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포(昆布) Saccharinae seu Eckloniae Thallu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昆布《名醫別錄》
【생약명】
① 다시마(海帶) : Saccharinae Thallus 또는 Laminariae Japonicae Thallus1
② 감태(昆布) : Eckloniae Thallus
【이명】 綸布《吳普本草》 海昆布《遼寧藥材》
【약성가】 昆布鹹寒一切腫 瘻瘡癭瘤氣結壅
【기원】 ※ KHP는 ‘다시마’만 인정
① 다시마과(Laminariaceae ; 海帶科)에 속한 多年生 대형 갈조식물인 다시마(海帶) Saccharina japonica (J.E.Areschoug) C.E.Lane, C.Mayes, Druehl & G.W.Saunders [= Laminaria japonica Aresch.]의 엽상체(葉狀體)를 건조한 것
⊂ KHP, ChP, THP, DPRKP
② 미역과(Alariaceae ; 翅藻科)식물인 감태(昆布) Ecklonia kurome Okamura의 엽상체(葉狀體)를 건조한 것으로, 여름~가을에 채취하여 曬乾한다.
⊂ ChP, THP
Protista(색조류계)
Phaeophyta(갈조식물문)
Heterogeneratae(이형세대강)
Laminariales(다시마목)
[ 다시마(海帶) Saccharina japonica (J.E.Areschoug) C.E.Lane, C.Mayes, Druehl & G.W.Saunders ]
[ 감태(昆布) Ecklonia kurome Okamura ]
【성상】
[ 海帶 Saccharinae Thallus ]
① 다시마(海帶):전체가 黑褐色 또는 綠褐色으로 여러 겹으로 말려졌고, 표면에는 백색의 粉霜이 붙어 있다. 물에 담그면 연하고 팽대하여 편평하고 긴 帶狀으로 길이 50~150㎝, 너비 10~40㎝이며, 중부는 비교적 두껍고 가장자리는 얇으며 波狀이다. 質은 革質로 扁圓柱狀의 자루가 남아 있다.
[ 昆布 Eckloniae Thallus ]
② 감태(昆布):쭈그러져 말려 있어 불규칙한 덩어리 모양으로 전체가 黑色이며 비교적 얇다. 물에 담그면 팽창하여 편평한 잎 모양으로 길이와 너비가 16~26㎝이며 두께는 약 1.6㎜이다. 양측은 羽狀으로 깊게 갈라졌으며, 裂片은 긴 舌狀으로 가장자리는 小齒 또는 全緣이다. 質은 柔滑하다.
【산지】
우리 나라의 연해에서 생산되며, 중국의 華東(山東 浙江), 華南(廣東 福建), 東北(遼寧), 요동반도·산동반도 해역 등의 연해에서 산출된다.
【성분】
· 다시마(海帶) : 주요한 당류 화합물로 3종류가 있는데, 1종은 alginate, alginic acid를 포함한 성분, 2종은 fucoidan, SO4를 포함한 성분, 3종은 laminarin, β-1,3-glucan 결합물질 등이 있다. 그리고 lipopolysaccharide와 3개의 수용성 arsenosugar가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아미노산, 지방산, 휘발성 정유성분, carotene, vitamin(B1, B2, C, P) 등이 함유되어 있다.
· 감태(昆布) : alginic acid 및 그 sodium salt, laminarin, mannitol, vitamin, halide, PO43-, SO42-, iodine 및 그밖의 미량의 무기원소가 함유되어 있다. 항혈액응고 다당성분으로 fucansulfate(B-Ⅰ~Ⅱ, C-Ⅰ~Ⅱ) 등이 있다.
【작용】
· 주성분인 요오드에 의해서 甲狀腺腫 등에 효과2
· 유효성분인 laminarin은 실험에 의하여 가벼운 혈압강하 작용이 있다. 저용량은 혈압을 약간 떨어뜨리고, 중용량에서는 혈압이 떨어진 뒤 다시 상승, 고용량에서는 지속적인 혈압강하 작용을 한다.
· 平喘鎭咳 작용
· 혈중지질 저감, 혈액응고 억제, 면역증강, 항암, 혈당강하, 항방사선, 진통, 진정 작용
【성미】 性寒 味鹹 【귀경】 肝胃腎經
【효능】 軟堅散結 消痰 利水
【주치】 癭瘤 瘰癧 睾丸腫痛 痰飮水腫
【해설】
1. 軟堅散結 消痰 : 鹹寒하고 質이 滑하여 軟堅散結하고 淸熱化痰
→ 癭瘤와 瘰癧에 응용. 더욱이 癭을 치료하는 주약
2. 利水 : 性이 滑하여 潤下시키므로 利水消腫의 효능
→ 水腫脹滿과 濕熱脚氣 등 證에 보조적으로 응용
3. ‘17세기 이후 조선의서에서의 향명 기록에 따르면 해대는 다시마를 가리리킨다’ by 최고야 et al. 해대(海帶)의 기원에 대한 고문헌적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2007:13(3):11-20.
【포제】
淸水에 洗漂한 다음 細切하여 曬乾한다.
【용량】
12~20g.
【금기】
脾胃가 虛寒하여 蘊濕한 者와 孕婦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海藻 文蛤 등을 配合하여 痰火鬱結로 인한 癭瘤와 瘰癧結核 등에 응용
곤포환 昆布丸《外臺秘要》引《廣濟方》 療氣癭氣 胸膈滿塞 咽喉項頸漸粗
: 昆布二兩洗去咸汁 通草一兩 羊靨二具炙 海蛤一兩研 馬尾海藻一兩洗去咸汁. 上五味 蜜丸如彈子 細細含咽汁. 忌生菜 熱面 炙肉 蒜 筍.
② 海藻 玄蔘 牡蠣 夏枯草 등을 配合하여 甲狀腺腫大에 응용
곤포산 昆布散《顧氏醫經讀本》 馬刀 虛痰入絡 項側脹硬 形如長蛤 其核堅硬者
: 昆布 香附 夏枯草 川貝 元參 牡蠣 半夏 白芥子 忍冬 甘草各等分. 上藥研末 每服二三錢 用溫開水送下.
③ 산종궤견탕 散腫潰堅湯《醫方集解》引<東垣> 凡耳後 頸部瘰癧 癭瘤腫硬 或已潰流膿水 皆可使用
: 黃芩八錢,半酒炒,半生用 知母 黃柏酒炒 龍膽草酒炒 花粉酒洗 桔梗 昆布五錢 柴胡四錢 升麻 連翹 甘草炙 三稜酒洗 廣朮酒洗炒,三錢 葛根 歸尾酒洗 芍藥二錢 黃連一錢. 每服六七錢. 先浸半日 煎. 食後熱服 服後仰臥 取藥在上膈. 另將半料蜜丸 留藥湯吞之 量虛實服.
④ 귤핵환 橘核丸《嚴氏濟生方》 治四種㿗病 卵核腫脹 或成瘡毒 輕則時出黃水 甚則成癰潰爛.
: 橘核炒 海藻洗 昆布洗 海帶洗 川楝子取肉 炒 桃仁麩炒 各一兩 厚朴去皮 薑汁炒 木通 枳實麩炒 延胡索炒 去皮 桂心不見火 木香不見火 各半兩. 上為細末 酒糊為丸 如桐子大 每服七十丸 空心鹽酒鹽湯任下. 虛寒甚者 加炮川烏一兩 堅脹不消者 加硇砂二錢 醋煮 旋入.
cf. 귤핵환 橘核丸《醫學心悟》 通治癥瘕 痃癖 小腸 膀胱等氣
: 橘核鹽酒炒,二兩 川楝子煨去肉 山楂子炒 香附薑汁浸炒,各一兩五錢 荔枝核煨研 小茴香微炒,各一兩 神麯四兩. 煮糊為丸 如桐子大. 每丸三錢 淡鹽水下. 寒甚加附子五錢肉桂三錢當歸一兩, 有熱加黑山梔七錢. 又疝氣症 表寒束其內熱 丹溪以黑山梔·吳茱萸並用. 按此二味 若寒熱不調者 加入丸中更佳. 若胞痹小便不利 去小茴 加茯苓·車前子·丹參·黑山梔.
⑤ 청간노회환 清肝蘆薈丸《外科正宗》 (清肝蘆薈丸芎芍 昆布青連皂地黃 海粉還兼甘草節 當歸加上共成方) 治惱怒傷肝 致肝氣鬱結為瘤 其堅硬色紫 壘壘青筋 結若蚯蚓 遇喜則安 遇怒則痛者服之
: 川芎 當歸 白芍各二兩 生地酒浸,搗膏,二兩 青皮 蘆薈 昆布 海粉 甘草節 牙皂 黃連各五錢. 上為末 神麯糊為丸 如梧桐子大 每服八十丸 白滾湯量病上下 食前後服之.
⑥ 海藻와 기타 利水藥을 配合하여 水腫脹滿과 脚氣 등 證에 응용
【참고】
갑상선기능항진(그레이브스, 단일/다결절성 갑상선종)에 다용하는 처방 예시
○ 안전백호탕 安全白虎湯《경희의료원처방집》 갑상선기능항진증3
: 葛根半兩 黃芩二錢 石膏 桔梗 藁本 升麻 甘草 各一錢
○ 소양인양격산화탕 凉膈散火湯《東醫壽世保元》
: 生地黃 忍冬藤 連翹 各二錢 山梔子 薄荷 知母 石膏 防風 荊芥 各 一錢
○ 단치소요산 丹梔逍遙散 = 가미소요산 加味逍遙散《東醫神經精神科學》 肝氣鬱結 怒氣傷肝 燥熱 虛熱
: 逍遙散(白朮 白芍藥 白茯苓 柴胡 當歸 麥門冬 各一錢 甘草 薄荷 各五分 右剉作一貼入薑三片水煎服) + 牧丹皮 梔子
○ 십전유기음 十全流氣飲《外科正宗》 治憂郁傷肝 思慮傷脾 致脾氣不行 逆於肉裡 乃生氣癭肉瘤 皮色不變 日久漸大 宜服此藥.
: 陳皮 赤茯苓 烏藥 川芎 當歸 白芍各一錢 香附八分 青皮六分 甘草五分 木香三分. 薑三片 棗二枚. 水二鐘 煎八分 食遠服.
○ 활혈산앵탕 活血散癭湯《外科正宗》 治癭瘤已成 日久漸大 無痛無癢 氣血虛弱者.
: 白芍 當歸 陳皮 川芎 半夏 熟地 人參 茯苓 丹皮 各一錢 紅花 昆布 木香 甘草節 各五分 青皮 肉桂 各三分. 水二鐘 煎八分 量病上下 服後飲酒一小杯.
○ 천왕보심단 天王補心丹《萬病回春》 寧心保神 益血固精 壯力强志 令人不忘. 除怔忡 定驚悸 淸三焦 化痰涎 祛煩熱 療咽乾 養育精神.
: 人參五錢 五味子 當歸酒洗 天門冬去心 麥門冬去心 柏子仁 酸棗仁炒 玄參 白茯神去皮 丹參 桔梗去蘆 遠志去心,各五錢 黃連去毛,酒炒,二兩 生地黃酒洗,四兩 石菖蒲一兩. 上爲細末 煉蜜爲丸 如梧桐子大 硃砂爲衣 每服三十丸 臨臥時服 燈心·竹葉煎湯送下.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500-1.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1069-71.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