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장 소식약(消食藥)
강의요약. 소식약(消食藥)은 크게 두 분류로 나뉜다.
첫째는, 소화약(消化藥)이다. 뱃속에 들어간 음식물의 변화를 원활케 유도하는 변화시키는데 장점이 있는 약물이 이에 속한다. 3대 영양소를 분해하는데 필요한 효소를 함유하거나 적절한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약물이기도 하다.
둘째는, 소도약(消導藥)이다. 섭취한 음식물이 장내에 오래 머물러 문제를 일으키고 있을 때 빠르게 배출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물이다. 이는 기체(氣滯)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소식약뿐만 아니라 이기약(理氣藥)의 일부가 이 목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1. 消食藥
: 飮食積滯로 발생하는 병변(胸腹脹滿, 不思飮食, 噯氣呑酸, 惡心嘔吐, 大便失調 등 證)을 消化促進 또는 消積導滯를 통해 健胃和中시켜 치료하는 약물
┌ 消化促進 ┬ 健運脾胃 : 消導藥 + 消化藥
└ 消積導滯 ┘
단, 연관된 臟腑의 虛實을 고려한 辨證 處方에 배합하여 응용하는 경우가 많음
2. 配伍
① 脾胃에 寒이 있는 자 : 溫中散寒 藥物
② 濕濁이 內에 阻滯된 자 : 芳香化濕藥物
③ 脾胃에 氣가 阻滯된 자 : 行氣藥
④ 大便이 秘結한 자 : 瀉下藥
⑤ 食積이 熱로 化하였을 때 : 淸熱藥
⑥ 脾胃가 虛弱한 자 : 健胃補脾藥
3. 대표약물
Crataegi Fructus |
消積(肉類) + 散瘀 |
散瘀에는 炒用 |
|
Massa Medicata Fermentata |
消積(麵類) + 解表 |
약한 解表 |
|
Hordei Fructus Germinatus |
消積(穀類) + 回乳 |
乳量↓ |
|
Oryzae Fructus Germinatus |
消積(穀類) + 養胃 |
|
|
Raphani Semen |
消積除脹 降氣化痰 |
生鮮膾, 損氣 |
|
Galli Gigeriae Endothelium Corneum |
健胃消食 固澀止遺 |
소화효소 부족 |
※ 참고
1. 食滯
① 實 : 飮食停滯 → 腐熟 → 脹滿, 噯氣, 失氣 → 實滯 : 消積
(위산분비과다 → 위점막자기소화 → 급성위염)
② 虛 : 胃腸運動不足 → 痞滿, 噯氣, 失氣 : 助胃 助酸
(위산분비부족 → 위산결핍증 → 만성위염)
2. 胃下垂症 : 脾胃升陽하여 치료
① 腹診時 명치끝이 들어감 ② 前頭痛 ③腹部에서 振水音이 난다
④ 自汗 疲勞 ⑤ 食後飽滿感
3. 脾와 胃, 肝膽에 따른 소화불량의 구분
① 脾 : 반드시 二便의 변화를 동반 四肢에 대한 자각증상 증가
② 胃 : 實證일 경우 心口痛이 있고, 虛證일 경우 中脘 부위 촉진시 無力
③ 肝膽 : 實證일 경우 七情의 변화가 급격한 경력이 있으며, 虛證일 경우 勞倦傷을 동반(특히 筋과 目)
④ 腎?
⑤ 心?
⑥ 肺?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404.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856.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