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甘草《神農本草經》

【생약명】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① 滿洲甘草 : Glycyrrhizae Uralensis Radix et Rhizoma

② 光果甘草 : Glycyrrhizae Glabrae Radix et Rhizoma

③ 脹果甘草 : Glycyrrhizae Inflatae Radix et Rhizoma

【이명】 美草 蜜甘《本經》 蜜草《別錄》 國老《本草經集註》 甛草《中國藥用植物誌》

【약성가】甘草甘溫和諸藥  生能瀉火灸溫作

【기원】

콩과(Fabaceae ; Leguminosae ; 豆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감초(滿洲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 DC. 또는  光果甘草 G. glabra L. , 脹果甘草 G. inflata Batalin 根 및 根莖으로,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鬚根을 제거하고 曬乾한다.

⊂ KP, ChP, THP, JP, DPRKP 1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장미군(rosids ; 蔷薇類植物)
       진정장미군 I(Eurosids I ; 眞蔷薇一類植物) -콩군(Fabids ; 豆類植物)
         콩목 (Fabales ; 豆目)
           콩과 (Fabaceae ; Leguminosae ; 豆科)

 

만주감초 감초(滿洲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 DC.

[ 감초(滿洲甘草)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 DC. ]  

 

광과감초 光果甘草 Glycyrrhiza glabra L.

[ 光果甘草 Glycyrrhiza glabra L. ]

 

창과감초 脹果甘草 Glycyrrhiza inflata Batalin

[ 脹果甘草 Glycyrrhiza inflata Batalin ]

 

【성상】

만주감초 滿洲甘草 Glycyrrhizae Uralensis Radix et Rhizoma

[ 滿洲甘草 Glycyrrhizae Uralensis Radix et Rhizoma ]

① 滿洲甘草 : 뿌리는 원주형으로 길이는 25~100㎝, 지름은 0.5~3.5㎝이다. 外皮는 거칠고 단단한데 모두 다르다. 표면은 홍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뚜렷한 세로주름과 皮孔 및 드물게는 細根의 흔적이 있다. 質은 견실하고 단면은 섬유성을 나타내며 황백색이고 粉性이다. 皮部와 木部의 경계가 뚜렷하고 방사상의 구조를 나타내며 때로는 방사상으로 찢어진 곳이 있다.

광과감초 光果甘草  Glycyrrhizae Glabrae Radix et Rhizoma

[ 光果甘草  Glycyrrhizae Glabrae Radix et Rhizoma ]

 

② 光果甘草 : 뿌리와 뿌리줄기의 質은 비교적 견실하고 분지하였으며, 外皮는 거칠지 않고 회갈색이며 皮孔이 뚜렷하지 않다.

창과감초 脹果甘草 Glycyrrhizae Inflatae Radix et Rhizoma

[ 脹果甘草 Glycyrrhizae Inflatae Radix et Rhizoma ]

③ 脹果甘草 : 뿌리와 뿌리줄기는 木質로 粗壯하고 분지되었으며, 外皮는 거칠고 회갈색이다. 質은 堅硬하며 木質은 섬유가 많고 粉性은 적다.

【산지】

중국의 內蒙古와 甘肅省. 한국은 주로 수입하며 최근 재배.

【성분】

∙ 滿洲甘草(만주감초)의 根과 根莖에는 주로 triterpenoid saponin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 주요 성분으로 glycyrrhizin, uralsaponin A~B, licoricesaponin(A3, B2, C2, D3, E2, F3, G2 ,H2, J2, K2), 6″-O-acetylliquiri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Flavonoid 성분으로는 liquiritigenin, liquiritin, isoliquiritigenin, isoliquiritin, neoliquirit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Coumarin 성분으로는 glycycoumarin, glycyrol, isoglycyrol, glycyrin 등이 있다. 그 밖에 alkaloids, 다당류, saponin 및 sapogenol, licobenzofuran), β-sitosterol, n-tricosane, n-hexacosa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 光果甘草(스페인감초, 유럽감초, 민감초, 곧은감초)의 根과 根莖에는 triterpenoid saponin 성분으로 glycyrrhetinic acid, 18β-glycyrrhetic acid, 18-hydroxyglycyrrhet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Lactam 성분으로는 glabrolide, isoglabrolide, deoxyglabrol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Flavonoid 성분으로는 liquiritin, liquiritigenin, isoliquiritin, liquiritige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liqcoumarin, pectin, soyasaponins 및 환원당, 다당(9.7%) 등이 함유되어 있다.

∙ 脹果甘草의 根에는 triterpenoid 성분으로 glycyrrhizin, apioglycyrrhizin, araboglycyrrhizin, licorice-saponin(A3, G2, H2), glycyrrhizic acid, 18β-glycyrrhetic 등이 있다. Flavonoid 성분에는 liquiritigenin, liquiritin, isoliquiritigenin, isoliquiritin, ono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Diaryl-propanedione 성분에는 5′-prenyllicodione, glycyrdione A~C, glyinflanin A~K 등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glycyrrhizin에는 세균독소(디프테리아, 파상풍 등)를 비롯한 각종 중독을 해독(百藥解毒, 百藥調和의 의미).
∙ 항아나필락시스, 부정맥 억제(flavone류 성분), 심근경색 억제(glycyrrhetinic acid), 혈압상승(glycyrrhizin), 혈소판응집 억제(glycyrrhizin), 혈중지질 저감 작용.
∙ 실험상 위장 평활근의 경련완화(예: 芍藥甘草湯), 설사 억제, 위장관 궤양 억제, 담즙분비 촉진, 간손상 억제, 간염 예방, 지방간·간섬유화 억제(glycyrrhizin) 작용.
∙ glycyrrhizic acid와 glycyrrhetinic acid는 신장의 코르티코이드 분해효소(11β-hydroxysteroid dehydrogenase)를 억제하여 부신피질호르몬 농도를 증가시킴.
∙ 항알러지, 소염, 진해·거담, 항종양, 돌연변이 억제, 허혈성 뇌손상 억제(총 flavone, glycyrrhizic acid) 작용을 한다.
∙ 馬錢子와 혼합전탕했을 때 馬錢子의 독성을 감소시키며, 甘草의 flavone류 성분과 isoliquiritigenin은 附子의 중독증상을 경감시킴.

 

【성미】 性平(蜜炙후에는 微溫) 味甘  【귀경】 心肺脾胃經 또는 12經

【효능】 和中緩急 潤肺 調和諸藥 / 解毒

【주치】 ① 炙用: 脾胃虛弱 食少 腹痛便溏 勞倦發熱 肺痿咳嗽 心悸 驚癎

             ② 生用: 咽喉腫痛 消化性潰瘍 癰疽瘡瘍 解藥毒 食物中毒

【해설】

1. (補脾益氣) 和中緩急 潤肺止咳

① 補氣·健脾藥의 緩急을 조절할 목적으로 응용

② 心悸 自汗 脈結代 등에 調脈의 목적으로 응용

③ 脘腹疼痛 또는 四肢攣急作痛 등에 芍藥과 배합하여 緩急止痛 목적으로 응용

④ 肺虛로 인한 喘咳에 응용

2. 解毒

① 消化性潰瘍 또는 瘡瘍腫毒 등에 응용 (점막의 궤양)

② 感冒 등으로 인한 咽喉腫痛에 응용

③ 黑豆와 배합하여 諸毒을 해독하는데 응용

3. 調和諸藥 : 諸藥을 조화하여 偏勝된 것을 완화시키는 緩和劑

① 麻黃湯에서 麻黃을, 四逆湯에서 乾薑과 附子를, 承氣湯에서 大黃과 芒硝 등의 峻烈한 작용을 완화시킨다

【포제】

① 生用 : 淸熱을 목적으로 할 때(예: 咽喉腫痛 消化性潰瘍 癰疽瘡瘍 解藥毒)

② 炒用 또는 蜜炙用(甘草 500당 煉蜜 125g) : 溫中을 목적으로 할 때(예: 脾胃氣弱 食少 腹痛便溏)

【甘草와 Glycyrrhizin】

∙ Glycyrrhizin의 작용

– 독성은 없음. 단, 과량을 복용할 경우 체액저류로 인한 부종과 같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
– 요힘빈, 코카인, 모르핀, 코데인, 아트로핀 , 루미날 등에 의한 중독을 해독
– 파상풍 독소, 디프테리아 독소, 사독 등을 해독
– 아세틸콜린, 히드타민 등 알러지를 일으키는 물질들과 길항
– 부신피질호르몬인 데스옥시코티코스테론과 유사한 효과
– 소화성 위궤양 치료 효과
– 기타 진경작용, 항염증 작용, 항궤양 작용

∙ 임상에서 심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스테로이드는 대부분 당질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 ex. 뼈주사

∙  감초의 밝혀진 126여개의 성분 중  corticoid는 콩과에 일반적으로 포함된 stigmasterol, sitosterol, ß-sitosterol 등으로 식물성스테로이드(phytosterol)로서 이들은 모두 무기질코르티코이드(mineralocorticoid)

∙  감초가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이 있다 ≒ Glycyrrhizin이 스테로이드를 분해하는 효소 11ß-hydroxylase의 작용을 방해 → 혈중 스테로이드 농도 ↑

∙  Glycyrrhizin이 원인이 되려면 1일 40g이상으로 수 개월에 걸쳐 복용하여야 함. 그러나 한방 처방에서 1일 분량은 2~12g.

∙  감초를 포제하는 경우 : glycyrrhizin → glucuronic acid + 18ß-glycyrrhetic acid

    → 그러므로 장기적으로 또는 고용량(大劑量 15~30g)을 처방할 경우 포제하여 사용

【용량】

2~12g, 大劑量은 15~30g

【금기】

① 中滿이나 浮腫者(濕盛으로 胸腹脹滿者)는 복용을 忌하는데, 甘草는 中滿을 일으켜 소화 장애를 일으킨다. 아울러 항이뇨작용을 가지고 있으므로 浮腫者는 忌한다.

② 甘遂 大戟 莞花 海藻와의 配合은 瀉下작용을 억제하기 때문에 配合을 禁忌한다(相反). 그러나 海藻는 甘草量을 적게 配合하여 사용한 예가 있다(예:《證治準繩》의 昆布散, 《醫宗金鑑》의 通氣散堅丸, 海藻玉壺湯)

③ 장기간 과량 사용(40g/일, 수 개월)할 때 Glycyrrhizin(glycyrrhetic acid)이 수분과 Na배설을 억제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 문헌에는 오래 사용 시 고혈압이 유발된다 하였다. 그러므로 장복할 경우 초하여 사용토록 한다.

【배합례】

① 人蔘 茯苓 白朮과 같은 健脾藥과 配合하여 補脾氣를 목적으로 응용
사군자탕 四君子湯 《太平惠民和劑局方》 治榮衛氣虛 臟腑怯弱 心腹脹滿 全不思食 腸鳴泄瀉 嘔噦吐逆 大宜服之
: 人參去蘆 甘草 茯苓去皮 白朮 各等分. 上爲細末 每服二錢 水一盞 煎至七分 通口服 不拘時 入鹽少許 白湯點亦得, 常服溫和脾胃 進益飲食 辟寒邪瘴霧氣

② 阿膠 生地黃 麥門冬 麻仁 人蔘 桂枝 등과 配合하여 血虛로 인한 心悸 自汗 脈結代 등에 補心氣 振心陽을 목적으로 응용
자감초탕 炙甘草湯 = 복맥탕 復脈湯《傷寒論(康平本)》 傷寒解而後 脈結代 心動悸
: 甘草炙, 四兩 生姜切,三兩 人參二兩 生地黃一斤 桂枝三兩 阿膠二兩 麥門冬去心,半升 麻仁半升 大棗擘,三十枚. 右九味. 以清酒七升. 水八升. 先煮八味. 取三升. 去滓. 內膠烊消盡. 溫服一升. 日三服. (一名復脈湯)

cf. 가감복맥탕 加減復脈湯 《溫病條辨》 風溫‧溫熱‧溫疫‧溫毒‧冬溫 邪在陽明久羈 或已下 或未下 身熱面赤 口乾舌燥 甚則齒黑唇裂 脈沉實者 仍可下之, 脈虛大 手足心熱甚於手足背者 加減復脈湯主之 … 溫病耳聾 病系少陰 與柴胡湯者必死 六‧七日以後 宜復脈輩復其精 … 勞倦內傷 復感溫病 六‧七日以外不解者 宜復脈法 … 溫病已汗而不得汗 已下而熱不退 六‧七日以外 脈尚躁盛者 重與復脈湯 … 溫病誤用升散 脈結代 甚則脈兩至者 重與復脈 雖有他證 後治之 … 汗下後 口燥咽乾 神倦欲眠 舌赤苔老 與復脈湯 … 熱邪深入 或在少陰 或在厥陰 均宜復脈.
: 炙甘草六錢 乾地黃六錢(按地黃三種用法 : 生地者 鮮地黃未曬乾者也 可入藥煮用 可取汁用 其性甘涼 上中焦用以退熱存津, 乾地黃者 乃生地曬乾 已為丙火煉過 去其寒涼之性 本草稱其甘平, 熟地制以酒與砂仁 九蒸九曬而成 是又以丙火‧丁火合煉之也 故其性甘溫. 奈何今人悉以乾地黃為生地 北人並不知世有生地 僉謂乾地黃為生地 而曰寒涼 指鹿為馬 不可不辨) 生白芍六錢 麥冬不去心,五錢 阿膠三錢 麻仁三錢 (按柯韻伯謂 : 舊傳麻仁者誤 當系棗仁. 彼從心悸動三字中看出傳寫之誤 不為無見 今治溫熱 有取於麻仁甘益氣 潤去燥 故仍從麻仁). 水八杯 煮取八分三杯 分三次服. 劇者加甘草至一兩 地黃‧白芍八錢 麥冬七錢 日三夜一服.

cf. 일갑복맥탕 一甲復脈湯《溫病條辨》 下後大便溏甚 周十二時三 四行 脈仍數者 未可與復脈湯 一甲煎主之, 服一二日 大便不溏者 可與一甲復脈湯 … 下焦病 但大便溏者 即與一甲復脈湯
: 即於加減復脈湯內 去麻仁 牡蠣一兩

cf. 이갑복맥탕 二甲復脈湯《溫病條辨》 熱邪深入下焦脈沉數 舌乾齒黑 手指但覺蠕動 急防痙厥 二甲復脈湯主之
: 即於加減復脈湯 生牡蠣五錢 生鱉甲八錢

cf. 삼갑복맥탕 三甲復脈湯 《溫病條辨》卷三. (滋陰淸熱 潛陽熄風) 溫病後期 熱爍肝腎之陰 虛風內動之手指蠕動 甚則心中痛 舌乾齒黑 唇裂 脈沉細數.
即於二甲復脈湯內 加生龜板一兩

二甲複脈 防痙厥之漸 即痙厥已作 亦可以二甲複脈止厥. 茲又加龜版名之三甲者 以心中大動 甚則痛而然也. 心中動者 火以水爲體 肝風鴟張 立刻有吸盡西江之勢 腎水本虛 不能濟肝而後發痙 既痙而水難淬補 心之本體欲失 然大動也. 甚則痛者 陰維爲病主心痛 此證熱久傷陰 八脈麗於肝腎 肝腎虛而累及陰維 故心痛 非如寒氣客於心胸之痛可用溫通 故以鎭腎氣·補任脈·通陰維之龜版止心痛 合入肝搜邪之二甲 相濟成功也.

③ 감맥대조탕 甘麥大棗湯 = 감초소맥대조탕 甘草小麥大棗湯 《金匱》 臟躁. 精神恍惚 常悲傷欲哭 不能自主 睡眠不安 甚則言行失常 呵欠頻作 舌紅少苔
: 甘草3兩 小麥1升 大棗10枚. 以水6升 煮取3升 分3服溫服.

④ 芍藥과 配合하여 腹中疼痛에 응용
작약감초탕 芍藥甘草湯《傷寒論》 溫養脾土而生陰血, 酸甘化陰 緩急止痛. 陰血不足 血行不暢 腿腳攣急或腹中疼痛, 傷寒脈浮 自汗出 小便數 心煩微惡寒 腳攣急 足溫者, 小腸腑發咳 咳而失氣. 四時傷寒腹痛, 小兒熱腹痛 小便不通, 痘疹肚痛, 營血受傷 熱不止, 小兒夜啼不止 腹中攣急甚者, 婦人傷寒 汗解表除 熱入血室 經水過多 無實滿者, 及雜病木克脾土 陰陽血氣不和而腹痛, 產後腹痛
 : 芍藥4兩 甘草炙4兩. 以水3升 煮取1升5合 去滓 分2次溫服. (使用本方宜辨虛實 虛熱者可用 虛寒者不宜用)

⑤ 麻黃 杏仁을 配合하여 咳嗽氣喘에 응용
삼유탕 三拗湯《太平惠民和劑局方》卷二(續添諸局經驗秘方) 發汗解表 止咳平喘. 感冒風邪 鼻塞聲重 咳嗽多痰 胸滿氣短 痰稠喘急. 感冒風邪 鼻塞聲重 語音不出, 或傷風傷冷 頭痛目眩 四肢拘倦 咳嗽多痰 胸滿氣短, 寒燠不常 人多暴嗽 咽痛聲嘎鼻塞 痰稠喘急. 肺感風寒 喘急不已
: 甘草不炙 麻黃不去根節 杏仁不去皮尖 各等分. 上爲粗散 每服5錢 水1盞半 薑錢5片 同煎至1盞 去滓 通口服. 以衣被蓋覆睡 取微汗爲度.

⑥ 黑豆와 配合하여 일반적인 해독에 응용
감두탕 甘豆湯《千金》卷二十四 中烏頭 巴豆毒 .. 甘草解百藥毒 此實如湯沃雪 有同神妙. 有人中烏頭 巴豆毒 甘草入腹即定. 大豆汁解百藥毒 餘每試之 大懸絕不及甘草 又能加之 爲甘豆湯 其驗尤奇.
: 大豆汁 甘草.

cf. 감두탕 甘豆湯《普濟方》卷三六一引《湯氏寶書》小兒初生 下胎黃
: 黑豆1合 甘草1兩切. 用水1大碗煮. 臨熱入沙糖少許 同煎糖化 澄清 遇渴飲之. 加淡竹葉一握 能解五臟熱毒. 夏月產者 尤宜服之.

cf. 감두탕 甘豆湯《直指》卷十五 諸熱煩渴 大小便澀 及內蓄風熱入腎 腰痛 大小便不通 血淋 諸淋
: 黑大豆2合 甘草2錢 加生薑7片 井水煎汁服

⑦ 국로산 國老散《醫學心悟》 治懸癰 臟毒 神效
: 甘草七段 用急流水一碗 浸之 炙乾 又浸 又炙 以水盡為度 研細末 每日空心開水調下一錢. 忌煎炒煙酒炙爆辛辣發氣等物.

⑧ 은화감초탕 銀花甘草湯《醫學心悟》 治腫毒初起時 皆可立消 內服此藥 外敷遠志膏2 一切惡毒 無不消散. 但宜早服為妙 倘瘡已成膿 無從消散也 必須外潰.
: 金銀花二兩 甘草二錢. 水煎 清酒沖服. 若毒在下焦 加牛膝二錢.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77-8.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219-2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164-7.


 




각주

  1. JP와 DPRKP는 脹果甘草 Glycyrrhiza inflata를 기원으로 인정치 않음
  2. 원지고 遠志膏《醫學心悟》 凡一切癰疽腫毒 初起之時 隨用遠志肉二三兩 去心 清酒煮爛 搗為泥 敷患處 用油紙隔布扎定 越一宿 其毒立消 屢試屢驗 其效如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