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내금(鷄內金) Galli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 수강생에게 강의자료를 제공키 위해 임시로 올립니다. 강의요약 및 도판, 배합례 등은 나중에 보충 예정입니다.
【본초명《출전》】 鷄內金《神農本草經》
【생약명】 Galli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이명】 鷄肶胵裡黃皮《本經》 鷄肫內黃皮《日華子》 鷄肶胵《千金要方》 鷄肫皮《滇南本草》 雞食皮 雞合子 雞中金 化石膽 化骨膽
【약성가】 鷄內金寒溺精澁 噤痢崩漏更除熱
【기원】
꿩과(Phasianidae ; 雉科)에 속한 닭 Gallus gallus domesticus (Linnaeus, 1758)의 모래주머니 內膜
⊂ KHP, ChP, THP, DPRKP
※ 鴨內金(집오리의 모래주머니)가 유통되므로 주의.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동물계 (Animalia ; 動物界)
척삭동물문 (Chordata ; 脊索動物門)
조강 (Aves ; 鳥綱)
닭목 (Galliformes ; 鷄形目)
꿩과 (Phasianidae ; 雉科)
[ 鷄內金 Galli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
【성상】
주머니모양으로 불규칙하게 말려있거나 오그라져 있는 원형의 조각으로 형태가 일정치 않으며 반투명하고 물결모양의 주름이 있다. 표면은 황색 또는 황갈색으로 너비 3~5㎝, 두께 0.2~0.3㎝로서 얇다. 質은 가볍고 딱딱하며 부서지기 쉽다. 절단면은 각질상으로 광택이 있다. 비린내가 조금 나고 맛은 조금 쓰다.
※ 대표적인 위품인 鴨內金과의 비교는 여기를 참조.
【산지】
전국 각지에서 사육
【성분】
Ventriculin, keratin, 미량의 pepsin, diastase, 다종의 vitamin 등
【작용】
· 위액분비(烘品砂燙品>生品) 촉진
· 방사성 스트론튬 배설촉진, 동맥경화 억제 작용
【성미】 性平 味甘 【귀경】 脾 胃 小腸 膀胱經
【효능】 健胃消食 澁精止遺
【주치】 食積不消 嘔吐瀉痢 小兒疳積 遺尿 遺精
【해설】
1. 健胃消食 : 消導하는 작용이 비교적 강함 → 食積 치료 → 健胃 → 止瀉
(소화효소 부족으로 인한 소화불량에 응용)
2. 固精縮尿: 遺尿 遺精 小便頻數등에 응용
※ 成人遺尿 : 加味縮泉丸 (烏藥 益智炒 川椒去目並合口者出汗 吳茱萸9蒸9曬 鷄內金 桑螵蛸 覆盆子 各等分 上爲細末 酒煮面糊爲丸 如梧桐子大 每服50-60丸 臨臥鹽湯送下)
※ 小兒遺尿 : 六味地黃丸(熟地黃4錢 山藥3錢 山茱萸2錢 白茯苓 牧丹皮 澤瀉各1.5錢) 加 鷄內金 桑螵蛸 覆盆子 各1錢
3. 化堅消石(生用) : 尿路結石과 膽囊結石에도 응용
4. 炒炭 硏末하여 口瘡에 塗敷하기도 함
5. 鴨內金(오리의 胃內膜)도 消食化積하나 공정서에 수재되지 않은 비규격품임.
【포제】
微炒해서 분말로 沖服1. 煎湯하기도 한다.
【용량】
3~9g
【금기】
胃火가 盛한 사람은 복용을 忌한다
【배합례】
① 山楂 麥芽 등을 配合하여 食積不化로 脘腹이 脹滿한 證에 응용
화적산 化積散《北京市中藥成方選集》 消食滯 化痞積. 小兒宿食不化 積滯痞塊 面色萎黃 不思飮食 腹大膨脹.
: 山楂炒 麥芽炒 神麴炒 檳榔炒 雞內金炒 二丑炒,各500g. 共爲細末. 每服3g 加糖少許 溫開水沖服 一日二次.
② 金錢草를 配合하여 泌尿器系의 結石과 膽結石에 응용
금석오령산 金石五苓散《우수경험방집》 治尿路結石
: 澤瀉9.375g 鷄內金 石葦 金錢草 冬葵子 海金沙 滑石 牛膝7.5g 白朮 猪苓 赤茯苓5.625g 肉桂 1.875g.
③ 계비치산 鷄肶胵散《萬病回春》 治小兒遺尿.
: 雞膍胵一具 雞腸一具 燒存性 豬泡炙焦. 上爲末 每服一錢 黃酒調服. 男用雌女用雄.
④ 대토사자원 大兎絲子元《東醫寶鑑》引《世醫得效方》 治脬氣虛寒 小便不禁
: 兎絲子酒製 肉蓯蓉酒浸,各二兩 牡蠣煆 五味子 附子炮 鹿茸酒灸,各一兩 桑螵蛸酒灸 鷄肶胵灸,各五錢. 右爲末 酒糊和丸 梧子大 空心溫酒 或鹽湯下 七十丸.
⑤ 용향원 茸香丸 = 용향원 茸香元2《仁齋直指方論》 治下焦虛冷 尿多 或虛勞遺尿 或欲出而不禁.
: 鹿茸酥炙 肉蓯蓉酒浸 焙 當歸各半兩 雞內金七錢半 微炙 龍骨 牡蠣灰 赤石脂 禹餘糧煅 醋淬 碎爲度 各研細 川白姜 益智仁 巴戟 乳香各二錢半. 上細末 糯米糊丸桐子大. 每服七十丸 空心 鹽湯下.
⑥ 녹용환 鹿茸丸《丹溪心法》 治腎虛消渴 小便無度
: 鹿茸一兩 蜜炙 沈香 附子炮 各半兩 菟絲子制 一兩 當歸 故紙炒 茴香炒 胡蘆巴炒 各半兩. 上爲末 酒糊丸. 每七十丸 空心鹽酒下.
⑦ 백복령환 白茯苓丸《成方切用》 治腎消 因中消之後 胃熱入腎 消爍腎脂. 令腎枯燥 遂致此疾. 兩腿漸細 腰腳無力. 腎消即下消 乃上消中消之傳變 飮一溲二 溲如膏油. 王注曰:肺主氣 氣無病 則氣能管束津液 其精微者 榮養筋骨血脈 余者爲溲. 肺病則津液無氣管攝 而精微者亦隨溲下如膏油也.
: 茯苓 黃連 花粉 萆薢 熟地黃 覆盆子 人參 元參一兩 蛇床子七錢五分 雞膍胵 音皮鴟即雞肫皮,三十具微炒 石斛七錢五分. 蜜丸 磁石湯送下.
⑧ 계내금산 鷄內金散《東醫寶鑑》引《必用》 治喉閉單雙蛾
: 臘月鷄肶胵裏黃皮陰乾細末一錢 菉豆粉三錢. 右生蜜和作三丸噙化神效
⑨ 취후산 吹喉散《萬病回春》 治一切咽喉腫痛 並喉舌垂下腫痛者.
: 膽礬 白礬 朴硝 片腦 山豆根 辰砂 先將雞䐜內黃皮焙燥 共前藥研爲極細末 用鵝毛管吹藥入喉即效.
⑩ 염창산 斂瘡散《仁齋直指方論》 (治癰疽)
: 軟滑石 花蕊石 雞內金各半兩 白芨三錢半 白蘞二錢半 虢丹煅 滴乳香各一錢. 上滑石花蕊石炭燒通紅 碗覆泥地一伏時 爲細末 次入余藥末研和 乾摻 神妙
⑪ 인아산 人牙散《仁齋直指方論》 治漏瘡惡瘡. 生肌. 里欲干則用.
: 人牙 油發各燒存性 雄雞內金各等分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09-10.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68-70.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99-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