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사향(麝香) Moschus

사향(麝香) Moschu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麝香《神農本草經》 

【생약명】 Moschus

【이명】 當門子 遺香 臍香 心結香《雷公炮炙論》 麝臍香《本草綱目》 四味臭《東醫寶鑑》 臭子《中藥志》 Musk

【약성가】 麝香辛煖善通關 伏鬼安驚毒可刪

【기원】

사향노루과(Moschidae ; 麝科)에 속한 동물인 사향노루(原麝 ; Siberian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Linnaeus, 1758 또는 산사향노루(Alpine Musk Deer) M. chrysogaster Hodgson, 1839, 난쟁이사향노루(林麝 ; Forest Musk Deer ; Chinese forest musk deer) M. berezovskii Flerov, 1929의 성숙한 수컷의 사향선 분비물로써 그 내용물을 꺼내어 말린 것을 가루사향이라 하고, 주머니 모양의 사낭(麝囊)을 그대로 잘라내어 말린 것을 주머니사향이라고 한다.

⊂ KHP, ChP, DPRKP

※ 공정서에 수재된 위 3종은 CITES Appendix II 에 등재되어 있어 CITES 인증을 받은 약품만 유통할 수 있음. 현재(2023년) 국내에서는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에서 인증 및 수입을 담당하고 있음. 

※ 멸종위기야생동식물Ⅰ급1

동물계(Animalia;動物界)
  척삭동물문(Chordata;脊索動物門)
    포유강(Mammalia;哺乳綱)
      소목(Artiodactyla;偶蹄目)
        사향노루과(Moschidae;麝科)

사향노루(原麝 ; Siberian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Linnaeus, 1758

[ 사향노루(原麝 ; Siberian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Linnaeus, 1758 ]

【유통】

• 모각사향(毛殼麝香) / 정사향(整麝香)  : ‘주머니사향’이라고도 함. 겨울~봄에 香囊을 떼어 陰乾한 것

• 포사향(布麝香) : ‘보사향’이라고도 함. 과거에는 러시아산을 말하였으나 지금은 ‘모각사향’ 또는 ‘정사향’과 거의 동일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음.

• 사향인(麝香仁) : ‘가루사향’이라고도 함. 향낭(香囊)을 쪼개어 껍질을 제거하고 얻은 안쪽의 분비물.

• 토사향(土麝香) : 과거 한반도 북부에 있던 사향노루속 동물에서 채취한 것으로 현재는 유통되지 않음.

• 당사향(唐麝香) : 인도, 러시아, 네팔, 중국 등에서 수입한 사향

【성상】 

사향(麝香) Moschus

[ 麝香 Moschus ]

① 毛殼麝香(整麝香):… 中層의 皮膜은 반투명한 紫褐色 또는 灰褐色 … 內層의 皮膜(銀皮)이 있으며 …

② 麝香仁: …  개열하면 顆粒狀이 있다고 하여 當門子라 하며 …

【산지】

사향노루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로키즈스탄, 중국 동북부, 몽골 등 아시아 동부에만 분포하나 멸종위기에 처해 있으며, 그 외의 종은 네팔, 부탄, 중국 서북부, 인도 등에 분포.

【성분】

사향노루의 麝香 : cyclic ketone 성분으로 muscone((R)-3-methylcyclopentadecanone), muscopyridine, hydroxymuscopyridine A~B 등이 있다. androstane 성분으로는 5α-androstane-3,17-dione, 5β-androstane-3,17-dione, 3α-hydroxy-5α-androstan-17-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지방산은 cholesterol, glycerin 및 기타 fatty alcohol과 결합하여 에스테르와 wax를 형성하는데, 이미 확인된 것으로는 1,3-dipalmitolein, dioleoylglyceryl palmitate, glycerol trioleate, palmitic acid methyl ester 등이 있다.

난쟁이사향노루의 麝香 : muscone, muscopyridine, androgen, cholesterol과 cholesteryl ester 등을 함유하며, 馬麝(烏麝)에는 cholesterol과 cholesteryl ester를 함유한다.

【작용】

· 중추흥분 작용이 있는데, 주로 호흡중추와 혈관운동중추를 흥분시킨다. 또한 억제작용을 보이기도 한다.
· 부신 자극을 통한 소염, 강심, 혈압강하, 자궁흥분, 催生下胎, 항종양, 위궤양 억제 작용을 한다.
· Androstane은 남성호르몬 유사 작용을 한다.
· 시험관내에서 항균작용을 보인다.

 

【성미】 性溫 味辛         【귀경】 心脾經

【효능】 開竅醒神 活血祛瘀 消腫散結 催産下胎

【주치】 熱病神昏 中風痰厥 氣鬱暴厥 中惡昏迷 / 經閉 癥瘕 難産死胎心腹暴痛 癰腫瘰癧 咽喉腫痛 跌撲傷痛 痹痛麻木

【해설】

散以辛味  通竅以溫 走竄以芳香2

1. 開竅醒神 : 開竅시키는 효력이 강하므로 邪氣가 心竅를 蒙閉하여 된 神志昏迷를 치료하는 要藥(中樞神經興奮劑)

① 淸熱藥과 配合하면 涼開劑, 祛寒藥과 配合하면 溫開劑

② 救急 약물로서 각종 급성열병의 神昏과 中風으로 인한 昏迷에 응용 

2. 活血散結 消腫止痛 : 經絡壅閉를 疏通시켜 癰瘍을 치료하는 要藥

← 瘡瘍腫毒이나 跌撲損傷에 내복 또는 外用하면 효과가 있으며 癥瘕, 經閉 등에 응용

3. 辛香走竄하여 活血祛瘀 : 催産下胎 → 胞衣不下 胎死腹中 등에 응용

But! 자궁흥분작용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자궁경련을 일으키므로 陣痛促進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임신말기에는 사용 불가

4. 위 2와 3은 현재 약물의 희귀성으로 인해 응용이 극도로 줄어듦

5. 麝香 vs 牛黃 : 開竅의 要藥으로 熱病으로 인한 神昏抽搐과 中風으로 인한 痰迷驚厥에는 두가지 약물을 배오하여 사용.

┌ 麝香 : 性溫 – 通經散結 活血消腫 → 開竅醒神

└ 牛黃 : 性凉 – 淸心割痰 淸熱解毒 → 豁痰定驚

∴ 瘀血凝滯者는 麝香의 응용이 가능하나 牛黃은 불가(寒凝血滯)

6. 초기의 熱性경련에는 牛黃이 主藥(예:牛黃淸心元)

 일정시간 경과 후의 寒性瘈瘲 抽搐 등에는 麝香이 主藥(예:麝香蘇合元)

7. 관능검사   ※ 검사 과정은 여기를 참조.

① 開腹前에 麝香殼을 손바닥에 놓고 손으로 누르면 皮部의 함몰된 부분이 탄력적으로 원래 상태로 회복되거나

② 麝香囊을 침으로 찔러 보았을 때 깔깔한 느낌(澁)이 있으며(이물질이 혼입된 것은 매끄럽다) 침을 빼보면 침에 붙은 麝香仁이 끝으로 갈수록 두터워져 있으며

③ 開腹時에 麝香囊 안쪽의 殼皮에 육각형모양이 형성되거나

④ 물과 섞어 손으로 문지르면 손에 粘性이 남지 않거나, 완전히 물에 녹인 후에 일정시간 방치하면 麝香의 침전물이 나타나는데 수용액은 淡黃色으로 향기가 있으며

⑤ 냄새를 맡아보면 향기가 진하며 노린 냄새가 없고 맛을 보면 辛辣하며 자극감이 있고

⑥ 當門子를 불에 태울 때 泡沫이 생기고 진한 향기가 나며 灰白色을 띠는 것을 上品 혹은 眞品으로 본다(반대로 육각형모양이 형성되지 않고 粘性이 있으며 태울 때 黑色을 나타내면 불순물이 混入된 것으로 본다).

【포제】

毛殼麝香은 囊殼을 제거하고 麝香仁을 取하여 雜質을 제거한 후 硏細하여 사용한다

【용량】

0.06~0.1g

【금기】

氣血이 허약한 사람과 임산부는 복용을 삼가는 것이 좋다

【배합례】

① 犀角 牛黃 등 淸熱藥과 配合하여 熱閉의 證에 응용커나 角 木香 등을 配合하여 卒中風, 心膜刺痛에 응용

우황청심환 牛黃淸心丸《太平惠民和劑局方》牛黃淸心丸《古今醫鑑》 ≒ 우황청심원 牛黃淸心元《東醫寶鑑》 治卒中風 不省人事 痰涎壅塞 精神昏憒 言語蹇澁 口眼喎斜 手足不遂 等證
: 山藥七錢 甘草炒 五錢 人參 蒲黃 神麴炒 各二錢半 犀角二錢 大豆黃卷 肉桂 阿膠炒 各一錢七分半 白芍藥 麥門冬 黃芩 當歸 防風 朱砂水飛 白朮 各一錢半 柴胡 桔梗 杏仁 白茯苓 川芎 各一錢二分半 牛黃一錢二分 羚羊角 麝香 龍腦 各一錢 雄黃八分 白歛 乾薑炮 七分半 金箔一百二十箔內四十箔爲衣 大棗二十枚蒸取肉硏爲膏. 右爲末 棗膏入煉蜜和勻 每一兩 作十丸 金箔爲衣 每取一丸 溫水化下[醫鑑]

cf. 우황청심환 牛黃淸心丸《痘疹世醫心法》 治心熱神昏
: 黃連生五錢 黃芩 山梔仁各三錢 鬱金二錢 辰砂一錢半 牛黃二分半. 共研細末 臘雪調麵糊丸 如黍米大 每服七八丸 燈心湯下.

지보단 至寶丹 《蘇沈良方》 (出《靈苑》本池州醫鄭感 慶曆中 為予處此方 以屢效 遂編入《靈苑》) 舊說主疾甚多 大體專療心熱血凝 心膽虛弱 喜驚多涎 眠中驚魘 小兒驚熱 女子憂勞 血滯血厥 產後心虛怔忪尤效 血病生薑小便化下 (방제학교재 淸熱開竅 化濁解毒. 痰熱内閉心包證 – 神昏譫語 身熱煩躁 痰盛氣粗 舌紅苔黃垢膩  脉滑數. 熱痰内閉 – 中風 中暑 小兒驚厥)
: 生烏犀 生玳瑁 琥珀 硃砂 雄黃各一兩 牛黃一分 龍腦一分 麝香一分 安息香一兩半酒浸重湯煮 令化濾去滓 約取一兩淨 金箔各五十片. 上丸如皂角子大 人參湯下一丸 小兒量減.

안궁우궁환 安宮牛黃丸《溫病條辨》 (清熱解毒 豁痰開竅. 溫熱病 熱邪內陷心包 痰熱壅閉心竅 高熱煩躁 神昏譫語 或舌蹇肢厥 或下利脈實 以及中風竅閉 小兒驚厥屬痰熱內閉心竅者)
: 牛黃一兩 鬱金一兩 犀角一兩 黃連一兩 硃砂一兩 梅片二錢五分 麝香二錢五分 眞珠五錢 山梔一兩 雄黃一兩 金箔衣 黃芩一兩. 上爲極細末 煉老蜜爲丸 每丸一錢 金箔爲衣 蠟護. 脈虛者人參湯下 脈實者銀花 薄荷湯下 每服一丸. 兼治飛屍卒厥 五癇中惡 大人小兒痙厥之因於熱者. 大人病重體實者 日再服 甚至日三服, 小兒服半丸 不知再服半丸.

자설단 紫雪丹 = 자설 紫雪《外臺秘要》 療腳氣毒遍內外 煩熱 口中生瘡 狂易叫走 及解諸石草熱藥毒發 邪熱卒黃等. 瘴疫毒癘 卒死溫瘧 五屍五注心腹諸疾 絞刺切痛 蠱毒鬼魅 野道熱毒 小兒驚癇百病最良方.
: 黃芩百兩 寒水石三斤 石膏三斤 磁石三斤 滑石三斤 玄參一斤 羚羊角五兩屑 犀角五兩屑 升麻一斤 沈香五兩 丁子香一兩 青木香五兩 甘草八兩炙. 上十三味 以水一斛 先煮五種金石藥 得四斗 去滓後納八物 煮取一斗五升 去滓 取硝石四升 芒硝亦可. 用朴硝精者十斤投汁中 微炭上煎 柳木簞攪勿住手 有七升 投在木盆中 半日欲凝 內成研硃砂三兩細研麝香當門子五分納中攪調 寒之二日成霜雪紫色 病人強壯者 一服二分 當利熱毒 老弱人或熱毒微者 一服一分. 以意節之 合得一劑 支十年許用 大神妙 不用余 論腳氣病經服石藥發熱毒悶者 服之如神 水和四分 服勝三黃湯十劑 以後依舊方用麝香丸 下腳氣 或熱脹曾用 不如金牙散良 忌海藻菘菜生血物等.

 

三寶 開竅止痙  
安宮牛黃丸 犀角 朱砂
麝香 牛黃
+ 淸心豁痰 鬱金 黃連 黃芩 山梔 眞珠 雄黃 氷片
至寶丹 犀角 朱砂
麝香 牛黃
+ 開竅醒神 安息香 琥珀 玳瑁 雄黃 氷片
紫雪丹 犀角 朱砂
麝香
+ 止痙熄風 羚羊角 黃芩 磁石 寒水石 石膏
滑石 玄參 升麻 沈香 丁香 雲木香 甘草

 

蘇合香, 丁香, 沈香 등과 配合하여 寒閉의 證에 응용
흘력가환 吃力伽丸= 소합향환 蘇合香丸《外臺秘要》 廣濟療傳尸骨蒸 殗殜肺痿 疰忤鬼氣 猝心痛 霍亂吐痢 時氣鬼魅瘴瘧 赤白暴痢 瘀血月閉 痃癖疔腫 驚癇鬼忤中小兒吐乳 大人狐狸等病 吃力伽丸方
: 吃力伽白朮是也 光明砂 訶黎勒皮 麝香當門子 香附子 丁子香 沈香重者 蓽茇 白檀香 靑木香 安息香 犀角屑各二兩 薰陸香 蘇合香 龍腦各半兩. 上十五味搗篩 白蜜和為丸. 每朝取井花水服如梧子四丸 於淨器中研破服之 老小一丸. 以蠟裹一丸如彈丸 緋絹袋盛當心帶之 一切邪鬼不敢近 千金不傳 冷水暖水臨時量之. 忌五辛生血物 以臘月合 神前藏之密器中 勿令泄藥氣 神驗.

⑥ 雄黃 乳香 沒藥 등을 配合하여 瘡瘍腫毒에 응용
성소환 醒消丸《外科全生集》 治癰腫聖藥 立能消腫止痛 並治魚肚癰 及翻花起肛. 醉蓋取汗立愈
: 乳香 沒藥各去油各一兩 麝香一錢半 雄精五錢各研極細 黃米飯一兩. 搗爛為丸 如萊菔子大. 忌火烘 晒乾 每服陳酒送下三錢 醉蓋取汗 立愈. 馬曰 已成膿者 萬不可用.

⑦ 血竭 紅花 乳香 沒藥 등을 配合하여 跌撲損傷에 응용
칠리산 七厘散 = 상과칠리산 傷科七厘散《良方集腋》 活血化瘀止血 消腫止痛 理氣開竅 外用止血生肌. 治跌打損傷 滯作痛 骨斷筋折 創傷出血. 外敷一切無名腫毒.
: 血竭1兩 麝香1分2厘 冰片1分2厘 乳香1錢5分 沒藥1錢5分 紅花1錢5分 硃砂1錢2分 兒茶2錢4分. 黃酒沖服或調敷.

⑧ 牛黃 珍珠 蟾酥 雄黃 冰片 등을 配合하여 咽喉腫痛과 疔瘡腫毒 등 證에 내복 또는 外用
일립주 一粒珠 《全國中藥成藥處方集》 治癰疽瘡癤 乳癰乳癌 紅腫疼痛
: 穿山甲720g分作四份 一份以清水洗淨生用, 一份用香油炙酥, 一份打碎 用醋30g浸拌微炒, 一份打碎 用綠茶30克熬透去滓 取汁浸拌微炒 製乳香 製沒藥各60g共為細粉 牛黃 珍珠各10.5g 麝香 冰片 硃砂麵 雄黃麵各15g 製蟾酥麵1.5g. 以上研細和勻 用江米麵360g蒸糊 加蘇合油30g燉化為丸. 每丸乾重1.5克 蠟皮或蠟紙筒封固. 每服1丸 黃酒送下 白開水亦可.

 殭蠶 鈎藤 등을 配合하여 急驚에 응용
아과회춘단 兒科回春丹 = 소아회춘단 小兒回春丹 = 회춘단 回春丹《敬修堂藥說》 開竅定驚 淸熱化痰. 治小兒急驚 痰熱蒙蔽 發熱煩躁 神昏驚厥 或反胃嘔吐 夜啼吐乳 痰嗽哮喘 腹痛泄瀉.
: 川貝母 陳皮 木香 白豆蔻 枳殼 法半夏 沉香 天竺黃 僵蠶 全蠍 檀香各1兩2錢半 牛黃 麝香各4錢 膽南星2兩 鉤藤8兩 大黃2兩 天麻1兩2錢 甘草8錢7分半 朱砂適量. 上藥爲小丸 每丸重0.09克. 周歲以下 每次1丸, 一至二歲 每次2丸 每日二三次.

행군산 行軍散《霍亂論》 夏月痧氣 是由時感穢濁之氣 或病毒直犯心脾所致. 毒邪犯心則頭目昏暈 心煩不安, 毒邪犯脾則升降失常 或吐或瀉 腹痛 … 故尚能治療口瘡咽痛 風熱翳障等症
 :西牛黃 當門子 眞珠 梅氷 硼砂各一錢 明雄黃飛净八錢 火硝三分 飛金二十頁. . 八味各研極細 再合擂勻 每二三分冷開水下. 

포룡환 抱龍丸《小兒藥證直訣》 治傷風瘟疫 身熱昏睡 氣粗 風熱痰寒壅嗽 驚風潮搐 及蠱毒 中暑. 沐浴後並可服 壯實小兒 宜時與服之
: 天竺黃一兩 雄黃水飛一錢 辰砂 麝香各別研半兩 天南星四兩臘月釀牛膽中 陰乾百日 如無 只將生者去皮臍 銼 炒乾用. 上為細末 煮甘草水和丸 皂子大 溫水化下服之. 百日小兒 每丸分作三四服, 五 二丸, 大人 三五丸. 亦治室女白帶. 伏暑 用鹽少許 嚼一二丸 新水送下. 臘月中 雪水煮甘草和藥尤佳. 一法用漿水或新水浸天南星三日 候透 軟煮三五沸 取出乘軟切去皮 只取白軟者 薄切焙乾炒黃色 取末八兩 以甘草二兩半 拍破 用水二碗浸一宿 慢火煮至半碗 去滓 旋旋洒入天南星末 慢研之 令甘草水盡 入余藥.

⑫ 공진단 拱振丹(拱辰丹3)《世醫得效方》 男子方當壯年 而眞氣猶怯. 此乃稟賦素弱 非虛而然 僭燥之藥 尤宜速戒. 勿謂手足厥逆 便云陰多 如斯治之 不惟不能愈疾 大病自此生矣. 滋益之方 群品稍衆 藥力細微 難見功效. 但固天元一氣 使水升火降 則五臟自和 百病自去 此方主之.
: 鹿茸酥炙 去皮毛 川當歸洗去土 山茱萸新好有肉紅潤者 去核. 各四兩 麝香半兩 別硏. 上三件為末 入麝香拌勻 酒煮麵糊為丸 梧桐子大. 每服一百粒 或五十粒 溫酒鹽湯任下.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52-4.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171-5.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620-3.


 




각주

  1.  사향쥐(muskrat) Ondatra zibethicus의 분비물로 대용하자는 의견도 있음. 사향쥐는 IUCN의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에 LC(Least Concern)으로 등재(1996)되었으나 최근 남획으로 인해 변동의 가능성이 있음.
  2. 일반적인 약물은 소화흡수되어야 효과가 나지만 사향은 입에 머금기만 해도 효력이 나타난다고 할 정도로 그 효력을 높게 평가하였다.
  3. 《東醫寶鑑》은 ‘辰’으로 글자를 바꿔 인용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