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고련피(苦楝皮) Meliae Cortex

고련피(苦楝皮) Meliae Cortex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苦楝皮《名醫別錄》

【생약명】 Meliae Cortex

【이명】 楝皮《頭門方》 楝根木皮《本草綱目》

【약성가】 楝根性寒追諸虫 能止疼痛積聚功

【기원】

멀구슬나무과(Meliaceae ; 楝科)에 속한 낙엽교목인 멀구슬나무(楝 ; 川楝) Melia azedarach L.[= M. toosendan Siebold & Zucc.]의 樹皮 또는 根皮로, 봄과 가을에 껍질을 벗겨 曬乾하거나 粗皮를 제거하고 曬乾한다.

⊂ KHP, ChP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장미군(Rosids ; 蔷薇類植物)
       아욱군 (Malvids ; 錦葵類) – 진정장미군 II(Eurosids II ; 眞薔薇二類植物)
         무환자나무목(Sapindales ; 無患子目)
           멀구슬나무과(Meliaceae ; 楝科)

멀구슬나무(楝 ; 川楝) Melia azedarach L.

[ 멀구슬나무(楝 ; 川楝) Melia azedarach L. ]

【성상】

고련피(苦楝皮) Meliae Cortex

[ 苦楝皮 Meliae Cortex ]

구부러진 半管狀~管狀으로 길이 20~50㎝, 너비 3~10㎝, 두께 3~5㎜ 이다. 바깥면은 灰褐色이고 세로로 길게 찢어진 무늬와 가로로 된 피목이 있으며, 코르크층을 벗긴 것은 赤褐色이다. 꺾은 면은 黃白色으로 섬유성이며 질은 단단하나 꺾기 쉽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쓰다.

【산지】

우리 나라 남부지방에서 생산된다.

【성분】

멀구슬나무의 수피 중에는 terpenoid 성분으로 toosendanin, kulinone, kulactone, kulolactone, methylkulonate 등이 함유되어 있고, 그 밖에 anthraquinone 성분, β-sitosterol, n-trideca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목재 중에는 nimbolin A~B, fraxinellone, gedun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根에는 apigenin-5-O-β-D-galactopyranoside가 함유되어 있다.

川楝의 수피에는 toosendanin, isotoosendanin, adneoazedarachin A~D 등이 함유되어 있는데 근피 중의 toosendanin 함량이 수피 중의 함량보다 비교적 높다.

【작용】

주성분인 toosendanin의 작용으로 구충, 피부진균 억제, 중추억제, 신경-근육전달 차단, botulinum toxin 억제, 부정맥 억제, 장관수축 작용을 한다.

 

【성미】 性寒 味苦 微毒          【귀경】 肝小腸膀胱經

【효능】 驅蟲 療癬

【주치】 蟲積腹痛(蛔蟲 蟯蟲病) . 外治 疥癬瘙痒

【해설】

1. 驅蟲 : 苦寒有毒하여 장내기생충을 驅殺.

① 蛔蟲을 驅殺하는데 비교적 양호한 작용

② 驅殺하는 작용은 使君子보다 강하나 有毒하므로 장기복용은 忌

2. 療癬 : 外用하여 頭癬 疥癬 치료에 사용되기도 하였음

→ 현재는 구충약보다는 外用藥으로서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음

【포제】

生用하거나, 糯米와 같이 끓인 후 焙用한다.

【용량】

4.5~9g

【금기】

허약하거나 脾胃虛寒者는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연진탕 楝陳湯《萬病回春》 治小兒蛔蟲. 歌曰 : 蛔蟲出口有三般 口鼻中來大不堪 如或白蟲兼黑色 靈丹縱服病難安.
: 苦楝根皮二錢 陳皮 半夏 茯苓各一錢 甘草五分. 上銼一劑 生薑煎服.

② 만응환 萬應丸《景岳全書》 下諸蟲
: 檳榔五兩 大黃半斤 黑醜頭末 四兩 皂角不蛀者 十條 苦楝根皮一升. 上先將苦楝皮‧皂角二味 用水二大碗熬成膏子 搜和前三味爲丸 桐子大 以沉香‧雷丸‧木香各一兩爲衣 先用沉香衣‧後用雷丸‧木香衣. 每服三錢 四更時用砂糖水送下.

③ 벽금산 碧金散《世醫得效方》治蛔蟲‧寸白蟲.
: 苦楝根一兩 鶴虱 檳榔各半兩 豬牙皂角三梃燒灰 使君子仁半兩. 各搗細 羅爲末 好靑黛半兩 麝香一分. 上同研勻 每服一字. 用淡豬肉湯食前調.

④ 치회충방 治蛔蟲方《萬病回春》
: 苦楝根刮去外粗皮 取內白二兩 以水三碗 煮取一碗半 去渣. 用晚粳米三合煮粥 空心 先以炒肉一二片吃 引蟲向上 然後進藥粥一二口, 少頃 又吃一二口, 漸漸加一碗或二碗 其蟲盡下而愈.

⑤ 오선방 五仙方《萬病回春》 治諸蟲如神.
: 大黃四兩 皂角 雷丸 苦楝根各一兩 木香. 上爲末 酒糊丸. 每服三‧四十丸 茶下

⑥ 화충환 化蟲丸《太平惠民和劑局方》 治小兒疾病多有諸蟲 或因腑臟虛弱而動 或因食甘肥而動 其動則腹中疼痛 發作腫聚 往來上下 痛無休止 亦攻心痛 叫哭閤眼 仰身撲手 心神悶亂 嘔噦涎沫 或吐淸水 四肢羸困 面色靑黃 飲食雖進 不生肌膚 或寒或熱 沉沉嘿嘿 不的知病之去處. 其蟲不療 則子母相生 無有休止 長一尺則害人.
: 胡粉炒 鶴虱去土 檳榔 苦楝根去浮皮 各五十兩 白礬枯十二兩半. 上爲末 以麵糊爲丸 如麻子大. 一歲兒服五丸 溫漿水入生麻油一‧二點 調勻下之 溫米飲下亦得 不拘時候. 其蟲細小者皆化爲水 大者自下.

⑦ 오파산 吳婆散《蘇沈良方》 治小兒疳瀉不止 日夜遍數不記 漸漸羸瘦 眾藥不效者.
: 黃柏蜜炙 黃連微炒 桃根白皮各一分 木香 厚朴薑汁炙 丁香 檳榔各一錢 蕪荑去皮一分 沒石子一錢半 楝根白皮半分. 上為末 每服一字 三歲以上半錢 五六歲一錢 用紫蘇木瓜米飲調下 乳食前 一日三服. 予家小兒 曾有患瀉百餘日 瘦但有皮骨 百方不瘥. 有監兵鍾離君見之 曰 : 何不服吳婆散 立可瘥也. 予因問吳婆散何藥 曰古方也. 人家多有之 乃問求方. 合與兩三服便效. 又一孫男亦疳瀉 勢甚危困 兩服遂定. 若病深者 服一兩日間決瘥. 此藥若是疳瀉 無不驗者. 藥性小溫 暴熱瀉者 或不相當.

⑧ 황랍고 黃蠟膏 = 황사고 黃蜡膏《普濟方》卷二七六引《德生堂方》 治臁瘡
: 槐條 椿皮 桃條 楝條 柳條 荊芥. 上藥熬湯 不拘時以湯洗瘡 拭乾. 用黃蠟於紙上攤膏十個 將十層都拴於瘡上. 一日三次洗瘡 每次除去著瘡蠟紙一個 不候一月即愈.

⑨ 연근피환 楝根皮丸《太平聖惠方》 治傷寒䘌蝕下部 腹中㽲痛
:東引苦楝根白皮一兩銼 狼牙一兩 白礬灰一兩 豬膽三枚取汁用酒三合相和重湯煮如膏. 上件藥 搗羅為末 用豬膽膏和丸 如梧桐子大 每服食前 以桃枝湯下二十丸.

⑩ 세욕고삼탕 洗浴苦參湯《太平聖惠方》 治小兒疥及諸般瘡
: 苦參半兩 丹參半兩 苦楝根半兩 防風半兩去蘆頭 蒴藋根三兩. 上件藥 細銼和勻 以水一斗 煎至五升 濾去滓 於密室中洗浴兒 以故帛拭乾 即塗前膏.

(무명) 《普濟方》(出肘後方)治癮疹
: 楝皮 以水濃煎浴之 大效.

(무명) 《衛生易簡方》 治疥瘡
: 苦楝根醋磨塗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12-3.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