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고본(藁本) Conioselini Rhizoma et Radix

고본(藁本) Conioselini Rhizoma et Radix

강의요약. 미나리과(Apiaceae)에 딸린 고본(細葉藁本) 및 중국고본(藁本), 요고본(遼藁本)의 땅속줄기와 뿌리를 ‘고본(藁本)’이라 하여 약용한다. 국내 시장에서는 앞에서부터 순서대로 한고본(韓藁本), 중국고본(中國藁本), 요고본(遼藁本)이라 부르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중국고본(中國藁本)을 서고본(西藁本)이라 하고 요고본(遼藁本)을 북고본(北藁本)이라 하며, 일본에서는 이 둘을 묶어 당고본(唐藁本)으로 통칭한다. 이렇게 명칭도 혼란스러운데 약재 모양까지 백지(白芷)나 천궁(川芎)과 비슷하여 예로부터 임상응용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한 본초이다.

  고본(藁本)의 응용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 두통(頭痛)을 완화할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두통 중에서도 목 뒤편으로부터 시작한 뻣뻣함이 너무 심하여 머리 꼭대기까지 아픈 경우에 효과적이다. 그래서 ‘전정동통(顚頂疼痛)의 요긴한 약(要藥)’이라고도 한다. 많은 경우 강활(羌活)이나 만형자(蔓荊子), 백지(白芷) 등의 해표약(解表藥)과 함께 사용하였다. 그러나 인체의 수분대사가 정체되어 유발된 두통이라면 창출(蒼朮)과 함께 사용하였으며, 혈허(血虛)가 원인인 두풍(頭風)에는 보혈약(補血藥)을 군약으로 구성한 뒤 고본(藁本)을 가미하여 응용하는 등 배합을 통해 허실을 가리지 않고 다양한 두통에 두루두루 사용하였다.

  둘째, 몸의 뒤편(~복부)에 자리한 근육의 긴축이 너무 심하여 나타난 각종 동통(疼痛)과 마목(痲木), 비증(痺證)을 완화할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몸 뒤편에 가장 넓게 분포한 경근이 족태양방광경근(足太陽膀胱經筋)이므로 ‘태양본경(太陽本經)의 요긴한 약(要藥)’이라고 한다. 실증으로 인한 경우엔 각종 해표약(解表藥)과 거풍습약(祛風濕藥)과 함께 사용하고, 허증으로 인한 경우엔 각종 보익약(補益藥)과 함께 사용한다. 한편, ‘寒濕이 腸胃를 侵犯하여 나타나는 腹痛泄瀉에 응용’한다는 내용이 있으나, 이는 고본(藁本)이 지사(止瀉)한다는 것이 아니라 지통(止痛)을 위해 사용되었다고 봄이 옳다.

  셋째, 안압 상승 및 코막힘, 잇몸 통증, 안면신경마비 등처럼 얼굴에 나타난 증상을 완화할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작용 기전은 위 2개의 응용과 크게 다르지 않다. 즉, 긴축된 근육을 발산하여 이완시킨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다만, 앞의 강활(羌活)에 비해 진통 효과는 적지만 목 위쪽에 자리한 여러 근육을 발산이완시키는 작용이 상대적으로 뛰어나다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얼굴의 다양한 증상에 응용하였다. 예를 들면, 비갑의 부종을 가라앉히고 진정시킬 경우에는 연교(連翹) 및 승마(升麻)와 함께 사용하였다. 특히, 기육(肌肉)에 울체된 기혈과 그로 인한 열증을 해소하는데 사용하는 백지(白芷)나 갈근(葛根), 석고(石膏) 등과 배합하여 얼굴의 마목감이나 안압상승, 잇몸통증에 사용한 예는 주목할만 하다.

  넷째, 다양한 자궁질환에 사용하였다. 이 경우엔 대부분 천궁(川芎)과 함께 사용하였는데, 이는 천궁의 자궁수축작용을 보조하면서 진통의 효과를 얻기 위한 배합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뾰루지나 액취 같은 피부질환에 외용제로 활용하였다. 이는 고본(藁本)에 함유된 정유 성분의 피부진균억제 작용을 활용한 예라 볼 수 있다.

  최근 식물분류학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앞의 3가지 고본(藁本)과 당천궁(唐川芎)의 기원식물은 모두 미나리과(Apiaceae)의 산천궁속(Conioselinum)에 속한다. 특히, 현재(2024년 기준) 식물분류학에서는 古代에 중국고본(中國藁本)을 품종화시킨 것이 당천궁(唐川芎)이라고 보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위의 응용 중 당천궁(唐川芎)이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주치증은 점차 고본(藁本)에서 제외되고 발산지통(發散止痛)과 연관된 주치증이 남아 발산풍한약으로 자리잡게 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수 또는 상사 배합을 통해 효과를 최대한 높이고 부작용은 최소화하는 배합을 선호한다면 위의 세 번째, 네 번째 응용을 눈여겨 봄이 좋다.

 

【본초명《출전》】 藁本1《神農本草經》

【생약명】

Conioselini Rhizoma et Radix

① 韓藁本 : Conioselini Tenuissimi Rhizoma et Radix 또는 Ligustici Tenuissimi Rhizoma et Radix , Angelicae Tenussimae Rhizoma et Radix

② 中國藁本 (西藁本) : Conioselini Sinensis Rhizoma et Radix 또는 Ligustici Sinensis Rhizoma et Radix

③ 遼藁本 (北藁本) : Conioselini Smithii Rhizoma et Radix 또는 Ligustici Jeholensis Rhizoma et Radix

【이명】

藁茇《山海經》 鬼卿《本經》 地新《本經》 山茝《廣雅》 蔚香《廣雅》 微莖《別錄》 土芎 茶芎

【약성가】

藁本氣溫祛風能 兼治寒濕顚頂疼

【기원】

미나리과(Apiaceae ; Umbelliferae ; 傘形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인 고본(細葉藁本)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2 또는 중국고본(藁本) C. anthriscoides (H.Boissieu) Pimenov & Kljuykov3, 요고본(遼藁本) C. smithii (H.Wolff) Pimenov & Kljuykov 4 의 根莖 및 根

→ 순서대로 韓藁本, 中國藁本(西藁本), 遼藁本(北藁本)이라 부름

→ 최근 식물분류학연구가 활발하여 분류계급의 변화가 심함. 기존 분류에 따른 학명은 각 학명의 주석 참조.

⊂ KHP, ChP, THP, Non-JPS, DPRKP
     ※ ChP, THP, Non-JPS,  : 藁本 C. anthriscoides 및 遼藁本 C. smithii 만 인정
     ※ DPRKP : 고본(細葉藁本) C. tenuissimum 만 인정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
   진정쌍떡잎식물군(Eudicots ; 眞雙子叶植物)
     핵심진정쌍떡잎식물군(Core eudicots ; 核心眞雙子叶植物)
       국화군(Asterids ; 菊類植物)
         진정국화군 II(euasterids II ; 眞菊二類植物) – 초롱꽃군(Campanulids ; 桔梗類植物)
           미나리목(Apiales ; 傘形目)
             미나리과(Apiaceae ; Umbelliferae ; 傘形科)

고본(細葉藁本)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Ligusticum tenuissimum (Nakai) Kitag.]

[ 고본(細葉藁本) Conioselinum tenuissimum (Nakai) Pimenov & Kljuykov [= Ligusticum tenuissimum (Nakai) Kitag.] ]

 

중국고본(藁本) Conioselinum anthriscoides (H.Boissieu) Pimenov & Kljuykov [= Ligusticum sinense Oliv.]

[ 중국고본(藁本) Conioselinum anthriscoides (H.Boissieu) Pimenov & Kljuykov [= Ligusticum sinense Oliv.] ]

 

요고본(遼藁本) Conioselinum smithii (H.Wolff) Pimenov & Kljuykov [= Ligusticum jeholense (Nakai & Kitag.) Nakai & Kitag.]

[ 요고본(遼藁本) Conioselinum smithii (H.Wolff) Pimenov & Kljuykov [= Ligusticum jeholense (Nakai & Kitag.) Nakai & Kitag.] ]

 

【성상】

한고본 韓藁本 Conioselini Tenuissimi Rhizoma et Radix

[ 韓藁本 Conioselini Tenuissimi Rhizoma et Radix ]

 ① 韓藁本(細葉藁本) : 고르지 않게 갈라진 긴 원주형이고 길이 5~9㎝ 지름 0.2~2cm이며, 표면은 黃棕色 또는 회갈색이고 質은 단단하다. 根莖부분은 덩어리모양이고 윗쪽에 줄기의 殘基가 남아 있으며, 뿌리부분은 여러개가 주먹모양으로 감겨있고 質이 약하여 자르기 쉽다. 단면은 황백색이며 꺼칠꺼칠하고 중심부에 황색점이 있다. 중심부가 비어 있는 것도 있다.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매우며 약간 떫다.

중국고본 中國藁本 (西藁本) Conioselini Sinensis Rhizoma et Radix

[ 中國藁本 (西藁本) Conioselini Sinensis Rhizoma et Radix ]

② 中國藁本 (西藁本) : 불규칙한 결절상의 원주형으로 조금 구부러져 가지가 갈라졌으며 길이 3~10㎝ 지름 2.5~4㎝이고 마디사이는 뚜렷하지 않다. 표면은 암갈색 또는 자갈색으로 거칠고 세로주름이 있으며, 윗부분에는 여러개의 움푹하게 들어간 지름 0.5∼1cm의 圓形 줄기殘基가 있고, 아랫부분에는 여러개의 點狀으로 돌기된 根痕과 殘根이 있다. 뿌리는 꼬인 나무조각모양이다. 體는 가볍고 비교적 단단하나 절단하기 쉽고, 단면은 황색 또는 황백색으로 섬유상이고 찟긴 틈새가 있으며 황갈색의 점을 볼 수 있다. 향기가 강하고 맛은 맵고 쓰며 약간 얼얼하다.

요고본 遼藁本 (北藁本) Conioselini Smithii Rhizoma et Radix

[ 遼藁本 (北藁本) : Conioselini Smithii Rhizoma et Radix ]

③ 遼藁本 (北藁本) : 전체적으로 비교적 작고 불규칙한 원주형 혹은 뭉쳐진 덩어리모양이며 대부분 가지가 갈려있고 길이 1∼10cm 지름 0.5∼2cm이다. 표면은 짙은 黃棕色∼회갈색이고 거칠다. 根莖의 윗부분에는 1개 또는 여러개가 모여있는 지름 0.3∼0.5cm의 圓形 줄기殘基가 남아 있는데 중심부가 비어있다. 아랫부분에 다수의 가늘면서 길고 굴곡되어 있는 뿌리가 있다. 質이 약하여 자르기 쉽고, 단면은 황백색∼담갈색이고 섬유상이며 찟겨진 틈새가 있고 갈색의 점을 볼 수 있다. 특유한 냄새가 짙게 나고 맛은 맵고 쓰며 약간 얼얼하다.

 3종 모두, 크고 향기(미나리와 비슷한 냄새)가 진한 것을 上品으로 하고 있다. 특히 고본(細葉藁本)은 겉이 밝은 갈색으로 단면의 중심부에 황색점(油點)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산지】

① 韓藁本(細葉藁本) : 한국 및 중국의 東北(遼寧 吉林 만주)에 분포.

② 中國藁本 (西藁本) : 중국의 華中(湖北 湖南 江西), 西北(陜西 甘肅), 西南(四川 雲南), 華北(河南 河北), 華東(山東 浙江 安徽) 등에 분포

③ 遼藁本 : 중국의 華北(河北 山西), 東北(遼寧 吉林), 華東(山東) 등에 분포

【성분】

① 韓藁本(細葉藁本) : 휘발성 정유 성분인 butylidene phthalide, 3-butylidene-4,5-dihydrophthalide, L-limonene 등을 함유

② 中國藁本 (西藁本) : 휘발성 정유 성분 0.85% 함유. 이 중 주성분은 neocnidilide(25%), limonene(14.44%), cnidilide(10.78%), 4-terpineol(8.0%) 등. Terpene에는 ligustiphenol, ligustilone 등이 있고, 그 밖에 3-butylidene-4,5-dihydrophthalide, dimethyl-p-phthalate, senkyunolide A,G,H,I, Z-6,8′,7,3′-diligustilide 등을 함유

③ 遼藁本 (北藁本) : 휘발성 정유 성분 1.3% 함유. 이 중 주성분은 phellandrene(33.32%), 4-terpinyl acetate(13.82%), myristicin(9.05%), ligustilide(6.23%) 등.

【작용】

· 진통, 진경, 중추신경 억제(ligustilide, ferulic acid), 간손상 억제(myristicin) 작용
· 피부진균의 억제작용

 

[ 주영승 명예교수(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의 본초학 강의, ‘고본(藁本)’편 ]

 

【성미】 性溫 味辛     【귀경】 膀胱經

【효능】 祛風 散寒 除濕 止痛

【주치】 風寒感冒(夾濕) 巓頂疼痛 風濕肢節痺痛

【해설】

發散散寒止痛(辛溫) +入膀胱經 = 外感風寒으로 인한 頭痛에 효과가 뛰어남.

특히, 顚頂疼痛의 要藥 & 太陽本經要藥

1. 祛風 散寒 除濕 止痛

① 外感風濕으로 인한 肢體痹痛, 頭痛項强, 四肢酸重하는 證을 치료

② 霧露山嵐으로 頭疼項强한 경우에 응용

③ 一切 頭痛에 新舊左右를 막론하고 사용

④ 寒濕이 腸胃를 侵犯하여 나타나는 腹痛泄瀉에 응용

2. 기타

① 血虛로 인한 頭風에 응용

② 內外瞖障 鼻塞 牙齒疼痛 등의 두면부 질환에 응용

③ 婦人無子 崩漏 등의 자궁질환에 응용

④ 風刺, 牙痛, 胡臭 등에 외용

cf. 頭痛 ┌ 須用 川芎 (風寒, 風濕)

          ├ 太陽頭痛 : 項背連痛 用羌活蔓荊子  若有顚頂頭痛 加藁本

          ├ 陽明頭痛 : 前額 · 眉陵骨痛 用白芷

          ├ 少陽頭痛 : 寒熱往來 用柴胡

          ├ 太陰頭痛 : 腹滿 · 自汗 用半夏蒼朮

          ├ 少陰頭痛 : 腦齒連痛 用細辛

          └ 厥陰頭痛 : 巓頂 · 頭角牽引痛 用吳茱萸

【포제】

洗淨해서 潤透後에 切片하여 曬乾用한다.

【용량】

4~12g.

【금기】

血虛頭痛에는 服用을 忌한다.

【배합례】

① 羌活 獨活 防風 등을 配合하여 外感風濕으로 인한 肢體痺痛, 頭痛項强, 四肢酸重에 응용
강활승습탕 羌活勝濕湯《內外傷辨惑論》 肩背痛不可回顧者 此手太陽氣鬱而不行 以風藥散之. 脊痛項強 腰似折 項似拔 此足太陽經不通行 以羌活勝濕湯主之.
: 羌活 獨活以上各一錢 藁本 防風 甘草 川芎以上各五分 蔓荊子三分. 上㕮咀 都作一服 水二盞 煎至一盞 去渣 大溫服 食後. 如身重 腰沉沉然 經中有寒濕也 加酒洗漢防己五分 輕者附子五分 重者川烏五分.

② 강활방풍탕 羌活防風湯《素問病機氣宜保命集》 治破傷風邪. 初傳在表.
: 羌活 防風 川芎 藁本 當歸 芍藥 甘草各一兩 地榆 華細辛各二兩. 上㕮咀 每服五七錢 水一盞半 同煎至七分 去滓熱服 不拘時候 量緊慢加減用之. 熱則加大黃二兩 大便秘 則加大黃一兩 緩緩令過.

③ 목향보명단 木香保命丹《東醫寶鑑》引《御藥院方》5 治中風一切諸證
; 木香 白附子 桂皮 杜冲 厚朴 藁本 獨活 羌活 海東皮 白芷 甘菊 牛膝酒浸 白花蛇酒炒 全蝎 威靈仙酒洗 天麻 當歸 蔓荊子 虎骨酒浸酥炙 天南星漿水煮 防風 山藥 甘草酥炙 赤箭各五錢 朱砂七錢半,半爲衣 麝香一錢半. 右爲末蜜丸 彈子大 朱砂爲衣 每一丸 細嚼 溫酒送下

④ 보구만전고 普救萬全膏《醫學心悟》 治一切風氣 走注疼痛 以及白虎歷節風 鶴膝風 寒濕流注 癰疽發背 疔瘡瘰癧 跌打損傷 腹中食積痞塊 多年瘧母 頑痰瘀血停蓄 腹痛泄利 小兒疳積 女人癥瘕諸症 並貼患處。咳嗽瘧疾 貼背脊心第七椎. 予制此膏普送 取效神速. 倘貼後起泡出水 此病氣本深 盡為藥力拔出 吉兆也 不必疑懼 記之 記之.
:藿香 白芷 當歸尾 貝母 大楓子 木香 白蘞 烏藥 生地 蘿蔔子 丁香 白芨殭蠶 細辛 蓖麻子 檀香 秦艽 蜂房 防風 五加皮 苦參 肉桂 蟬蛻 丁皮 白鮮皮 羌活 桂枝 全蠍 赤芍 高良薑 元參 南星 鱉甲 荊芥 兩頭尖 獨活 蘇木 枳殼 連翹 威靈仙 桃仁 牛膝 紅花 續斷 花百頭 杏仁 蒼朮 艾絨 藁本 骨碎補 川芎 黃芩 麻黃 甘草 黑山梔 川烏附子 牙皂 半夏 草烏 紫荊皮 青風藤以上各一兩五錢 大黃三兩 蜈蚣三十五條 蛇蛻五條 槐枝 桃枝 柳枝 桑枝 楝枝 榆枝 楮枝以上各三十五寸 男人血餘三兩. 以上俱浸油內 真麻油十五斤 用二十兩秤稱 松香棕皮濾淨 一百斤 百草霜細研 篩過 十斤. 冬浸九宿 春秋七宿 夏五宿 分數次入鍋 文武火熬 以藥枯油黑 滴水成珠為度 濾去渣 重稱 每藥油十二兩 下濾淨片子松香四斤 同熬至滴水不散 每鍋下百草霜細末六兩 勿住手攪 俟火候成 則傾入水缸中 以棒攪和成塊 用兩人扯拔數次 瓷缽收貯 治一切風寒濕氣 瘡疽等症 其效如神. 

⑤ 통기방풍탕 通氣防風湯《內外傷辨惑論》 肩背痛 汗出 小便數而少 風熱乘肺 肺氣鬱甚也 當瀉風熱則愈 通氣防風湯主之.
: 防風 羌活 陳皮 人參 甘草以上各五分 藁本 青皮以上各三分 白豆蔻 黃柏以上各二分 升麻 柴胡 黃耆以上各一錢. 上㕮咀 都作一服 水二盞 煎至一盞 去渣 溫服 食後. 如面白脫色 氣短者 不可服.

⑥ 강활궁고탕 羌活芎藁湯《審視瑤函》 治太陽經頭風頭痛 夜熱惡寒
: 半夏薑汁炒 杏仁去皮尖 羌活 藁本 川芎 防風 白茯苓 甘草 白芷 麻黃 陳皮 桂枝各等分. 上藥銼末. 水煎服.

⑦ 화해산 和解散《太平惠民和劑局方》 治男子婦人四時傷寒頭痛 憎寒壯熱 煩躁自汗 咳嗽吐痢.
: 厚朴去粗皮,薑汁炙 陳皮洗 各四兩 藁本 桔梗 甘草各半斤 蒼朮去皮 一斤. 上同爲粗末. 每服三錢 水一盞半 入生薑三片 棗二枚 煎至七分 不計時候 熱服.

⑧ 蒼朮 川芎 白芷 細辛 羌活을 配合하여 外感風寒으로 인한 頭痛과 巓頂疼痛에 응용
신출산 神朮散《太平惠民和劑局方》 治四時瘟疫 頭痛項強 發熱憎寒 身體疼痛 及傷風鼻塞聲重 咳嗽頭昏 並皆治之.
: 蒼朮米泔浸一宿,切,焙,五兩 藁本去土 香白芷 細辛去葉土 羌活去蘆 川芎 甘草炙,各一兩. 上爲細末. 每服三錢 水一盞 生薑三片 蔥白三寸 煎七分 溫服 不拘時. 如覺傷風鼻塞 只用蔥茶調下.

 

⑨ 가감궁신탕 加減芎辛湯《古今醫鑑》(秘方) 治頭風攻目
: 川芎 白芷 石膏 藁本 細辛 皂角 羌活 防風 荊芥 桔梗 薄荷 甘草 菊花 蔓荊子. 上銼 水煎 食後服.

⑩ 보혈거풍탕 補血祛風湯 = 양혈거풍탕 養血祛風湯6《古今醫鑑》 (秘方) 治婦人頭風 十居其半 每發必掉眩 如立舟車之上 蓋因肝血虛損 風邪乘虛而襲之耳.
: 當歸 川芎 生地黃 防風 荊芥 細辛 藁本 蔓荊子 半夏 石膏 甘草 旋覆花. 上銼 薑棗煎 食後服. 一方加羌活

⑪ 당귀보혈탕 當歸補血湯《東醫寶鑑》引《古今醫鑑》 治血虛頭痛
: 生乾地黃酒炒 白芍藥 川芎 當歸 片芩酒炒各二錢 防風 柴胡 蔓荊子各五分 荊芥 藁本各四分. 右剉作一貼 水煎服

⑫ 제풍익손탕 除風益損湯《原機啟微》 治目爲物傷 (~及血虛頭痛)
: 熟地黃 當歸 白芍藥 川芎各一錢 藁本 前胡 防風各七分. 作一服 水二盞 煎至一盞 去滓 大熱服.

 

⑬ 청상사화탕 淸上瀉火湯《東醫寶鑑》引《蘭室祕藏》 治熱厥頭痛
: 柴胡一錢 羌活八分 酒黃芩 酒知母各七分 酒黃栢 灸甘草 黃芪各五分 生地黃 酒黃連 藁本各四分 升麻 防風各三分半 蔓荊子 當歸身 蒼朮 細辛各三分 荊芥穗 川芎 生甘草各二分 酒紅花一分. 右剉作一貼 水煎服.

⑭ 시호복생탕 柴胡復生湯《審視瑤函》 治紅腫羞明 淚多眵少 腦巔沉重 睛珠疼痛 應太陽眼睫無力 常欲垂閉 不敢久視 久視則痠痛 翳陷下 所陷者或圓或方 或長或短 或如縷如錐如鑿.
: 柴胡六分 蒼朮 白茯苓 黃芩各五分 白芍 甘草 蘇薄荷 桔梗各四分 羌活 獨活 蔓荊子 藁本 川芎 白芷各三分半 五味子二十粒. 上銼劑. 水二鍾. 煎至一鍾. 去渣. 食後熱服. 上方以藁本、蔓荊子爲君. 升發陽氣也. 川芎、白芍、羌活、獨活、白芷、柴胡爲臣. 和血補血療風. 行厥陰經也. 甘草、五味子爲佐. 爲協諸藥. 斂臟氣也. 薄荷、桔梗、蒼朮、茯苓、黃芩爲使. 爲清利除熱. 去濕分上下. 實脾胃二土. 療目中赤腫也. 此病起自七情五賊勞役飢飽. 故使元氣下陷. 不能上升. 今主以升發. 輔以和血補血. 導入本經. 助以相協收斂. 用以清利除熱實脾胃. 如此爲治. 理可推也. 睛珠痛甚者. 當歸養榮湯主之.

⑮ 신이산 辛夷散《嚴氏濟生方》 治肺虛 風寒濕熱之氣加之 鼻內壅塞 涕出不已 或氣息不通 或不聞香臭.
: 辛夷仁 細辛洗去土葉 藁本去蘆 升麻 川芎 木通去節 防風去蘆 羌活去蘆 甘草 白芷各等分. 上爲細末 每服二錢 食後茶清調服.

⑯ 청연산 淸淵散《晴崗醫鑑》 鼻流淸涕하며 鼻塞, 前頭痛, 鼻聲不爽한 데 쓰인다. 荊芥連翹湯의 變方으로 鼻塞症의 通氣劑로 많이 쓰인 處方이다.
: 荊芥穗一錢半 連翹 蒼朮 升麻 防風 羌活 藁本 川芎各一錢 薄荷 細辛 黃芩酒炒 白芷各七分 麻黃 甘草各五分 生薑三片 蔥白二本.

火鬱口渴 加 石膏 葛根各一錢
血虛 合 四物湯
寒熱鼻塞 加 柴胡一錢
鼻內瘙痒灼熱 加 生地黃 麥門冬 牛榜子各一錢
鼻熱 加 川黃連酒炒 梔子炒,各五分
腫熱成膿(蓄膿) 加 金銀花二錢

⑰ 백지위풍탕 白芷胃風湯《景岳全書》 治手足陽明經氣虛風熱 面目麻木 或牙關緊急 眼目瞤動.
: 白芷 升麻 各二錢半 葛根 蒼朮米泔炒,各八分 炙甘草 當歸各一錢半 草豆蔻 黃檗 柴胡 藁本 羌活 麻黃去節,各四分 蔓荊子 殭蠶各三分. 右水煎服.

⑱ 석고강활산 石膏羌活散《東醫醫鑑》引《入門》 治遠近內外瞖障 風熱昏暗 爛弦赤眼 倒睫拳毛 一切目疾
: 石膏(淸瞖墜疼) 羌活(腦熱頭風) 黃芩(洗心退熱) 藁本(頭風頭疼) 密蒙花(羞明怕日) 木賊(退瞖障) 白芷(淸利頭目) 蘿葍子(起倒睫) 細辛(疎風) 麻仁(起拳毛) 川芎(治頭風) 蒼朮(開鬱行氣) 甘菊(明目去風) 荊芥(目中生瘡) 甘草(解毒)各等分. 右爲末 每二錢 蜜湯調下 或第二洗泔水調下.

⑲ 안전백호탕 安全白虎湯《경희의료원처방집》 갑상선기능항진증7
: 葛根半兩 黃芩二錢 石膏 桔梗 藁本 升麻 甘草各一錢

⑳ 수풍산 漱風散《御藥院方》 治牙齒疼痛 並齦腫.
: 荊芥穗 藁本 細辛 香附子各等分. 上爲粗末 每用五錢 水一盞半煎至一盞 去滓 熱漱冷吐 不拘時候.

 

㉑ 승양제습탕 升陽除濕湯 《醫宗金鑑/婦科心法要訣》引《蘭室秘臧》 夾水水瀉不甚弱 調經升陽除濕湯 (《東醫寶鑑》治崩漏不止因脾胃虛而心包乘之故血漏而下)
: 黃耆 蒼朮 羌活各一錢五分 防風 藁本 升麻 柴胡 炙甘草各一錢 獨活五分 蔓荊子七分 當歸五分. 上㕮咀 水五大盞 煎至一大盞 去滓 稍熱服. 空心服畢 待少時 以早飯壓之.

㉒ 제음단 濟陰丹《東醫寶鑑》引《太平惠民和劑局方》 治婦人久冷無子 及數經墮胎 皆因衝任虛損 胞內宿挾疾病 經候不調 或崩漏帶下三十六疾 皆令孕育不成 以至絶嗣 亦治産後百病 令人有孕及生子 充實無病.
: 蒼朮八兩 香附子 熟地黃 澤蘭各四兩 人參 桔梗 蠶退 石斛 藁本 秦艽 甘草各二兩 當歸 桂心 乾薑 細辛 牧丹皮 川芎各一兩半 木香 白茯苓 京墨燒 桃仁各一兩 川椒 山藥各七錢半 糯米炒,一升 大豆黃卷炒,半升. 右爲末 煉蜜和勻 兩作六丸 每一丸 細嚼 溫酒 或醋湯 送下.

㉓ 승금환 勝金丸《古今醫統大全》治婦人久虛無子 及產前產後一切病患 兼治男子下虛無力. 此藥能安胎催生 妊娠臨月服五七丸 產時減痛. 婦人無孕 子宮冷 如服二十日 男女自至. 又治積年氣血 手足麻痹 半身不遂 赤白帶下 血如山崩 及治產後腹中結痛 吐逆心疼 子死腹中 繞臍作痛 氣滿煩悶 汗不出 月水不通 四肢浮腫無力 血勞虛勞 小便不禁 中風不語 口噤 產後痢疾 消渴 見鬼 迷暈 敗血上衝 寒熱頭疼 面色痿黃 淋瀝諸疾 血下無度 血痢不止 飲食無味 產後傷寒 虛煩勞悶 產後血癖 產後羸瘦. 凡婦人諸疾 不問年深日近 並宜服之. 又名不換金丸 又名女金丹.
: 當歸酒洗 芍藥 川芎 人參 白朮 白茯苓 炙甘草 白薇酒洗 白芷 赤石脂 牡丹皮 玄胡索 桂心 藁本 沒藥各一兩. 除石脂沒藥二味另研外 余皆二處磨羅 香附子醋浸三日 炒香曬乾爲末 一十五兩 上十六味爲末 煉蜜和丸如彈子大 銀器或瓷器封固收貯. 每取七丸 空心溫酒化下一丸 食乾物壓之. 服至四十九丸爲一劑 以癸水調平 受妊爲度. 妊中三五日服一丸 產後二三日服一丸 醋湯下尤妙.

cf. 《晴崗醫鑑》은 白薇를 白蘞으로 바꾸고 ‘옥약계영환(玉鑰啓榮丸)’이라 이름을 바꿔 수재한 뒤 ‘月經白調하고 飮食如常하며 動靜無碍하나 但, 胞宮陽衰하여 不姙하는 데 쓰인다.’고 하였다.

㉔ 보안환 保安丸《東醫寶鑑》引《御藥院方》 治産前産後諸疾.
: 生乾地黃另爲末 馬鳴退灸(卽蠶退紙)各一兩 赤茯苓 牡丹皮 白芍藥各七錢半 川芎 細辛 人參 肉桂 當歸 牛膝 白芷 木香 藁本 麻黃 澤蘭葉 附子 甘草 寒水石 防風 桔梗 蟬退各五錢 石茱萸 沈香各二錢半. 右爲末 蜜丸 彈子大 酒下一丸.

㉕ 전생활혈탕 全生活血湯《方藥合編》引《東醫寶鑑》 治崩漏過多 昏冒不省 此補血 養血 生血 益陽 以補手足厥陰
: 白芍藥 升麻各一錢 防風 羌活 獨活 柴胡 當歸身 乾葛 甘草各七分 藁本 川芎各五分 生地黃 熟地黃各四分 蔓荊子 細辛各三分 紅花一分.

 

㉖ 옥용서시산 玉容西施散《東醫寶鑑》引《醫林》 治面上一切酒刺風刺黑黶斑子
: 菉豆粉二兩 白芷 白芨 白蘞 白殭蠶 白附子 天花粉各一兩 甘松 三乃子 茅香9 藁本各二分. 上五味 㕮咀 以醇苦酒漬一宿 煎取汁敷之 欲敷取臨臥時 以差爲度.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166-7.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351-3.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747-8.


 




각주

  1. ‘根上苗下 似禾藁 故名槀本 本根也’이라 하여 뿌리 윗부분의 모습이 볏짚같은 모양이라 하여 이름 붙었음
  2. = Angelica tenuissima Nakai = Ligusticum tenuissimum (Nakai) Kitag.
  3. = Ligusticum sinense Oliv.
  4. = Ligusticum jeholense (Nakai & Kitag.) Nakai & Kitag.
  5. 治男子婦人體虛 腠開中風 牙齒噤‧口眼喎斜 手足偏枯 四肢拘攣‧屈伸不得‧麻痹不仁‧驚癇等病 遍身瘙癢疼痛 頭目昏暗 風入腹內拘急切痛 體如蟲行 心神恍惚 傷風瘴疫 偏正頭疼 風病 諸般冷氣 兼療男子‧婦人脾胃氣虛 或傷冷物心腹大痛 臟腑不調. 婦人產前產後中風病 壯熱體重 頭疼旋暈欲倒 氣閉血澀 月事不行. 此藥引血調養營衛 升降陰陽 補益五臟. 好飲之人酒煎一服 即發風動氣之物不能為患. 或中酒痰 作昏倦力乏 飲食減少 一服見效. 常服細嚼 溫酒‧茶清任下 不計時候. 如中風加薄荷湯化下 如不能咽者灌之 藥下立效. 若早晨一服 除諸風 永不患傷寒時氣壯熱. 壯元陽 理筋骨腿膝之患 化風痰快滯氣 溫脾胃進飲食. 小兒急慢驚風 薄荷湯下一皂子大. 如人才覺痰涎蓄滯 手足急麻 體腳緩弱乃是中風之兆 急服此藥 無不立愈之者.
  6. 《東醫寶鑑》은 養血祛風湯으로 이름을 바꿔서 인용하였음
  7. cyclic AMP와 갑상선글로불린의 조절을 통해 T4 합성을 억제
  8. 벼과(Poaceae)에 딸린 향모(sweetgrass) Anthoxanthum nitens (Weber) Y.Schouten & Veldkamp [= Hierochloe odorata (L.) P.Beauv.]各五錢 零陵香 防風 藁本各二錢 肥皂角二錠. 右爲細末 每洗面時用之 面色如玉.

    ㉗ 옥지산 玉池散《東醫寶鑑》引《丹溪心法》 治風蟲牙痛 動搖潰爛 或變成骨槽風 出膿血 骨露
    : 地骨皮 白芷 細辛 防風 升麻 川芎 當歸 槐花 藁本 甘草各一錢. 右剉作一貼 入生薑三片 黑豆百粒 煎熱漱冷吐.

    ㉘ 치호취방 治胡臭方《備急千金要方》
    : 辛夷 芎藭 細辛 杜蘅8= 馬辛. Asarum forbesii Maxim.의 전초. 중국의 일부 지역에서 細辛으로 사용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