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삼차신경통과 위풍증(胃風證), 그 두 번째 의안.


 ※ 여기의 처방은  문헌에 근거하여 한의학 고유의 변증체계와 배합원리를 적용하여 구성한 것이므로 응용하는 질환의 특성상 한의사의 정확한 변증없이 임의로 사용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무자격자가 임의로 처방할 경우 의료법 및 약사법에 의거하여 처벌받을 수 있으며, 임의 복용 후 발생하는 부작용은 온전히 자신이 책임져야 합니다. 또한, 자격자가 이 처방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처방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으며 한의사가 사용할 수 없는 제제 개발에 활용할 수 없음을 분명히 밝힙니다.


Reported by 이금산. 포라메디카닷넷.

 첫 번째 의안(醫案)에서는 두면부의 울혈이 원인인 삼차신경통 사례를 소개하였습니다. 이번에는 대상포진바이러스가 원인인 삼차신경통의 사례입니다.

 앞의 의안에서 언급하였듯 한의학에서는 삼차신경통을 ‘위풍증(胃風證)’으로 분류합니다. 《동의보감》은 풍열독기(風熱毒氣)로 인한 위풍증 증상을 ‘어떤 사람이 코와 관자놀이가 아프거나 마비되어 감각이 없기도 하며, 귀밑머리와 광대뼈부터 입술과 잇몸까지 붓고 아파서 입을 벌릴 수 없고, 이마와 광대뼈에 늘 풀을 발라 놓은 것처럼 당기고 손이 닿기만 해도 아파한다.1’는 다른 의서의 상세한 묘사를 인용해 두었습니다.

 여기에서의 풍열독기(風熱毒氣)란 운동 또는 감각기능 이상이 있다는 점에서 풍(風), 화끈거리거나 붉어지는 등의 열적인 증상이 있으므로 열(熱), 그 증상이 이루 말할 수 없이 심하다는 의미에서 독(毒), 어떠한 기운이 영향을 끼쳤다는 의미에서 기(氣)라는 의미입니다. 단, ‘어떠한 기운’은 외부와 내부,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즉, 한의학에서는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것이 아니더라도 위와 같은 증상과 더불어 통증이 극심하다면 풍열독기(風熱毒氣)라 칭하기도 합니다. 치료의 접근 방식이 다르기 때문2입니다.

  삼차신경통의 원인 중 외상을 제외한 외부의 요인으로 가장 흔한 것이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varicella-zoster virus; VZV)3입니다. 이 바이러스가 삼차신경을 침범하여 견디기 힘든, 일명 ‘천하제일통(天下第一痛)’을 일으키며 심하면 구안와사라고 알려진 안면신경마비를 초래4하기도 합니다.

  두 번째 의안은 2024년 6월 초 풍열독기(風熱毒氣)로 인한 위풍증(胃風證)으로 입이 돌아갈 뻔한 상황을 순수하게 한약과 약침만으로 자가 치료한 내용입니다.

 

1. 경과 및 치료

  삼차신경통으로 인식한 6월 5일(수) 오후부터 8일(토) 오전까지의 급성기에는 한약치료만 했으며, 그 이후부터 11일(화)까지의 완해기에는 한약과 약침 치료를 병행하였습니다.

  통증 정도는 NRS(Numeral Rating Scale)로 표기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2 : 미미한 통증.
3~4 : 간헐적인 통증. 빵이나 바나나 정도는 섭취 가능.
5~6 : 지속적인 통증. 부드러운 음식(죽)을 우물거리며 섭취할 정도.
7~8 : 지속적이고 쑤시는 통증. 죽을 먹기도 힘듦.
9~10 : 위아래 이빨이 살짝 맞닿기만 해도 극심한 통증 (수면 어려움).

   ① 6월 4일 (화)

· 오전 : 척추의 좌측으로 약간 치우쳐 약하게 콕콕 쑤시는 느낌이 있었음. 목 뒤편에 작은 경결이 있었는데 피곤하면 두피에 생기는 두드러기쯤으로 생각함.

· 저녁 8시 전후 : 양측 상하 치통. 며칠 전 치과에서 잇몸치료를 받았기에 잇몸붓기로 생각하고 갈근해기탕엑스를 1포 복용한 뒤 퇴근.

   ② 6월 5일 (수)

· 새벽 : 치통 때문에 깨서 갈근해기탕엑스+황련해독탕엑스 복용 후 다시 취침

· 오전 8시 : 우측 치통은 거의 소실됨. 좌측 치통은 그대로. 출근 전 타이레놀 복용.

· 오전 9시 : 강의 시작 전까지 타이레놀 약효 없음. 강의 중 좌측 입천장부터 인후까지 동통 증가.

· 오전 11시 : NRS 8. 강의 종료 후 편도선이 붓나 싶어, 정오 즈음 은교산가감을 전탕하기 시작.

銀翹散加減(이하 ‘A방’) – 편도선이 부을 것이라 예상하고 만든 처방.

金銀花 2
香附子 玄參 1.5
連翹 梔子 1
桔梗 柴胡 0.7
薄荷後下 甘草 0.5
石膏 升麻酒洗 0.3
竹瀝 0.1mL

· 오후 1시 : NRS 10. 씹을 수가 없어서 호박죽을 먹고 전탕이 끝나길 기다리며 나프록센 1알 복용.

· 오후 2시 : A방의 전탕이 끝날 때 즈음, 좌측 턱의 대영혈 인근과 염천혈 옆으로 림프절 경결 촉진

   → 풍열독기로 인한 위풍증으로 진단.

  일단, A방를 복용한 뒤 犀角升麻湯加減 전탕을 학생에게 맡김. 안되는 줄 알면서도 5분여 정도 얼음팩한 뒤 연구실에서 낮잠.

犀角升麻湯加減(이하 ‘B방’)

升麻酒洗 1.2
牡丹皮 牛蒡子炒 玄參 釣鉤藤後下 1
金銀花 白殭蠶 南星製 0.7
葛根 石膏 蠶羌 黃芩 0.5
蜀椒去目 日川芎 阿膠 甘草 0.3

· 오후 4시 30분 : NRS 8. 인후통은 약간 가라앉았으나 림프절 경결은 여전하고 치통은 약간. 전탕이 끝나지 않아서 A방 1팩 복용

· 오후 6시 : 실습 강의 쉬는 시간에 B방 1포 복용.

· 오후 7시 20분 : NRS 6. 동통 경감되었음을 느낌. 호박죽 먹은 뒤 B방 1포 더 복용

· 오후 10시 : NRS 6. B방 1포 복용 후 퇴근.

   ③ 6월 6일 (목)

· 오전 7시 : NRS 8. B방 1포 복용 후 다시 취침.

· 오전 10시 : NRS 9. 한약 일부를 바꿔 들고 와서 어쩔 수 없이 A방와 갈근해기탕엑스 2포 복용.

· 정오 : NRS 10. 협거혈부터 귓속까지 동통. 犀角升麻湯加減 전탕. 일부 약재가 집에 없어서 있는 것으로 어찌어찌 대체하여 조방. 흰쌀죽 삼킴.

犀角升麻湯加減(이하 ‘C방’)

升麻酒洗 1.2
牡丹皮 牛蒡子炒 玄參 梔子 水牛角 1
金銀花 連翹 白殭蠶 半夏 荊芥穗 0.7
葛根 石膏 蠶羌 黃芩 0.5
日川芎 甘草 0.3

· 오후 2시 : 물 조절 실패해서 900mL 산출. 2시간마다 복용하기로 함. C방 복용.

· 오후 4시 : NRS 8. A방+C방 복용.

· 오후 6시 : NRS 7. 흰쌀죽 섭취. C방 복용.

· 오후 9시 : NRS 7. A방+C방 복용.

· 오후 11시 : NRS 7. 좌측 어금니 잇몸 붓기 심함. C방 복용.

   ④ 6월 7일 (금)

· 새벽 1시 : NRS 6. C방 복용. 좌측 어금니 잇몸 붓기 심함. 안되는 줄 알면서도 어쩔 수 없이 얼음찜질. 당 부족으로 어지러워 우유+도넛1개+바나나1개 섭취.

· 새벽 3시 : NRS 6. C방 복용. 좌측 어금니 잇몸 붓기 심함. 수면

· 새벽 5시 : NRS 6. 아파서 일어남. C방 + 은교산엑스 + 갈근해기탕엑스 복용한 뒤 수면

· 오전 10시 : NRS 5. 좌측 어금니 잇몸 부종 내림(잇몸이 혀뿌리에 닿지 않음). 대영혈 인근 림프절 경결 있으나 아프진 않음. 염천혈 양측의 림프절은 경결있고 만지면 통증있으며 뻐근함. 출근

· 정오 : NRS 5. 학교에 두고 갔던 B방 2포 중 1포 복용.

· 오후 1시 : NRS 3. 정오에 복용 후 1시간 정도 지나니 턱을 움직이기 편해졌고 가만히 있으면 동통 없어질 정도로 경감됨. 이제 급성기가 끝나가는 중이라 판단하지만, 혹시 모르니 B방를 2~3일 더 복용 예정.

→ 이후 4시간 마다 B방 1포 복용. 자정 인근에 1포 복용 후 수면

   ⑤ 6월 8일 (토)

· 오전 10시 : 늦잠. 일어나자마자 B방 1포 복용. 활동한지 30분 정도 지나니 통증 심해지기 시작

· 오전 11시 : NRS 6.

· 정오 : NRS 7. B방 1포 복용

· 오후 3시 : NRS 5. 좀 줄어드는 듯 하더니 오후 3시 넘어가니 약간 증가

→ B방의 약효 지속시간은 약 3시간이라 판단. 준비해 온 약이 모자랄 듯하여 고민하다가 엑스제제를 추가로 복용하기로 함.

· 오후 4시 : 갈근해기탕+은교산엑스 추가 복용

· 저녁 8시 : NRS 5. 저녁을 죽으로 때우고 B방 1포 복용.

· 저녁 9시 : 얼굴에 땀이 줄줄 나기 시작함. 瞳子髎, 頰車, 翳風, 水金, 水土, 大迎, 率谷부터 귀 주위 4개혈에 硫黃藥針 자침. 그 뒤 5분여가 지나지 않아 NRS 4로 동통 곧바로 감소.

· 자정 : NRS 3. B방 1포+갈근해기+은교산엑스 동시 복용

   ⑥ 6월 9일 (일)

· 새벽 4~5시 : NRS 3. B방1포+갈근해기+은교산엑스 동시 복용 후 다시 취침

· 오전 10시 : NRS 3. B방1포+갈근해기+은교산엑스 동시 복용

· 정오 : NRS 4. 상동

· 오후 2시 : NRS 3. 상동.

삼차신경 상악/하악 분지쪽으로 대상포진의 흔적이 남아 있음을 확인함.

· 오후 6시 : NRS 3. 상동

· 오후 10시 : NRS 3. 상동

   ⑦ 6월 10일 (월)

· 새벽 2시 : 상동. 잠이 오질 않아 소설 읽다가 B방 1포+갈근해기+은교산엑스 복용 후 취침.

· 오전 7시 : NRS 2. 동통 없어졌음. 좌측 혀뿌리와 볼 쪽으로 약간 마목감 남음. B방 1포+갈근해기+은교산엑스 복용 후 출근

· 오후 1시 : NRS 2. B방 1포 복용

· 오후 4시 : NRS 2. 원광대 한방재활과(하원배 교수)에서 硫黃藥針 & 고주파 온열 치료 받음. 측두근 및 하악 침샘 쪽에 포진이 약간 남아 있음을 확인.

· 오후 6시 : NRS 1. B방 1포 복용.

· 오후 9시 : NRS 1. B방 1포 복용.

· 자정 : NRS 1. B방 1포 복용.

   ⑧ 6월 11일 (화)

· 오전 7시 : NRS 0. 통증은 사라졌으나 좌측 볼 인근의 감각이 약간 둔함.

→ 6시간 간격으로 B방 1포 복용.

 

  다음 날부터는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일을 점차 줄였고, 월말까지 조심스레 생활하였습니다. 당 학기에 급작스레 강의 범위가 무지막지하게 늘어나 쫓기듯 지낸 탓이 아닌가 싶어 모종의 결심도 했습니다.

 

2. 추천 처방

  위에서 사용한 B( ~ C)방의 약효 지속시간은 약 3 시간 전후로 추정합니다. 약효 지속시간을 늘리고 일 4 ~ 6 회로 복용 횟수를 줄이려면 1.5 ~ 2 배를 사용함이 좋습니다. 즉, 3 ~ 4 첩을 1 일분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이를 반영한 처방을 아래에 제시합니다.

  또한 위에서는 硫黃藥針을 사용하였으나 蜂藥針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여러 임상의의 전언이 있었습니다.

   1) 한약

犀角升麻湯加減

升麻酒洗 1.2(~2.4)
蠶羌活 葛根 釣鉤藤粉末, 後下 1(~1.5)
連翹 牡丹皮 關防風 0.7(~1)
關白附 白殭蠶 廣只殼 桔梗 條芩 0.5(~0.7)
柴胡 中國藁本 阿膠 蜀椒去目 0.3(~0.5)

* 5g을 1錢. 2첩을 일 4(~6)회 복용. 단, 한약 단독 투여시 괄호 안의 용량을 사용하고 복용 횟수를 늘림.

* 귓속 체온이 37도를 초과하면 金銀花 石膏 추가
* 하악침샘 또는 편도 등이 단단하면 牛蒡子 추가
* 마목 또는 경직감이 있으면  南星竹瀝 추가하고 白殭蠶 증량
* 환부에 작열감이 있으면 玄參 추가
* 얼굴부종이 심하면 連翹 葛根 증량
* 완골 아래 림프가 부어있으면  釣鉤藤 증량

   2) 약침

瞳子髎, 耳門, 聽宮, 頰車, 翳風, 水金, 水土, 大迎, 率谷, 天衝, 浮白, 頭竅陰, 完骨 등

 

3. 고찰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로 인한 삼차신경통은 약 2주에 걸쳐 나타나며, 운이 없으면 안면신경마비라는 후유증을 남기기도 합니다.

  이 질병을 앓으며 ‘세상에서 첫째가는 통증(天下第一痛)’으로 ‘자살하고 싶은 만큼 괴로운 병(suicide disease)’이라는 말이 절대 과장된 말이 아님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질환에 대해서 犀角升麻湯의 효과는 이미 널리 알려졌으므로 별도의 자세한 설명은 필요가 없을 듯합니다. 이 처방이 바이러스를 직접적으로 없애지는 못한다는 것은 자명합니다. 그러나 陽明經의 發散을 통해 두면부의 鬱滯를 해소한다는 점은 확실합니다. 6월 8일 저녁, 약침을 맞기 전후에 얼굴에 땀이 줄줄 난 뒤로 증상이 급격히 완화되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첫 번째 의안은 인체의 내부적인 요인으로 두면부의 울혈이 생겨 신경을 압박한 것을 해소한 예이고, 두 번째 의안은 바이러스라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신경이 심하게 자극된 상황에서 양명경락(陽明經絡)을 위주로 한약으로 강하게 이완5시키고 울혈을 해소하여 해당 부위의 압박을 줄이고 면역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든 예입니다. 이는 현대 의학에서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가 원인이라 하여 항바이러스제 위주로 치료하는 것과는 다른 방식입니다.

  한방치료가 급성보다는 만성 질환에 효과적이라는 인식은 흔한 오해 중 하나입니다. 그 옛날의 고려, 조선에도 있었던 급성 질병이 지금도 있기 마련입니다. 즉, 분자생물학이 발달하며 재분류되었을 뿐이지 옛날부터 있던 병은 아직도 대부분 존재합니다. 위의 위풍증(胃風證)도 그에 속합니다. 옛부터 전해져오는 치료법이 쌓이고 정리되어 지금에도 유효한 치료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사회 분위기상 위 질병을 겪는 환자가 필자처럼 한방치료만을 고집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렇다고 할지라도 위에서 언급하였듯 다른 방향의 치료이기 때문에 한방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덜 고통받는 방법이라 단언합니다.

 

덧글. 응급실에 가는 대신 한의학으로 자가 치료를 하게 된 이유는 복합적입니다. 가장 증상이 심했던 6월 6일은  휴일(현충일)이라 전공의 사태로 의료 인력이 부족한 응급실에서 하염없이 기다릴 수도 있었다는 점도 하나의 이유입니다. 그러나 가장 큰 이유는 여러 의서에 증상과 치료법이 꾸준히 반복적으로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록되었다는 점, 과거에 집안 어르신의 같은 질환에서 한약이 큰 역할을 했다는 점6, 무엇보다 이미 보고된 한방임상사례가 풍부하다는 점 등이 중요한 이유라 할 수 있습니다. 치료가 끝난 며칠 뒤 다른 일로 평소 친분이 있는 의대 교수님과 짤막하게 위 상황을 얘기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항바이러스제 없이 한약을 배가 터지게 복용하고 나았다고 말씀드리니 ‘어차피 면역이 약해서 생기는 거니 한약으로 가능할 수도 있겠다. 그래도 빨리 회복해서 다행이네.’라고 말씀하십니다. ‘직접적으로 면역력을 강화시킨 것은 아니고 …’라고 설명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이었습니다만, 이미 나은 질병은 뒷켠으로 미뤄놓고 전화하신 교수님의 어깨로 다시 주제를 옮기고 맙니다.

 

4. 참고처방 (가나다 순)

   ○ 갈근해기탕 葛根解肌湯《東醫寶鑑》引《醫鑑》 治陽明經病 目疼鼻乾 不得臥 宜解肌

: 葛根 柴胡 黃芩 芍藥 羌活 石膏 升麻 白芷 桔梗各一錢 甘草五分. 右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

   ○ 구중탕 救中湯 = 촉초구중탕 蜀椒救中湯《溫病條辨》

卒中寒濕 內挾穢濁 眩冒欲絕 腹中絞痛 脈沉緊而遲 甚則伏 欲吐不得吐 欲利不得利 甚則轉筋 四肢欲厥 俗名發沙. 又名乾霍亂. 轉筋者 俗名轉筋火. 古方書不載(不載者不載上三條之俗名耳 若是證當於金匱腹滿腹痛心痛寒疝諸條參看自得)蜀椒救中湯主之. 九痛丸亦可服. 語亂者先服至寶丹 再與湯藥.

: 蜀椒炒出汗,三錢 淡乾薑四錢 厚朴三錢 檳榔二錢 廣皮二錢. 水五杯 煮取二杯 分二次服. 兼轉筋者 加桂枝三錢 防己五錢 薏仁三錢. 厥者加附子二錢.

   ○ 서각승마탕 犀角升麻湯《東醫寶鑑》引《直指》 治陽明胃經風熱毒

: 犀角一錢半 升麻 羌活 防風各一錢 川芎 白附子 白芷 黃芩 甘草各五分. 右剉作一貼 水煎 食後臨臥各一服.

   ○ 사간통후탕 射干通喉湯《이금산경험방》 治小兒喉痺

 金銀花 連翹 1.2錢 
 玄參 牛蒡子炒 1錢
 桔梗 黃芩 板藍根 菊花 薄荷後下 7分
 芍藥 射干米泔水沈 白殭蠶麩炒 5分
 蟬蛻 甘草炒 3分

   上剉作二貼 煎後 日數回分服.

若兼便結 加大黃(後下) 地黃
若兼發熱7 增蟬蛻 白殭蠶麩炒 加蚯蚓酒炙
若兼喀痰 加貝母 天花粉 百部根
若兼雙乳蛾 加夏枯草 荊芥穗
若兼鬱煩 加鬱金 梔子

   ○ 은교산 銀翹散《溫病條辨》

: 連翹一兩 銀花一兩 苦桔梗六錢 薄荷六錢 竹葉四錢 生甘草五錢 芥穗四錢 淡豆豉五錢 牛蒡子六錢.

上杵為散 每服六錢 鮮葦根湯煎 香氣大出 即取服 勿過煎. 肺藥取輕清 過煎則味厚而入中焦矣. 病重者 約二時一服 日三服 夜一服, 輕者三時一服 日二服, 夜一服, 病不解者 作再服. 蓋肺位最高 藥過重 則過病所 少用又有病重藥輕之患 故從普濟消毒飲時時清揚法. 今人亦間有用辛涼法者 多不見效 蓋病大藥輕之故 一不見效 隨改弦易轍 轉去轉遠 即不更張 緩緩延至數日後 必成中下焦證矣. 胸膈悶者 加藿香三錢‧鬱金三錢 : 護膻中, 渴甚者 加花粉, 項腫咽痛者 加馬勃‧元參 衄者 去芥穗‧豆豉 加白茅根三錢‧側柏炭三錢‧梔子炭三錢, 咳者 加杏仁利肺氣, 二‧三日病猶在肺 熱漸入里 加細生地‧麥冬保津液, 再不解或小便短者 加知母‧黃芩‧梔子之苦寒 與麥‧地之甘寒 合化陰氣 而治熱淫所勝.

    ○ 은교백호탕 銀翹白虎湯《이금산경험방》

苦桔梗 1.5
金銀花 連翹 浙貝母 玄參 1
生地黃 天花粉 白花前胡8 葛根 薄荷後下 0.7
石膏麤末 條芩 甘草 麥芽 0.5
溫鬱金 杏仁 牧丹皮 牛蒡子 0.3
竹瀝 1mL




각주

  1. 《東醫寶鑑》引《直指》 一人患鼻額角痛 或麻痺不仁 脣口 頰車 髮際 連牙腫痛 口不得開 額與頰車常如糊繩 手觸則痛 此陽明經絡 受風熱毒氣而然宜犀角升麻湯
  2. 자세한 내용은 아래 ‘3.고찰’의 설명을 참조.
  3. = 사람 알파헤르페스바이러스 3 (Human alphaherpesvirus 3; HHV-3)
  4.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로 인해 안면이 신경이 마비되어 입이 돌아가면 ‘람세이헌트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5. 한의학에서는 이를 두고 ‘發散을 통한 解肌’라 표현합니다.
  6. 발병초기에 귀 뒤편으로 포진을 확인하여 항바이러스제와 한약을 병용투여하였고, 별다른 후유증없이 1주일도 되지 않아 회복하셨습니다.
  7. 39 ℃ 전후의 高熱 또는 근육통을 동반할 때에는 石膏를 가함
  8. 또는 植防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