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섬수 蟾酥 Bufonis Venenum

섬수(蟾酥) Bufonis Venenum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蟾酥《藥性論》

【생약명】 Bufonis Venenum

【이명】 蟾蝶眉脂《藥性論》 蟾蜍眉酥《日華子本草》 蛤蟆酥《山東中藥》 癩蛤螞漿

【기원】

두꺼비과(Bufonidae ; 蟾蜍科)에 속한 동물인 두꺼비(中華大蟾蜍) Bufo gargarizans Cantor, 18421 또는 黑眶蟾蜍 Bufo melanostictus Schneider, 17992의 독선의 분비물을 모은 것.  蟾酥를 여름과 가을에 잡아서 귀 뒤의 腺과 皮膚腺에서 분비되는 白色의 漿液을 가공하여 건조.

⊂ KP, ChP, JP, DPRKP

독성주의한약재

※ 독선 분비물과 내장을 제거한 섬서(蟾蜍)는 말미의 ‘【참고】’를 참조

척삭동물문 (Chordata)    Anura
  양서강 (Amphibia)
    개구리목 (Anura)
      신와아목 (Neobatrachia) 
        두꺼비과 (Bufonidae)

두꺼비 Bufo spp.

[ 두꺼비 Bufo spp. ]

【성상】

섬수 蟾酥 Bufonis Venenum

[ 蟾酥 Bufonis Venenum ]

扁圓形의 덩어리모양 혹은 片狀으로 黑褐色 또는 紅褐色 … 단면은 紅褐色으로 약간 투명함. 물을 접촉시키면 乳白色으로 융기되면서 고르게 작은 구멍이 발생함.

【산지】

中華大蟾蜍는 한국과 중국의 西北(靑海 甘肅 陜西), 西南(四川 貴州) 등에 분포하며, 黑眶蟾蜍는 중국의 華南(廣東 廣西 福建 臺灣), 西南(貴州 四川 雲南), 華中(江西 湖南), 華東(浙江) 등지에 분포

【성분】

강심성 steroid 성분인 bufalin, cinobufotalin이 주성분이고, 기타 resibufogenin, cin­obufagin, gamabufotalin, telocinobufagin, hellebrigenin arenobufagin, cinobufaginol, mari­nobufagin, resibufagin등의 bufogenin을 함유한다.

【작용】

· 강심작용이 있어 관상동맥을 확장시키는데, 이는 cinobutotoxin 심근흥분 작용이다.
· 항쇼크, 중추신경 흥분, 장관·자궁 평활근 수축 작용이 있다.
· 止血, 鎭咳 작용이 있다.
· 蟾蜍는 마취, 항암, 소염 작용 등이 있다.

 

【성미】 性溫 味甘辛 有毒3    【귀경】 心胃經

【효능】 解毒消腫 止痛 開竅辟穢 消積

【주치】 疔瘡 癰疽 發背 瘰癧 慢性骨髓炎 咽喉腫痛 小兒疳積 心衰 風蟲牙痛

【해설】 甘味緩急하고 辛味發散하며 有毒

1. 以毒攻毒 : 독으로 解毒하는 효능(강한 攻毒消腫) → 癰疽腫痛, 咽喉腫痛, 癌腫, 瘰癧, 齲齒腫痛을 등을 치료 : 外科에 常用하는 要藥

2. 緩急止痛(←甘味) : 각종 疼痛을 치료하는데 麻醉止痛의 작용

3. 開竅醒神, 辟穢(←辛溫走竄) : 暑濕穢惡로 인한 吐瀉腹痛과 神志昏迷의 證에 醒神回蘇의 效果

【포제】

蟾酥를 搗碎하고 소주에 담갔다가 뒤섞어 稠膏狀이 되면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사용(蟾酥 : 소주 = 1 : 2)

【용량】

복용할 때는 0.015~0.03g을 丸이나 散劑에 넣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사용할 때 가루를 내어 개어 바르거나 고약으로 만들어 다친 곳에 붙인다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금기】

이 약물은 辛散大毒하므로 久服은 안되며 孕婦는 禁用  외용약으로 쓸 때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

【배합례】

① 牛黃 麝香 氷片 雄黃 등을 配合하여 瘡癰腫毒과 咽喉腫痛에 응용
육신환 六神丸《雷允上誦芬堂方》 清熱解毒 消炎止痛. 咽喉腫痛或潰瘍 白喉 扁桃體炎 口瘡 癰疽 疔瘡. 孕婦慎用
: 珍珠粉 犀牛黃 麝香各4.5g 雄黃 蟾酥 冰片各3g 各研細末 用酒化蟾酥 與前藥末調勻為丸 如芥子大 百草霜為衣. 每服五至十丸 每日二至三次. 亦可外用.

② 투골단 透骨丹《景岳全書》 此潰膿藥 外科不可缺
: 蟾酥 硼砂 輕粉 巴豆各五錢 蝸牛二個 麝香一分. 上先將巴豆研如泥 次入蝸牛 麝香再研 後入各藥研極細 以小瓷瓶收藏. 每用少許以乳汁化開 先用鐵輕輕撥破毒頭 挑藥米粒許納於瘡口 外用清涼膏貼之.

③ 섬수환 蟾酥丸《外科正宗》 治疔瘡 發背 腦疽 乳癰 附骨臀腿等疽. 一切惡症歹瘡 不痛或麻木 或嘔吐 病重者必多昏憒. 此藥服之不起發者即發 不痛者即痛 痛甚者即止 昏憒者即蘇 嘔吐者即解 未成者即消 已成者即潰. 真有回生之功 乃惡症中至寶丹也.
: 蟾酥二錢,酒化 輕粉五分 枯礬 寒水石 銅綠 乳香 沒藥 膽礬 麝香各一錢 雄黃二錢 蝸牛二十一個 硃砂三錢. 以上各為末 稱准 於端午日午時 在淨室中先將蝸牛研爛 再同蟾酥和研稠黏 方入各藥共搗極勻 丸如綠豆大. 每服三丸 用蔥白五寸 患者自嚼爛 吐於男左女右手心 包藥在內 用無灰熱酒一茶鍾送下. 被蓋如人行五六里 出汗為效 甚者再進一服.

④ 雄黃 蒼朮 丁香 등을 配合하여 中暑昏厥과 嘔吐泄瀉, 腹中絞痛 등에 응용
사약섬수환 痧藥蟾酥丸《中醫內科臨床治療學》引《刮痧療法》 芳香逐穢. 治痧脹病, 心胸脹悶 腹脹 煩躁不安等.
: 蟾酥 硃砂各15g 雄黃 茅朮各30g 丁香 牙皂各9g 麝香3g. 先將蟾酥用燒酒溶化 再將各藥研成粉末 和入搗勻 製成如芝麻大的藥丸 辰砂為衣. 每服7粒 將藥丸放在舌尖上 用冷開水送下.

 


 

【참고】

섬서(蟾蜍) 《名醫別錄》 Bufo

 

∙ 이명 :

苦礱 乾蟾 蟾諸 去甫蟾 癩蝦蟆 石蚌 癩蛤蟆 癩格寶 癩巴子 癩蛤蚆 蚧蛤蟆 蚧巴子

∙ 약성가 :

蟾蜍氣凉殺疳癖 瘡毒可祛解瘟疫

· 기원 : 

두꺼비(中華大蟾蜍) Bufo gargarizans Cantor, 1842 또는 黑眶蟾蜍 Bufo melanostictus Schneider, 1799에서 독선의 분비물(蟾酥)을 채취하고 남은 몸체로 내장을 제거하여 말린 것4

⊂ KP, ChP, DPRKP

· 성상 :

섬서(蟾蜍) Bufo

전체가 오그라들고 주름지어 있고 네 다리는 고르지 않게 수축되어 있다  바깥면은 회녹색 ~ 녹갈색이고 내장을 제거한 것의 배속은 회황색이며 골격과 피막(皮膜)을 볼 수 있다  조금 비린내가 있고 맛은 약간 맵다  크고 몸체가 잘 건조되고 모양이 완전한 것이어야 한다 

· 산지: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하고 중국의 東北·華北·華東·華中及陝西·甘肅·青海·四川·貴州 등지에도 분포

· 성미 :

性涼(蟾酥에 비해서 涼) 味辛 有毒   

· 귀경 :

心肝脾肺經

· 효능 :

解毒散結 消積利水 殺蟲消疳

· 주치 : 

痢疽 疔瘡 發背 瘰癧 惡瘡 癥瘕癖積 膨脹 水腫 小兒疳積 破傷風 慢性咳喘

· 해설

1. 解毒散結 外拔內攻 : 癰疽諸瘡의 要藥 미처 化膿되지 않았을 때 外用

2. 淸熱解毒 利水消腫 止咳平喘 : 癰疽腫毒 疳積腹脹 咳嗽喘息 등에 內服 또는 外用

· 용량

: 外用에는 적당량을 가루 내어 도포하고, 內服 시에는 1 ~ 3g 정도로 사용

· 금기

: 表熱이 있거나 虛脫한 사람에게는 忌用

· 응용예

① 《本草蒙筌》治小兒疳瘦成癖幾危者
蟾蜍去頭皮臟腑 以桑葉包裹 外加厚紙再裹 火內煨熟 口啖二支 十餘日愈  若口混 咽梨汁解之 

② 《綱目》治大腸痔疾
蟾蜍一個 以磚砌四方 安於內 泥住 火殿存性 爲末 以豬廣腸一截 紮定兩頭 煮熟切碎 蘸蟾末食之 如此三·四次

③ 《僧深集方》治癬
乾蟾蜍燒灰 以豬脂和塗之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59-60.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185-7.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74-6.


 




각주

  1. = Bufo bufo gargarizans Stejneger, 1907
  2. = Duttaphrynus melanostictus (Schneider, 1799)
  3. LD50 = 60.71 ± 2.34 mg/kg
  4. 내장을 제거하지 않고 말린 몸체를 ‘乾蟾’, 내장을 제거한 것을 ‘蟾皮’라고 부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