(康平本)》 大陽中風 陽浮而陰弱〘陽浮者熱自發 陰弱者汗自出〙 嗇嗇惡寒 淅淅惡風 翕翕發熱 鼻鳴乾嘔者 桂枝湯主之 (外感風寒 營衛不和證. 頭痛發熱 汗出惡風 鼻鳴乾嘔 苔白不渴 脈浮緩或浮弱者3)
: 桂枝去皮,三兩 芍藥三兩 甘草炙二兩 生姜切,三兩 大棗擘,十二枚. 右五味 㕮咀三味 以水七升 微火煮取三升 去滓 適寒溫 服一升 服已須臾 歠熱稀粥一升餘 以助藥力. 溫覆令一時許 遍身漐漐微似有汗者益佳 不可令如水流離 病必不除. 若一服汗出病差 停後服 不必盡劑 若不汗 更服依前法. 又不汗 後服小促其間 半日許令三服盡. 若病重者 一日一夜服 周時觀之. 服一劑盡 病證猶在者 更作服 若汗不出 乃服至二三劑 禁生冷粘滑 肉麵五辛 酒酪臭惡等物.
③ 小麥 甘草 등과 配合하여 婦人血虛臟躁로 精神不安한 경우에 滋養津液하여 養血安神
감초소맥대조탕 甘草小麥大棗湯 = 감맥대조탕 甘麥大棗湯 《金匱》 臟躁. 精神恍惚 常悲傷欲哭 不能自主 睡眠不安 甚則言行失常 呵欠頻作 舌紅少苔
: 甘草3兩 小麥1升 大棗10枚. 以水6升 煮取3升 分3服溫服.
④ 瀉水逐飮하는 十棗湯(大戟 甘遂 莞花)이나 控涎丹의 경우에 不傷脾胃하고자 棗肉으로 丸을 만들어 복용시킴
십조탕 十棗湯《傷寒論》 水飲內停. 咳唾胸脅引痛 心下痞硬 乾嘔短氣 頭痛目眩 或胸背掣痛不得息 脈沉弦.
: 芫花熬 甘遂 大戟 等分. 以水1升半 先煮大棗肥者10個 取8合 去滓 納藥末 強人服1錢匕 贏人服半錢 溫服之. 若下少病不除者 明日更服 加半錢. 得快下利後 糜粥自養.
⑤ 逐水祛痰하는 葶藶子와 함께 응용되어 葶藶子의 峻烈한 性을 없애주며 瀉肺平喘하나 不傷肺氣토록 함.
정력대조사폐탕 葶藶大棗瀉肺湯《金匱要略》 肺癰 喘不得臥, 肺癰 胸滿脹 一身面目浮腫 鼻塞 清涕出 不聞香臭酸辛 咳逆上氣 喘鳴迫塞, 支飲胸滿者.
: 葶藶熬令黃色搗丸如彈子大 大棗12枚. 先以水3升 煮棗取2升 去棗 納葶藶煮取1升 頓服.
【참고】
《本草綱目》 에서 ‘棗’의 부방
• 調和胃氣 : 以乾棗去核 緩火逼燥為末. 量多少入少生薑末 白湯點服. 調和胃氣甚良. 《衍義》
• 反胃吐食 : 大棗一枚去核 用斑蝥一枚去頭翅 入在內 煨熟去蝥 空心食之 白湯下良.
• 小腸氣痛 : 大棗一枚去核 用斑蝥一枚去頭足翅 入棗內 紙包煨熟 去蝥食棗 以桂心蓽澄茄湯下. 《直指》
• 傷寒熱病後 口乾咽痛 喜唾 : 大棗二十枚 烏梅十枚 搗入蜜丸. 含如杏核大 咽汁甚效. 《千金方》
• 婦人臟燥 悲傷欲哭 象若神靈 數欠者 大棗湯主之 : 大棗十枚 小麥一升 甘草二兩 每服一兩 水煎服之. 亦補脾氣. 《金匱》
• 妊娠腹痛 : 大紅棗十四枚 燒焦為末 以小便服之. 《梅師》
• 大便燥塞 : 大棗一枚去核 入輕粉半錢縛定 煨熟食之 仍以棗湯送下. 《直指》
• 咒棗治瘧 : 執棗一枚 咒曰 吾有棗一枚 一心歸大道. 優他或優降 或劈火燒之. 念七遍 吹棗上 與病人食之 即愈. 《𡵺嶁神書》
• 煩悶不眠 : 大棗十四枚 蔥白七莖 水三升 煮一升 頓服. 《千金》
• 上氣咳嗽 治傷中筋脈急 上氣咳嗽者 : 用棗二十枚去核 以酥四兩微火煎 入棗肉中泣盡酥 取收之.常含一枚 微微咽之取瘥. 《聖惠方》
• 肺疽吐血 因啖辛辣 熱物致傷者 : 用紅棗(連核燒存性) 百藥煎(煅過) 等分為末. 每服二錢 米飲下. 《三因》
• 耳聾鼻塞 不聞音聲香臭者 : 取大棗十五枚(去皮核) 蓖麻子三百枚(去皮) 和搗. 綿裹塞耳鼻 日一度. 三十餘日 聞聲及香臭也. 先治耳 後治鼻 不可並塞. 孟詵《食療》
• 久服香身 : 用大棗肉和桂心白瓜仁松樹皮為丸 久服之. 《食療本草》
• 走馬牙疳 : 新棗肉一枚 同黃柏燒焦為末. 油和敷之. 若加砒少許更妙. 王氏《博濟》
• 諸瘡久壞不愈者. 棗膏三升 煎水頻洗 取愈. 《千金》
• 痔瘡疼痛 : 大肥棗一枚剝去皮 取水銀掌中 以唾研令極熟 敷棗瓤上 納入下部良. 《外臺》
• 下部蟲癢 : 蒸大棗取膏 以水銀和捻 長三寸 以綿裹 夜納下部中 明日蟲皆出也. 《肘後》
• 卒急心疼 : 《海上方》訣云 一個烏梅二個棗 七枚杏仁一處搗. 男酒女醋送下之 不害心疼直到老.
• 食椒閉氣 : 京棗食之即解也. 《百一選方》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79-80.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224-6.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168-9.
각주
- 《傷寒明理論》 生薑味辛溫 大棗味甘溫 二物為使者. 內經所謂風淫於內 以甘緩之 以辛散之. 是以薑棗為使者也. 薑棗味辛甘 固能發散 而此又不特專於發散之用 以脾主為胃行其津液. 薑棗之用 專行脾之津液而和榮衛者也. 麻黃湯所以不用薑棗者 謂專於發汗 則不待行化 而津液得通矣.
《傷寒明理論》 傷寒論金匱要略兩書 用棗者 五十八方. 其不與薑同用者 十一方而已. 大率薑與棗 聯為和營衛之主劑. 薑以主衛 棗以主營. 故四十七方中 其受桂枝湯節制者 二十四.
- 《醫學入門》心下痞 中滿嘔吐者忌之. 多食動風 脾反受病.
《本草經疏》小兒疳病不宜食 患痰熱者不宜食.
《本草彙言》胃痛氣閉者 蛔結腹痛及一切諸蟲爲病者 鹹忌之.
- 방제학 공통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