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종려피(棕櫚皮) Trachycarpi Petiolus

종려피(棕櫚皮) Trachycarpi Petiolu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棕櫚皮《本草拾遺》 

【생약명】 Trachycarpi Petiolus

【이명】 栟櫚木皮《本草拾遺》 棕皮《本草求原》 棕毛《普濟方》

【약성가】 棕櫚皮澁專主血 吐衄崩帶血淋絶

【기원】

야자나무과(Arecaceae ; Palmae ; 棕櫚科)에 속한 늘푸른나무인 종려(棕櫚) Trachycarpus fortunei (Hook.) H.Wendl. [= T. wagnerianus Becc.]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葉柄이 오래 묵어 이루어진 假莖으로, 박리되는 표피와 섬유상의 毛를 제거하고 曬乾.

⊂ KHP, ChP

※ KPNI에선 왜종려 T. excelsus (Thunb.) H. Wendl.와 당종려 T. wagnerianus Becc.로 구분하나 FOC 및 MBG는 이명으로 정의함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외떡잎식물군 (Monocots ; 單子葉植物)
    닭의장풀군 (Commelinids ; 鴨跖草類植物)
      종려목 (Arecales ; 棕櫚目)
        야자나무과 (Arecaceae ; Palmae ; 棕櫚科)

종려(棕櫚) Trachycarpus fortunei (Hook.) H.Wendl.

[ 종려(棕櫚) Trachycarpus fortunei (Hook.) H.Wendl. ]

【성상】

종려피(棕櫚皮) Trachycarpi Petiolus

[ 棕櫚皮 Trachycarpi Petiolus ]

긴 圓錐狀 또는 板狀이며 길이 20~30㎝이고 두께는 고르지 않다. 바깥면은 짙은 갈색이며 질겨서 꺾이지 않는다. 냄새는 거의 없고 맛은 떫다.

【산지】

우리나라 각지에서 관상용으로 기르고 있으며, 중국의 華南(廣東 廣西 福建 臺灣), 華中(湖北 湖南 江西), 華東(江蘇 安徽 浙江), 西南(四川 貴州 雲南)에서 생산.

【성분】

· 葉 : luteolin1-7-O-glucoside, luteolin-7-O-rutinoside, methyl protodiosgenin tetraglycoside 등 함유
· 毛, 葉, 花 :  tannin이 풍부함.

【작용】

· 지혈작용(棕皮>棕板)
· 陳棕皮는 지혈작용을 보이지 않으나, 陳棕皮炭은 지혈작용을 한다.

 

【성미】 性平 味苦澀     【귀경】 肺肝大腸經

【효능】 收斂止血

【주치】 治吐血 衄血 尿血 便血 崩漏下血

【해설】

1. 收斂止血

① 각종 出血證에 응용

② 특히, 婦人科의 崩漏에 多用

다만 出血의 원인은 제거하지 못하므로, 원인에 따라 다른 약물을 配合하여 사용한다.

2. 陳棕炭 : 오래된 棕櫚皮를 炒炭한 것으로 棕櫚炭에 비해 止血효과가 좋다고 하였음

【포제】

일반적으로 炒炭하여 사용

【용량】

3~9g.

【금기】

收斂作用이 비교적 강하므로 出血은 과다하되 瘀血은 없는 경우에 적용하고, 만약 瘀血이나 邪熱로 인한 血熱/血枯가 있는 경우는 복용해서는 안된다. 또한 邪氣의 감촉으로 인한 急性吐血, 血寒으로 인한 급성자궁출혈, 惡露不盡, 濕熱下痢의 초기 및 腸風帶下에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大薊 小薊 白茅根 梔子 등을 配合하여 血熱妄行으로 인한 出血證에 응용
십회산 十灰散《增訂十藥神書》 治癆症 嘔血 吐血 咯血 嗽血 先用此藥止之.
: 大薊 小薊 荷葉 扁柏葉 茅根 茜草根 山梔 大黃 牡丹皮 棕櫚皮各等分. 上各燒灰存性 研極細末 用紙包 碗蓋於地上一夕 出火毒. 用時先將白藕搗汁 或蘿蔔汁磨京墨半碗 調服五錢 食後服下 如病勢輕 用此立止 如血出成升斗者 用後藥止之.

黃芪 白朮 海螵蛸 茜草根 등을 配合하여 衝脈과 脾氣가 虛한 崩漏에 응용
고충탕 固衝湯(固沖湯)《醫學衷中參西錄》 治婦女血崩
 : 白朮一兩,炒 生黃耆六錢 龍骨八錢,煅搗細 牡蠣八錢,煅搗細 萸肉八錢,去淨核 生杭芍四錢 海螵蛸四錢,搗細 茜草三錢 棕邊炭二錢 五倍子五分,軋細藥汁送服.
   脈象熱者加大生地一兩, 涼者 加烏附子二錢.
   大怒之後 因肝氣衝激血崩者 加柴胡二錢.
   若服兩劑不愈 去棕邊炭 加眞阿膠五錢 另燉同服.
   服藥覺熱者宜酌加生地. 從前之方 龍骨 牡蠣皆生用 其理已詳於理沖丸下.
 此方獨用煅者 因煅之 則收澀之力較大 欲借之以收一時之功也.

③ 血餘炭과 配合하여 咯血, 衄血, 便血 및 崩漏 등에 瘀血이 없는 자에게 응용
오회산 五灰散《萬病回春》 治血不止成血崩
: 蓮蓬殼 黃絹 血餘 百草霜 棕皮. 上各燒灰 加山梔炒黑 蒲黃炒黑 墨 血竭 共為細末調入 煎藥服之.或煉蜜為丸 每服五十丸 清米湯送下.

④ 종회산 棕灰散《景岳全書》 治大腸下血不止 或婦人崩漏下血.
: 敗棕 不拘多少 燒灰存性 為細末. 每服二錢 空心好酒或清米飲調服.

⑤ 여성산 如聖散《東醫寶鑑》引《丹溪心法》 止血崩
: 棕櫚 烏梅各一兩 乾薑一兩半. 右幷燒存性 爲末每二錢 烏梅湯 酒調下空心

⑥ 종려산 棕櫚散《陳素庵婦科補解》 治婦女經水淋漓不止
: 棕皮 蒲黃二味俱炒黑存性,各二錢. 歸身酒炒 白芍 川芎 生地黃 丹皮 秦艽 澤蘭 杜仲. 上藥研末 水煎服.

⑦ 종회산 棕灰散《聖濟總錄》 治妊娠胎動 下血不止 臍腹疼痛.
: 棕櫚皮燒灰 原蠶砂炒,各一兩 阿膠炙燥,三分. 上三味 搗羅為散 每服二錢匕 溫酒調下 不拘時.

⑧ 가미금련사물탕 = 加味芩連四物湯2《醫宗金鑑》 産後便血大腸熱
: 當歸 熟地 白芍 川芎 黃芩 黃連酒炒黑 地榆 阿膠 荊穗 升麻蜜炙 棕櫚灰

⑨ 흑신산 黑神散《古今醫鑑》 [劉太府傳] 治産後敗血致諸疾者3. (《東醫寶鑑》 治産母惡露不下以致發熱煩躁)
: 當歸 熟地 白芍酒炒 肉桂去皮,各一兩 甘草炙黃 ,一兩 沈香 棕灰燒存性 蒲黃炒黑色 沒藥各一錢 乳香三錢 赤芍一錢 血竭五分. 上為細末 每服二錢 空心無灰好酒調下 此方可代奪命散.

⑩ 赤石脂 代赭石 등을 配合하여 嘔吐出血에 응용

⑪ 車前草 旱蓮草 등을 配合하여 小便出血에 응용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23-4.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99-900.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24-5.


 




각주

  1.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10016360
  2. 《醫宗金鑑 婦科心法要訣》에는 ‘産後便血大腸熱 四物芩連酒炒黑 地榆阿膠荊穗炒 蜜炙升麻棕櫚灰 脾虛不攝歸脾效 氣虛下陷補中宜’라는 요결만 있을 뿐 처방명이 없어 임의로 이름을 붙임
  3. 이 처방에 대하여 《古今醫鑑》은 다음과 같은 적응증을 제시하였음.

    一、將產血多 兒食不盡 余血裹胎 難産 服此棄子救母.

    一. 臨產用力太早 兒不及轉 橫生倒出 亦當急救母命 服此方.

    一. 子死腹中 母必肢體冷痛 口角出沫 指甲青黑 服此即出.

    一. 産後胎衣不下.

    一. 血暈眼花 起坐不得.

    一. 血迷心竅 不能言語.

    一. 敗血乘虛散流 四肢浮腫.

    一. 敗血為害 口渴舌燥 乍寒乍熱似瘧.

    一. 月中飲冷 敗血凝聚 腹痛難忍 或致瀉痢.

    一. 敗血入心 煩躁發狂 言語錯亂 或見鬼神如癲.

    一. 敗血停留肢節間 遍身疼痛.

    一. 敗血流入小腸 小便出血.

    一. 敗血結聚 小便閉澀 大便艱難.

    一. 惡露未盡 失而不治 又過酸鹹收斂之物 因而得崩漏.

    一. 肺敗鼻中氣黑.

    一. 敗血衝心 喉中氣急發喘.

    一. 敗血滯脾胃中 心腹脹滿 嘔吐似翻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