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애엽(艾葉) Artemisiae Argyi Folium

애엽(艾葉) Artemisiae Argyi Folium

강의요약(초안). 艾葉은 三陰經의 氣血의 운행이 원활치 않아 血室의 膚~肉에 水濕과 함께 고여 있던 營血이 脈管 바깥으로 밀려서 유출되는 여성의 崩漏下血에 다용한다. 이는 停滯된 氣血을 疏泄시키면 자연스레 三陰經의 순환이 원활케 되는 작용으로 艾葉을 溫熱이 아닌 溫煦한 약물로 취급하는 근거가 된다. 이를 두고 ‘艾葉 辛苦溫煦 能溫經脈以止血 能行氣止血以安胎’한다 하였다.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艾葉《名醫別錄》

【생약명】 Artemisiae Argyi Folium

【이명】 醫草《別錄》 灸草《埤雅》 黃草《綱目》

【약성가】 艾葉溫平驅鬼邪 胎漏心疼並可加

【기원】

국화과(Asteraceae ; Compositae ; 菊花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황해쑥(艾) Artemisia argyi H.Lév. & Vaniot 또는 쑥(五月艾) A. indica Willd. [= A. asiatica Nakai ex Pamp.], 산쑥(山地蒿) A. montana (Nakai) Pamp.의 葉 및 嫩莖으로, 여름에 꽃이 피기 전에 따서 曬乾한다.

⊂ KHP, ChP1, THP2, JP3, DPRKP4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花類植物)
          초롱꽃군 (Campanulids ; 桔梗類植物) – 진정국화군 II (Euasterids II ; 眞菊花二類植物)
            국화목(Asterales ; 菊目)
              국화과(Asteraceae ; Compositae ; 菊科)

황해쑥(艾) Artemisia argyi H.Lév. & Vaniot

[ 황해쑥(艾) Artemisia argyi H.Lév. & Vaniot ]

【성상】

애엽(艾葉) Artemisiae Argyi Folium

[ 艾葉 Artemisiae Argyi Folium ]

압축된 잎과 그 조각으로 되어 있고 종종 가는 줄기를 함유한다. 잎은 오그라져 있으나 펴서 보면 길이 4~10㎝, 너비 2~10㎝이며 깃꼴로 갈라져 어긋나게 붙어있다. 잎의 윗면은 綠色~어두운 綠褐色을 띠고 뒷면은 灰白色의 가는 솜털이 밀생하여 부드러운 촉감을 준다. 특이한 방향이 있고 맛은 쓰다.

【산지】

우리 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성분】

· 황해쑥은 휘발성 정유성분이 0.45~1.00%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는 2-methylbutanol, 2-hexenal, cis-3-hexene-1-ol 등 60여종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葉의 정유성분 중에는 eucalyptole, 3-carene, spathalen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Flavonoid 성분으로는 eupatilin, 5-hydroxy-6,7,3′,4′-tetramethoxyflavone, quercetin, naringenin 등이 있다. 그 밖에 β-sitosterol, stigma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 野艾의 개화기 전초에는 휘발성 정유성분으로 1,8-cineole, α-/β-pinene, camphene, sabinene, myrcene 등이 있다. 지상부에는 eudesmane, coumarin, flavonoid, triterpeno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葉의 wax 성분에는 capr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hentriacontane, 12-tricosanol, arachic alcohol 등이 있다.

【작용】

· 혈관수축중추와 운동중추를 흥분시킨다.
· 티푸스균·이질균·결핵균 등에 항균작용을 나타낸다.
· 지혈작용(烘艾葉, 艾葉炒炭)과 위액분비 촉진작용이 있다. 반면 혈소판응집억제(β-sitosterol, eupatilin) 작용도 있다.
· 平喘鎭咳去痰 작용이 있다.
· 항알러지, 돌연변이 억제, 항종양(eupatilin), 담즙분비 촉진 작용을 한다.

 

 【성미】 性溫 味辛苦 小毒       【귀경】 肝脾腎經

【효능】 散寒止痛 溫經止血 / 醋艾炭溫經止血

【주치】 少腹冷痛 經寒不調 子宮虛冷性不姙 吐血 衄血 崩漏經多 姙娠下血. 外治皮膚瘙痒  /  醋艾炭溫經止血 治虛寒性出血症

【해설】 (張仲景 治下血 , 李時珍 治帶下之良品 婦科要藥)

1. 散寒止痛 : 性溫 苦燥 辛散 芳香 → 溫暖三陰經之氣血 溫經脈而祛寒濕

① 下焦虛寒으로 인한 腹中冷痛에 응용

② 經寒不調 子宮虛冷으로 인한 不姙 등에 응용

2. 溫經止血(炒炭用) : 허한성출혈증을 치료

① 婦女의 崩漏下血을 치료하는데 상용

② 地楡 側栢葉 등의 寒凉한 止血藥과 配伍하여 응용 → 辛溫한 性으로 견제하고자 하는 목적

3. 燥濕止痒 : 濕疹疥癬 등의 피부질환에도 응용

4. 艾葉 vs 炮薑 : 溫經止血

┌ 艾葉 : 主下焦虛實寒

└ 炮薑 : 主中焦虛    寒

5. 艾葉 vs 肉桂 : 能溫暖下焦氣血

┌ 艾葉 : 辛苦溫煦 能溫經脈以止血 能行氣止血以安胎

└ 肉桂 : 辛甘大熱 能引血而不止血 能墮胎面而不安胎

6. 血少로 인한 婦人無子는 攝精해야 함

→ 이를 虛冷으로 보아 辛熱한 약물(예:艾葉)을 사용하지 말아야함 (朱震亨)

【포제】

生用. 止血에는 醋炒한다.

【용량】

3~9g.

【금기】

陰虛血熱者에게는 신중을 기하고 陰虛火旺과 血燥生熱者 및 失血病이 오래된 증에는 복용을 금한다.

【배합례】

① 阿膠 當歸 地黃 등을 配合하여 崩漏下血에 응용
궁귀교애탕 芎歸膠艾湯= 교애사물탕 膠艾四物湯5《傷寒雜病論(桂林古本)》  婦人有漏下者 有半產後續下血都不絕者 假令妊娠腹中痛者 此為胞阻 (保血安胎 補血調經 安胎止痛. 治婦人沖任虛損 崩中漏下 月水過多 淋瀝不止 或半產後下血不絕 或妊娠下血 腹中疼痛者 或勞傷胞絡 胞阻漏血 腰痛悶亂 或因損動 胎上搶心 奔動短氣 及因產乳 沖任氣虛 不能約制 經血淋瀝不斷 延引日月 漸成羸瘦.)
: 地黃六兩 芎藭二兩 阿膠二兩 艾葉三兩 當歸三兩 芍藥四兩 甘草二兩. 右七味 以水五升 清酒三升 煮六味 取三升 去滓 納膠烊消 溫服一升 日三服

② 黃芪 人蔘 등 補氣藥과 配合하여 氣虛不固로 인한 出血證에 응용
보기양혈탕 補氣養血湯《東醫寶鑑》引《萬病回春》 治小産後 下血不止
: 人參 黃芪 當歸 白朮 白芍藥酒炒 艾葉 阿膠 川芎 靑皮 香附子 縮砂 甘草灸各一錢. 右剉作一貼 水煎服.

③ 당귀기생탕 當歸寄生湯《東醫寶鑑》引《世醫得效方》 治胎漏下血
: 人參 桑寄生 熟地黃 續斷各一錢半 當歸 川芎 白朮 艾葉各七分半. 右剉作一貼水煎服.

④ 炮乾薑 竈心土 등을 配合하여 虛寒證의 吐血과 衄血에 응용
복룡간산 伏龍肝散《東醫寶鑑》引《醫學入門》 治衝任經虛 崩漏不止 臍腹冷痛
: 川芎 艾葉各一錢半 伏龍肝一錢 赤石脂 麥門冬各七分 當歸 乾薑 熟地黃 肉桂 甘草各五分. 右剉作一貼 入棗二枚 煎服 或爲末米飮調二錢服.

⑤ 生地黃 側柏葉 등을 配合하여 血熱妄行症에 응용
사생환 四生丸《東醫寶鑑》引《丹溪心法》 治吐衄血 陽乘於陰 血熱妄行
: 生荷葉 生艾葉 生側柏葉 生地黃葉各等分. 右爛搗取如鷄子大 每一丸 水一盞煎服 或鹽湯化服. 一方無荷葉有生薄荷.

cf. 사미환 四味丸《楊氏家藏方》 治吐血
: 荷葉 艾葉 柏葉 生地黃. 上件各等分 搗爛 團成雞子大 每服一丸 水三盞 煎至一盞 去滓溫服 不拘時候.

⑥ 香附子 當歸 肉桂 등을 配合하여 月經不調와 子宮虛冷性不姙에 응용
조경종옥탕 調經種玉湯 《東醫寶鑑》 治婦人無子 多因七情所傷 致經水不調 不能受孕
: 熟地黃 香附子炒各六錢 當歸身酒洗 吳茱萸 川芎各四錢 白芍藥 白茯苓 陳皮 玄胡索 牧丹皮 乾薑炒各三錢 官桂 熟艾各二錢. 右剉分作四貼每一貼入薑三水煎空心服待經至之一服起一日一貼藥盡交媾必成孕矣此藥百發百中[醫鑑] ○ 回春無薑桂艾三味

cf. 조경종옥탕 調經種玉湯《萬氏女科》 (治婦人無子 多因七情所傷 致經水不調 不能受孕 )
: 當歸身八錢 川芎四錢 熟地一兩 香附六錢炒 白芍六錢酒炒 茯苓四錢 陳皮三錢 吳茱萸三錢 丹皮三錢 玄胡索三錢. 若過期而經水色淡者 血虛有寒也 加官桂‧炮薑‧熟艾各一錢, 若先期三五日 色紫者 血虛有熱也 加條芩三錢 銼 四帖 生薑三片 水碗半 煎至一碗 空心溫服. 渣再煎 臨臥時服. 經至之日服起 一日一服 藥完經止 即當入房 必成孕矣. 縱未成孕 經當對期 俟期來再服 最效.

【참고】

 ✓ 靑蒿 : 淸虛熱藥

KHP·ChP 개똥쑥(黃花蒿) Artemisia annua L.

KHP 개사철쑥(靑蒿) A. apiacea Hance

✓ 茵蔯蒿 : 利尿通淋藥(利水退黃藥)

KHP·ChP 사철쑥(茵蔯蒿) A. capillaris Thunb.

ChP 비쑥(豬毛蒿 ; 濱蒿) A. scoparia Waldst. & Kitam.

 ✓ 韓茵蔯 : 茵蔯蒿의 위품

KHP 더위지기(細裂葉蓮蒿) A. sacrorum var. iwayomogi (Kitam.) M.S.Park & G.Y.Chung [= A. gmelinii Weber ex Stechm. = A. iwayomogy Kitam. ]

 ✓ 艾葉 : 溫經止血藥

KHP·ChP 황해쑥[=모기쑥](艾) A. argyi H.Lev. & Vaniot

KHP 쑥(五月艾) A. indica Willd. [= A. asiatica Nakai ex Pamp.] ≠ 魁蒿 A. princeps Pamp.

KHP 산쑥(山地蒿) A. montana (Nakai) Pamp.

기타 대용품 :

  – 제비쑥[=자불쑥](牡蒿) A. japonica Thunb.

  – 참쑥[=몽고쑥 =인도쑥](牛尾蒿) A. dubia L. ex B.D.Jacks.

  – 불가리스쑥(北艾) A. vulgaris L.

 ✓ 劉寄奴 : 活血祛瘀藥

① KHP · ChP부록 奇蒿 A. anomala S. Moore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37-8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930-4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14-6


 




각주

  1. 황해쑥(艾) Artemisia argyi H.Lev. & Vaniot만 인정
  2. ChP와 동일 
  3. Artemisia princeps Pamp.와  A. montana (Nakai) Pamp.만 인정
  4. 쑥(五月艾) Artemisia indica Willd.만 인정
  5. =膠艾湯=當歸散 = 阿膠蘄艾湯=艾葉地黃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