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사군자(使君子) Combreti Fructus

사군자(使君子) Combreti Fructus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使君子1《開寶本草》

【생약명】 Combreti Fructus 또는 Quisqualis Fructus

【이명】 五睖子《藥材資料匯編》 留求子《南方本草狀》 史君子《藥普》 川君子 建君子

【약성가】 使君甘溫治諸蟲 消疳淸濁瀉痢功

【기원】

사군자과(Combretaceae ; 使君子科)에 속한 덩굴성떨기나무인 사군자(使君子) Combretum indicum (L.) DeFilipps [= Quisqualis indica L.]의 果實로, 가을에 果皮가 흑자색으로 변할 때 채취하여 건조.

⊂ KHP, ChP, THP, DPRKP

 속씨식물군(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장미군(Rosids ; 蔷薇類植物)
       진정장미군 II(Eurosidis II ; 眞蔷薇一類植物) – 아욱군(Malvids ; 錦葵類植物)
        도금양목 (Myrtales ; 桃金孃目)

사군자(使君子) Combretum indicum (L.) DeFilipps

[ 사군자(使君子) Combretum indicum (L.) DeFilipps ]

【성상】

사군자(使君子) Combreti Fructus

[ 使君子 Combreti Fructus 또는 Quisqualis Fructus ]

… 質은 단단하고 횡단면은 여러 개의 5각 별모양을 나타내며 능각부분은 조금 두껍고 중간은 둥글고 비어 있다. 종자는 한 개가 있고 긴타원형 또는 방추형이며 길이 약 2㎝, 지름 0.5∼1㎝ … 여러 개의 세로주름이 있다. … 약한 향기가 있고 맛은 조금 달다. 크고 흑자색의 광택이 있고 종자의 절단면은 황백색인 것이어야 한다.

【산지】

인도 원산. 중국의 華南(廣東 廣西 福建 臺灣 海南島), 華中(湖南 江西 湖北), 西南(四川 貴州 雲南) 등에서 생산

【성분】

과실에는 tannin 성분으로 quisqualin(A, Bv), 2,3-(S)-HHDP-D-glucose, pedunculagin, punicalagin, eugeniin, 1-desgalloyleugeniin, casuariin, 5-desgalloylstachyurin, castalagin 및 gallotannin 성분 등이 함유. 종자에는 quisqualic acid, potassium quisqualate, D-mannitol 등이 함유. 지방유는 23.9%로, 그 중에는 myristic acid, palmitic acid 등이 함유. 과육에는 trigonelline, citric acid, succinic acid, malic acid 등이 함유.

【작용】

· 蛔蟲을 살충(potassium quisqualate), 마비시키는 작용
· 피부진균을 억제

 

【성미】 性溫 味甘     【귀경】 脾胃經

【효능】 驅蟲 消積 (健胃)

【주치】 治蟲積腹痛(蛔蟲 蟯蟲病) 小兒疳積 乳食停滯 腹脹 瀉痢

【해설】 《本草正義》 … 能助飲食之運化 而疏導腸中積滯 且富有脂液 所以滑利流通.

1. 驅蟲 消積

① 驅蟲의 要藥으로서 회충으로 인한 일반적인 증상에 응용

② 小兒疳積으로 面黃肌瘦하고 肢細腹大한 경우에 응용

2. 熱茶와 복용시의 부작용(呃逆, 眩暈, 嘔吐 등)이 에 대하여

 ① 使君子의 溫性과 熱茶의 溫性이 중첩되어 嘔吐가 유발된다고 설명

 ② 使君子의 以毒治毒의 작용이 茶의 解毒 작용으로 무력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

→ 茶의 이뇨작용이 사군자의 작용을 방해하여 약효를 저하시킴

3. 甘味가 있어 볶아서 복용하면 小兒에 더욱 좋다(治小兒百病)

→ 약성이 완만하고 독성이 적고 맛이 달기 때문에 사용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음

4. 脾胃虛弱者의 경우 嘔逆 眩暈 嘔吐 腹瀉 등의 부작용 우려

: 淸水나 米湯을 飮服하거나 甘草를 씹고 또는 丁香의 泡湯을 頻服하여 해독

【포제】

使君子의 生品은 냄새가 독하고 역겨우므로 대개 炒用함

【용량】

(3)9~12(20) g

【금기】

熱茶와 同用하면 呃逆 眩暈 嘔吐 腹瀉 등의 부작용이 일어난다고 문헌에 기재되었으므로 주의. (구충이 목적일 때에는) 일반적으로 瀉藥없이 單用으로 복용하는데 多量 복용은 禁

【배합례】

① 온장환 溫臟丸《方藥合編》引《東醫寶鑑》 蟲積 旣逐 而復生者 多由臟氣虛寒 宜溫健脾胃
: 人參 白朮 白芍藥酒炒焦 白茯苓 川椒 當歸 各四兩 細榧 使君子肉,煨 檳榔 各二兩 乾薑 吳茱萸炮,各一兩. 左末 神麯糊丸 梧子大 每五七十丸 飢時 白湯下. 加桂心 烏梅 亦可. 臟寒加 附子. 臟熱加 黃連.

② 비아환 肥兒丸《太平惠民和劑局方》 治小兒疳病者 多因缺乳 食吃太早所致, 或因久患臟腑 胃虛蟲動 日漸羸瘦 腹大發豎 不能行步 面黃口臭發熱 面無精神 此藥殺蟲進食.
: 神麯 黃連去須,各十兩 肉豆蔻麵裹,煨 使君子去皮 麥糵炒,各五兩 檳榔不見火,細銼,曬,二十個 木香二兩. 上爲細末 豬膽爲丸如粟米大. 每服三十丸 量歲數加減 熟水下 空心服. 一方黃連‧神麯‧使君子各一兩 檳榔‧肉豆蔻各半兩 木香二錢. 麵糊丸如蘿蔔子大 熟水吞下.

③ 사군자산 使君子散《醫宗金鑑》 治蛔疳
: 使君子瓦上炒爲末 十個 苦楝子泡去核 五個 白蕪荑 甘草膽汁浸一宿 各一錢. 上爲末 每服一錢 水調服.

포대환 布袋丸《補要袖珍小兒方論》 治疳疾 面黃腹大 飲食不潤肌膚, 小兒丁奚 哺露 無辜疳
: 夜明砂煉淨 蕪荑炒,去皮 使君子肥白者,微炒,去皮,各二兩 白茯苓去皮 白朮無油者,去皮 人蔘去蘆 甘草 蘆薈硏細,各半兩. 上爲細末 湯浸蒸餅爲丸 如彈子大. 每服一丸 以生絹袋盛之, 次用精豬肉二兩 同藥一處煮 候肉熟爛 提取藥於當風處懸掛 將所煮肉並汁令小兒食之. 所懸之藥 第二日仍依前法煮食 藥盡爲度.

⑤ 하충산 下蟲散《古今醫鑑》 治大人‧小兒腹內有蟲.
: 使君子一錢 去殼 檳榔一錢 雄黃五分. 上爲末 每服大人二錢 苦楝根煎湯下.

(무명) 《萬病回春》 治蟲
: 使君子火煨十個 去熱. 水送下. 其蟲盡出.

⑦ 구회탕 驅蛔湯《臨證醫案醫方》 治腸蛔蟲症
: 使君子6g炒香 炒榧子9g 烏梅3g 鶴虱6g 胡黃連6g 檳榔9g 香附6g 厚朴6g 甘草3g. 以上爲5歲兒童用量. 水煎服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11-2.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73-5.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76-7.


 




각주

  1. 처음에 郭使君이 이것으로써 소아의 병을 많이 치료하였다 하여 명명됨 《本草綱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