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장 구충약(驅蟲藥)
강의요약. 의식주 여건이 좋지 않았던 옛날에는 기생충으로 고통받았다. 그래서 고대부터 각 지역에는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구충약이 있기 마련이었다. 특히, 인구수가 중요한 생산지표였기 때문에 질병에 저항력이 약한 소아의 기생충 감염은 중요하게 다뤄졌다. 그러나 간편한 구충약이 발달한 현재에는 본래의 목적보다는 완만한 사하약이나 외용약 등으로 전용되고 있다.
1. 驅蟲藥 : 장내의 기생충을 驅除하거나 殺蟲시키는 약물
① 殺蟲: 대개 毒性이 있으며 以毒攻毒의 원리에 따른 것이 많음.
② 安蛔(安中) : 人蔘 乾薑과 같은 약물로 溫中
③ 潛蟲 : “得酸味伏蟲”에 의거한 약물로 烏梅가 대표적임
→ 고대에 驅蟲의 목적으로 쓰였던 약물은 현재 완만한 瀉下藥이나 각종 外用藥 등으로 전용하여 응용하는 추세임
2. 적응증 : 주로 회충, 요충, 조충, 구충 등으로 인하여
① 초기 : 臍腹痛時作時止, 不思飮食, 善飢多食, 嗜食異物 등
② 후기 : 面色萎黃, 形體消瘦 등
3. 배합
便秘에는 瀉下藥을, 積滯에는 消導藥을, 脾胃虛弱에는 健脾藥을 配合
4. 주의사항
① 기생충의 종류를 고려하여 선용
┌ 蛔蟲 : 使君子 + 苦楝根皮 雷丸 蕪荑 鶴虱 貫衆 등
├ 蟯蟲 : 榧子 + 鶴虱 南瓜子 등
└ 鉤蟲 條蟲 : 檳榔 + 貫衆 雷丸 南瓜子 등
② 환자의 증상, 체질의 강약을 고려하여 선용
e.g. 正氣虛弱者 孕婦 老弱환자 등은 愼用 혹은 禁用
③ 체질이 허약한 경우에는 先補後攻하거나 또는 功補를 같이 병행
④ 구충약은 일반적으로 독성이 있으므로 정해진 용량을 준수
5. 대표약물
사군자(使君子) Combreti Fructus 또는 Quisqualis Fructus
고련피(苦楝皮) Meliae Cortex
빈랑자(檳榔子) Arecae Semen
뇌환(雷丸) Laccocephalum 또는 Omphalia
학슬(鶴虱) Carpesii Fructus
비자(榧子) Torreyae Semen
무이(蕪荑) Ulmi Semen Pasta
관중(貫衆) Crassirhizomae Rhizoma
【참고】 제4급감염병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감염병예방법 : 시행 2020. 9. 12)
: 제1급감염병부터 제3급감염병까지의 감염병 외에 유행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본감시 활동이 필요한 23종의 감염병
○ 요충증 [蟯蟲症] 장내에 기생하는 요충 Enterobius vermicularis에 의한 감염증
: 주로 소아에게 다발. 항문 근처에서 알을 낳기 때문에 밤이면 항문에 심한 가려움증을 일으킴. 보통 구강을 통해서 감염.
○ 회충증 [ascariasis, 蛔蟲症] : 장(腸)의 회충 Ascaris lumbricoides이 사람과 다른 포유동물에게 일으키는 감염.
: 오염된 음식과 토양에 있는 회충의 알을 섭취하여 감염(소장 → 폐 → 뇌)
○ 조충병 [cestodiasis, 條蟲病] = 촌충감염 : 사람이나 기타 동물의 장내에 기생하는 납작한 띠 모양의 조충에 의한 감염증
: 신체조직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유충을 생산
① 장조충병 : 성충이 장내에 살면서 알을 생산하여 사람의 분변과 함께 배출되어 다른 동물에 기생
② 체성조충병: 유충이 신체 장기에 병변 유발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11.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72-3.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