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슬(鶴虱) Carpesii Fructu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鶴虱《神農本草經》
【생약명】 Carpesii Fructus
【이명】 麥句薑 天名精1《本經》 天門精《別錄》 葵松《新修本草》 鶴虱草《傷寒蘊要》
【약성가】 鶴虱味苦殺蟲毒 心腹卒痛蛔堪逐
【기원】
국화과(Asteraceae ; Compositae ; 菊花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담배풀(天名精) Carpesium abrotanoides L.의 果實로, 가을에 성숙한 果實을 채취하여 曬乾 = 北鶴虱
⊂ KHP, ChP
속씨식물 (Angiosperms; 被子植物群)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眞雙子葉植物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 (Asterids ; 菊花類植物) – 초롱꽃군 (campanulids ; 桔梗類植物)
국화목(Asterales ; 菊花目)
국화과(Asteraceae ; Compositae ; 菊花科)
[ 담배풀(天名精) Carpesium abrotanoides L. ]
【성상】
[ 鶴虱 Carpesii Fructus ]
圓柱狀으로 길이 3~4㎜, 지름 1㎜ 정도이고 바깥면은 黃褐色~어두운 褐色으로 많은 세로주름이 있으며 윗끝은 선상으로 수축되어 있다. 횡단면은 圓形에 가깝고 種仁은 黃白色이며 유성이다. 향기가 조금 있으며 맛은 조금 쓰다.
【산지】
우리 나라 各地에 분포한다.
【성분】
Lactone 화합물로 carpesialactone, carabrone 등이 있고, 지방산인 n-capro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 밖에 hentriacontane, triacontane, stigmasterol 등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cerylalcohol이 함유되어 있다.
【작용】
∙ 蛔蟲의 살충 작용
∙ 항균, 진경, 진정, 해열, 혈압강하 작용
【성미】 性平 味苦辛 有毒 【귀경】 脾胃經
【효능】 驅蟲消積
【주치】 治蟲積腹痛(蛔蟲, 蟯蟲) 小兒疳積
【해설】
1. 驅蟲消積
① 주로 蛔蟲을 구제
② 효력이 완만하여 다른 약과 배합하여 응용
2. 기원
┌ 天名精 : 담배풀(天名精) Carpesium abrotanoides L.의 전초
├ 北鶴虱 : 담배풀(天名精) Carpesium abrotanoides L.의 과실
└ 南鶴虱 : 산당근(野胡蘿蔔) Daucus carota L.의 과실
【포제】
生用 또는 炒用
【용량】
12~20 g
【금기】
蛔厥腹痛이 아니면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檳榔 苦楝皮 등을 配合하여 蟲積腹痛에 응용
화충환 化蟲丸《太平惠民和劑局方》 治小兒疾病多有諸蟲 或因腑臟虛弱而動 或因食甘肥而動 其動則腹中疼痛 發作腫聚 往來上下 痛無休止 亦攻心痛 叫哭閤眼 仰身撲手 心神悶亂 嘔噦涎沫 或吐淸水 四肢羸困 面色靑黃 飲食雖進 不生肌膚 或寒或熱 沉沉嘿嘿 不的知病之去處. 其蟲不療 則子母相生 無有休止 長一尺則害人.
: 胡粉炒 鶴虱去土 檳榔 苦楝根去浮皮 各五十兩 白礬枯十二兩半. 上爲末 以麵糊爲丸 如麻子大. 一歲兒服五丸 溫漿水入生麻油一‧二點 調勻下之 溫米飲下亦得 不拘時候. 其蟲細小者皆化爲水 大者自下.
② 하충환 下蟲丸《醫宗金鑑》 治蛔疳
: 苦楝根皮新白者佳酒浸焙 木香 桃仁浸去皮尖 綠包貫衆 蕪荑焙 雞心檳榔各二錢 輕粉五分 鶴虱炒 一錢 乾蝦蟆炒黑,三錢 使君子取肉煨 三錢. 上爲末 麵糊成丸 如麻子大 每服二十丸 滾白水下.
③ 안충산 安蟲散《小兒藥證直訣》 治小兒蟲痛.
: 胡粉炒黃 檳榔 川楝子去皮核 鶴虱炒各二兩 白礬鐵器熬一分 乾漆炒煙盡二分 雄黃一分 巴豆霜一分.上爲細末 每服一字 大者半錢. 溫米飲調下 痛時服.
④ 웅사환 雄砂丸《醫學入門》 善殺諸蟲
: 鶴虱 蕪荑 乾漆 殭蠶各三錢 貫衆 酸石榴皮各五錢 硃砂 雄黃 雷丸 甘遂各一錢半. 爲末 米粉煮糊 爲丸麻子大. 每十丸五更時粥飲下 或加麝香少許 尤妙.
⑤ 십미노회환 十味蘆薈丸《東醫寶鑑》引《醫學入門》 治諸疳殺虫 和胃止瀉 退熱
: 胡黃連 雷丸 蘆薈 蕪荑 木香 靑黛 鶴虱 黃連各五錢 蟬退十箇 麝香五分. 右爲末 猪膽汁浸 糕和丸麻子大 米飮下二三十丸
⑥ 추풍산 追風散《瑞竹堂經驗方》 治諸般牙疼
: 貫衆 鶴虱 荊芥穗以上各等分. 上爲㕮咀. 每用二錢 加川椒五十粒 用水一碗 煎至七分 去滓 熱漱吐去藥立效.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15-6.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82-3.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7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