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라메디카닷넷

한약의 모든 것

메인상단(header advertising area)

계지(桂枝) Cinnamomi Ramulus

계지(桂枝) Cinnamomi Ramulus

강의요약. 녹나무과(Lauraceae)에 딸린 ‘육계(肉桂)’의 어린 가지를 ‘계지(桂枝)’라 한다. 한편, 나무껍질은 ‘계피(桂皮)’라고 달리 구분하여 쓴다. 

  계지(桂枝)의 응용은 다음과 같이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땀을 낼 때 응용한다. 열이 있어 오한이 들며 머리가 먹먹하거나 아프고 뒷목 위주로 뻣뻣한 증상이 동시에 있으면 표증(表證)이라 한다. 이를 외부의 요인으로 인체가 긴장하며 기혈이 급작스레 반응하며 나타난다고 보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땀을 내어 소통시키는 방식을 택했다. 이를 두고 계지는 ‘발한해기(發汗解肌)’하는 효능이 있다고 하였다. 표증이 심하면 강한 발한작용이 있는 약물을 주약으로 삼고 이를 계지로 보조하고, 심하지 않다면 계지를 주약으로 삼아 응용한다. 마황탕(麻黃湯)과 계지탕(桂枝湯)이 그 예이다.

  둘째, 강심(强心)을 유도하거나 보조하여 혈행 순환을 개선시킬 때 응용한다. 주로 기혈 순환이 극도로 저하되어 발생한 동통(疼痛)에 부자(附子)나 인삼(人蔘)을 배합하여 사용한다. 계지부자탕(桂枝附子湯)이나 재조산(再造散) 등에서 그 활용을 엿볼 수 있다. 

  셋째, 앞의 경우만큼 극심하지는 않지만 혈행 순환이 원활치 않아 생긴 자궁질환에 응용하였다. 증상이 약할 경우에는 염음(斂陰)하는 작약(芍藥)이나 혈고(血枯)에 대응할 수 있는 모란피(牡丹皮)를 배합하고, 심하여 어혈(瘀血)의 상태까지 이르렀다면 도인(桃仁) 등의 활혈거어약을 배합한다. 계지복령환(桂枝茯笭丸)이나 도핵승기탕(桃核承氣湯)이 그 예이다. 한편, 둘째와 셋째의 응용에 기초하여 계지는 ‘온경통맥(溫經通脈)’하는 효능이 있다고 표현한다. 

  넷째, 영혈(營血)의 순환을 도와 영위조화(營衛調和)를 이룰 목적으로 응용한다. 인체의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운행하고 있는 에너지의 일종인 기(氣)에 비해, 그 바탕인 영양에 해당하는 영음(營陰)이나 영혈(營血)1의 운행이 상대적으로 더딘 경우가 있다. 이때 영기(營氣)를 고무시키기 위해 계지를 사용하여 이들을 조화시킨다. 이 과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영음(營陰)을 수렴하는 작약(芍藥)과 위기(衛氣)를 고밀(固密)케 하여 음(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황기(黃芪)와의 배합이 가장 일반적이다. 민간에서 피로회복으로 잘 알려진 쌍화탕(雙和湯)과 그 전신인 소건중탕(小健中湯) 및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 등에서 유래한 처방이 좋은 예이다.

  다섯째, 심음(心陰)을 보충하는 맥문동(麥門冬)과 같은 보음약의 약효를 인체에 빠르게 퍼트리기 위해 응용한다. 위의 넷째에 해당하는 응용을 확장한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자감초탕(炙甘草湯)이 그 예이다.

  여섯째, 인체의 수분대사가 원활치 않아 발생한 수종(水腫)이나 분돈(奔豚) 등의 증상에 수습운화(水濕運化)를 촉진시키는 약물과 함께 사용한다. 한의학에서는 수분이 안개와 같이 기화(氣化)된 상태로 온 몸을 돌아다닌다고 보았다. 그렇기에 앞서의 ‘온경통맥(溫經通脈)하는 효능에 기대어 기화(氣化)를 촉진한다’는 의미로 ‘조양화기(助陽化氣)’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응용은 오령산(五苓散)이나 방기황기탕(防己黃芪湯)에서 보인다.

  위의 여섯 가지 응용에 기초하여 계지의 효능을 두 글자로 요약하면 ‘조양(助陽)’이라 할 수 있다. 계지는 말초혈관의 확장을 통해 땀의 배설을 원활케 하거나, 혈액 순환을 도울 수 있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결과적으로 심장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므로 간접적인 강심2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즉, 부자(附子)처럼 강력한 강심작용을 나타내지는 않지만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그 효능을 나타내므로 ‘양기(陽氣)를 돕는다.’는 말이 적절하다. 그러므로 계지의 효능은 조양(助陽)하여 발한(發汗) 및 온경(溫經), 화기(化氣)한다고 정리할 수 있다.

 한편, 온경통맥이나 조양화기를 목적으로 사용된 계지(桂枝)는 후대의 처방에서 계피(桂皮)로 대체되는 경우가 비교적 흔하다. 즉, 실제 처방에 있어서는 필요한만큼의 편성을 고려하여 계지나 계피 중 적절한 것을 선용함이 좋다. 

 

【본초명《출전》】 桂枝《神農本草經》

【생약명】 Cinnamomi Ramulus

【이명】 柳桂《重廣補注本草幷圖經》

【약성가】 桂枝小梗行手臂 止汗舒筋手足痺

【기원】

녹나무과(Lauraceae ; 樟科)에 속한 늘푸른큰키나무(常綠喬木)인 육계나무(肉桂) Cinnamomum cassia (L.) C.Presl 의 어린 가지(嫩枝)이다.

⊃ KHP, ChP, THP, Non-JPS, DPRKP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被子植物群)
    목련군 (Magnoliids ; 木蘭分支)
      녹나무목 (Laurales ; 樟目)
         녹나무과 (Lauraceae ; 樟科)

육계(肉桂) Cinnamomum cassia (L.) C.Presl

[ 육계(肉桂) Cinnamomum cassia (L.) C.Presl ]

【성상】

계지(桂枝) Cinnamomi Ramulus

[ 桂枝 Cinnamomi Ramulus ]

長圓柱形 … 바깥면은 褐色~赤褐色 … 가는 주름과 잎, 가지 또는 새싹이 붙었던 흔적 … 皮孔이 點狀으로 보인다. … 단면의 木部는 黃白色~淺黃褐色이며 髓部는 方形으로 1/3~1/5을 나타낸다.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달고 매우며 조금 맵고 껍질부분은 더욱 진하다. 이 약은 지름이 5mm이하로 가늘고 연하며 褐紅色이고 향기가 진한 것이 良品이다.

【산지】

주로 베트남에서 재배. 기타 라오스, 인도네시아, 인도 등과 중국의 華南(廣東·廣西·福建·臺灣·海南島), 西南(雲南) 지역에 분포.

【성분】

휘발성 정유성분3으로는 주요성분인 cinnamaldehyde를 비롯하여 benzylbenzoate, cinnamylacetate, β-cadinene, calamenene, coumarin, cinnamic acid, 2-methoxy cinnamic acid, 1,4-diphenyl-butane-dione, syringaldehy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Steroid 성분에는 β-sitosterol, ergosterol-5α,8α-peroxide, stigmast-4-en-6β-ol-3-one, β-daucosterol 등이 있다.

【작용】

· 解熱 작용(혈관확장, 발한작용)이 있으나, 發汗力은 강하지 않음.
· 피부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모세혈관 확장, 혈액점도 감소, 혈액응고 억제)을 촉진.
· 위액분비 촉진.
· 강심, 진정 작용.
· 각종 세균에 억제 작용.
· cinnamaldehyde는 중추억제(진정·최면) 작용.

 

[ 주영승 명예교수(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의 본초학 강의, ‘계지(桂枝)’편 ]

 

【성미】 性溫 味辛甘 【귀경】 心·肺·膀胱經

【효능】 發汗解肌 溫經通脈 助陽化氣

【주치】 風寒感冒 脘腹冷痛 血寒經閉 關節痺痛 痰飮 水腫 心悸 奔豚

【해설】 外感風寒과 風寒濕痺 및 經閉, 痛經 등을 치료하는 要藥

1. 發汗解肌 (辛味는 散하고 溫性은 通行케 하여 外로는 表에 작용하여 오로지 肌表의 風寒을 發散한다고 설명)

① 發汗작용이 麻黃에 비하여 緩和 → 風寒表證의 無汗과 有汗을 막론하고 적용  ex. 麻黃湯 桂枝湯

2. 溫經通脈 (活血通經 散寒止痛) 

① 四肢에 橫走하여 經脈을 宣通케 하며 關節을 利하게 하므로 體虛感冒로 上肢肩臂가 疼痛한 證 등에 적합 ex. 桂枝附子湯

②風濕相搏으로 인한 身體疼痛 不能轉側 小便不利 등의 병증에 응용 ex. 甘草附子湯

③ 氣血凝滯 또는 瘀血阻滯로 기인한 經閉 痛經에 응용  ex. 桂枝茯苓丸

④ 瘀血阻滯로 인한 經水淋漓不止 暮則發熱 少腹裏急 腹滿 手掌煩熱 脣口乾燥 婦人少腹冷 月水過多 月經閉塞 등의 병증에 응용 ex. 溫經湯

3. 助陽化氣

① 心經의 陰陽俱虛로 인한 心悸 脈結代 등에 응용 ex. 炙甘草湯

② 陽氣不行或不足 → 水濕停留 → 痰飮 혹은 蓄水 → (桂枝 + 利水化濕藥) → 通陽化氣 → 化濕 (發汗과 利尿작용을 통해 局所의 體液 정체를 개선) ex. 苓桂朮甘湯, 五苓散

③ 通陽散結 行氣導滯 등의 작용으로 胸痺 心中痞氣 氣結在胸 胸滿등에 응용  ex. 枳實薤白桂枝湯

4. 無汗能發 有汗能止 : 桂枝가 無汗에는 發汗시키고, 有汗에는 止汗시킨다는 說

→ 配合된 藥物의 효과이며, 실제로 桂枝는 辛溫發散시키는 藥으로 止汗作用은 없음.

5. 陰虛盜汗에 桂枝를 誤用

→ 火邪가 심해져 盜汗이 더욱 심하게 되어 亡陽證을 일으켜 動風 또는 動血 등의 패증 유발 가능

6. 桂枝의 기원4

宋代 진승이 별설에서 柳桂라 한 것이, 국가에서 인정한 임상서로는 靑代의 《醫宗金鑑》이, 본초서로는 《本草求眞》이 각각 최초

① 《傷寒論》 : 桂枝가 포함된 처방은 113처방 중 41방으로 사용빈도가 높음

② 《神農本草經》 : 牡桂 箘桂

③ 《唐本草[= 新修本草]》 : 牡桂를 구분하였는데, 小枝皮와 嫩枝皮를  肉桂 桂枝 桂心이라 하고, 大枝皮와 老者를 木桂 또는 大桂라 하였음

④ 《重廣補注神農本草幷圖經》에 수록된 別說 (宋 陳承) : ‘桂枝는 가지의 껍질로서 輕薄하므로 發散하여 傷寒論에서 사용하였고, 柳桂는 이보다 가는 가지 전체로서 上焦를 치료하는 약으로는 더욱 좋은 것(仲景《傷寒論》發汗用桂枝 桂枝者枝條 非身干也. 取眞輕薄而能發散. 今又有一種柳桂 及桂之嫩小枝條也 尤宜入治上焦藥用也)’

⑤ 《醫宗金鑑(1742년)》 : ‘계지는 기미가 맵고 단데, 기미는 모두 皮에 있으므로 만약 去皮한다면 枯木일 뿐이고 發汗解肌하는 효능은 사라진다’

⑥ 《本草求眞(1769년)》 : ‘桂枝는 肉桂의 枝梢’

→ 종합하면, 진한시대의 桂枝는 현재의 桂皮/肉桂를 의미한다고 강하게 추정됨.

【포제】

물에 담가 물기가 충분히 스며들면 건지고 썰어서 건조한다.

【용량】

4~12g.

【금기】

溫熱病, 陰虛陽盛, 血熱妄行證에는 忌하며, 孕婦, 月經過多者에게는 愼用

【배합례】

麻黃과 配合하여 風寒表實無汗 惡寒發熱에 응용
마황탕 麻黃湯《傷寒雜病論(康平本)》 大陽病 頭痛發熱 身疼腰痛 骨節疼痛 惡風 無汗而喘者
: 麻黃去節,三兩 桂枝去皮,二兩 甘草炙,一兩 杏仁去皮尖,七十箇. 右四味 以水九升 先煮麻黃減二升 去上沫 內諸藥 煮取二升半 去滓 溫服八合 覆取微似汗 不須啜粥 餘如桂枝法將息.

芍藥과 配合하여 表虛有汗 表證不解 惡風發熱에 응용
계지탕 桂枝湯《傷寒論(康平本)》 大陽中風 陽浮而陰弱〘陽浮者熱自發 陰弱者汗自出〙 嗇嗇惡寒 淅淅惡風 翕翕發熱 鼻鳴乾嘔者 桂枝湯主之 (外感風寒 營衛不和證. 頭痛發熱 汗出惡風 鼻鳴乾嘔 苔白不渴 脈浮緩或浮弱者5)
: 桂枝去皮,三兩 芍藥三兩 甘草炙二兩 生姜切,三兩 大棗擘,十二枚. 右五味 㕮咀三味 以水七升 微火煮取三升 去滓 適寒溫 服一升 服已須臾 歠熱稀粥一升餘 以助藥力. 溫覆令一時許 遍身漐漐微似有汗者益佳 不可令如水流離 病必不除. 若一服汗出病差 停後服 不必盡劑 若不汗 更服依前法. 又不汗 後服小促其間 半日許令三服盡. 若病重者 一日一夜服 周時觀之. 服一劑盡 病證猶在者 更作服 若汗不出 乃服至二三劑 禁生冷粘滑 肉麵五辛 酒酪臭惡等物.

 소청룡탕 小靑龍湯《傷寒論(康平本)》 傷寒表不解 心下有水氣 乾嘔發熱而欬 或渴 或利 或噎 小便不利 少腹滿 或喘者 小靑龍湯主之. / 傷寒心下有水氣 欬而微喘服湯已渴者 此寒去欲解也. 發熱不渴 小靑龍湯主之.
: 麻黃去節 芍藥 細辛 乾薑 甘草 桂枝去皮,各三兩 五味子半升 半夏洗,半升. 右八味 以水一斗 先煮麻黃 減二升 去上沫 內諸藥 煮取三升 去滓 溫服一升. 若渴 去半夏 加栝樓根三兩. 若微利 去麻黃 加蕘花如一雞子〘熬令赤色〙. 若嘻者 去麻黃 加附子〘炮〙一枚. 若小便不利 少腹滿者 去麻黃 加茯苓四兩. 若喘者去麻黃 加杏仁半升〖注〗且蕘花不治利. 麻黃主喘. 今此語反之. 疑非仲景意.

 대청룡탕 大青龍湯《傷寒雜病論(康平本)》 大陽中風 脈浮緊 發熱惡寒 身疼痛 不汗出而煩燥者 大青龍湯主之. 若脈微弱 汗出惡風者 不可服之 服之則厥逆 筋惕肉瞤.
: 麻黃去節,六兩 桂枝去皮,二兩 甘草炙,二兩 杏仁去皮尖,四十枚 生姜切,三兩 大棗擘,十枚 石膏碎,雞子大. 右七味 以水九升 先煮麻黃 減二升 去上沫 內諸藥 煮取三升 去滓 溫服一升 取微似汗 一服汗者 停後服.

시호가용골모려탕 柴胡加龍骨牡蠣湯《傷寒論(康平)》 傷寒八九日 下之 胸滿煩驚 小便不利 譫語 一身盡重 不可轉側者
: 柴胡四兩 龍骨 黃芩 生薑 鉛丹 人參 桂枝 茯苓各一兩半 半夏洗二合半 大黃二兩 牡蠣一兩半 大棗擘六枚. 右十二味 以水八升 煮取四升 內大黃切如碁子 更煮一兩沸 去滓 溫服一升.

 황련탕 黃連湯《傷寒論(康平)》 傷寒 胸中有熱 胃中有邪氣 腹中痛欲嘔吐者 黃連湯主之.
: 黃連三兩 甘草炙,三兩 乾薑三兩 桂枝去皮,三兩 人參二兩 半夏洗,半升 大棗擘,十二枚. 右七味 以水一斗 煮取六升 去滓 溫服. 〖注〗晝三夜二(晝三夜二疑非仲景法)

⑦ 지실해백계지탕 枳實薤白桂枝湯《金匱要略方論》 胸痹心中痞 留氣結在胸 胸滿 脅下逆搶心 枳實薤白桂枝湯主之, 人參湯亦主之.
: 枳實四枚 厚朴四兩 薤白半斤 桂枝一兩 栝蔞一枚,搗. 右五味 以水五升 先煮枳實厚朴 取二升 去滓 內諸藥 煮數沸 分溫三服.

附子와 配合하여 風寒濕痺와 周身骨節疼痛이 寒濕偏勝에 속한 證에 응용
계지부자탕 桂枝附子湯《傷寒論》 風濕相搏 身體煩疼 制痛 不得屈伸 汗出 短氣 小便不利 惡風不欲去衣 或身微腫.
: 桂枝去皮 四兩 白朮去蘆 附子炮 去皮臍 各三兩 甘草炙 二兩. 上銼散 每服四錢 水一盞半 姜五片 棗二枚 煎七分 空心溫服. 或大便秘 則去桂. 小便不利 悸氣 加茯苓三兩. 痹 加防己四兩. 腹痛 加芍藥四兩.

⑨ 감초부자탕 甘草附子湯《傷寒論(宋本)》 風濕相摶 骨節疼煩 掣痛不得屈伸 近之則痛劇 汗出短氣 小便不利 惡風不欲去衣 或身微腫者 甘草附子湯主之
: 甘草二兩,炙 附子二枚,炮,去皮,破 白朮二兩 桂枝四兩,去皮. 右四味 以水六升 煮取三升 去滓 溫服一升 日三服. 初取得微汗則解. 能食汗止復煩者 將服五合 恐一升多者 宜服六七合為始.

 재조산 再造散《傷寒六書》 再造散 治患頭疼發熱 項脊強 惡寒無汗 用發汗藥二三劑 汗不出者. 庸醫不識此證 不論時令 遂以麻黃重藥 及火劫取汗 誤人死者 多矣. 殊不知陽虛不能作汗 故有此證 名曰無陽證.
: 黃耆 人參 桂枝 甘草 熟附 細辛 羌活 防風 川芎 煨生薑. 夏月 加黃芩石膏 冬月 不必加. 水二鍾 棗二枚 煎至一鍾. 槌法 再加炒芍藥一撮 煎三沸 溫服.

 신기환 腎氣丸《金匱要略》 虛勞腰痛 少腹拘急 小便不利者 八味腎氣丸主之 … 夫短氣有微飲 當從小便去之 苓桂朮甘湯主之, 方見上. 腎氣丸亦主之 … 男子消渴 小便反多 以飲一斗 小便一斗 腎氣丸主之 … 問曰: 婦人病飲食如故 煩熱不得臥 而反倚息者 何也? 師曰: 此名轉胞 不得溺也. 以胞系了戾 故致此病. 但利小便則愈 宜腎氣丸主之.
: 乾地黃八兩 山藥 山茱萸各四兩 澤瀉 牡丹皮 茯苓各三兩 桂枝 附子炮 各一兩. 右八味末之 煉蜜和丸梧子大 酒下十五丸 加至二十五丸 日再服. 虛勞諸不足 風氣百疾 薯蕷丸主之.

 오매환 烏梅丸《傷寒雜病論(桂林本)》 傳厥陰 脈沉弦而急 發熱時悚 心煩嘔逆 宜桂枝當歸湯 吐蚘者 宜烏梅丸.
: 烏梅三百枚 細辛六兩 乾薑十兩 黃連十六兩 當歸四兩 附子六兩炮去皮 蜀椒四兩出汗 桂枝六兩去皮 人參六兩 黃柏六兩. 右十味 異搗篩 合治之 以苦酒漬烏梅一宿 去核蒸之 五斗米下 飯熟 搗成泥 和藥令相得 納臼中與蜜杵二千下 丸如梧桐子大 先食飲服十丸 日三服 稍加至二十丸 禁生冷滑物臭食等.

 계지작약지모탕 桂枝芍藥知母湯 = 계작지모탕 桂芍知母湯《金匱要略》 諸肢節疼痛 身體魁羸 腳腫如脫 頭眩短氣 溫溫欲吐 桂枝芍藥知母湯主之.
: 桂枝四兩 芍藥三兩 甘草二兩 麻黃二兩 生薑五兩 白朮五兩 知母四兩 防風四兩 附子二枚 炮. 右九味 以水七升 煮取二升 溫服七合 日三服.

 

 계지복령환 桂枝茯苓丸《金匱要略》治血癥 漏下不止
: 桃仁(去皮尖 熬) 芍藥 桂枝 茯苓 牡丹(去心) 各等分. 上五味爲末 煉蜜和丸如兔屎大. 每日食前服一丸 不知 加至三丸.

吳茱萸 當歸 川芎 芍藥 등을 配合하여 血寒瘀滯로 인한 經閉와 經痛에 응용
온경탕 溫經湯《金匱要略》 問曰: 婦人年五十所  病下利數十日不止  暮卽發熱 少腹裏急 腹滿 手掌煩熱 唇口乾燥 何也? 師曰: 此病屬帶下 何以故? 曾經半産 瘀血在少腹不去 何以知之? 其證唇口干燥 故知之 當以溫經湯主之.
: 吳茱萸二兩 當歸二兩 芎藭二兩 芍藥二兩 人參二兩 桂枝二兩 阿膠二兩 生薑二兩 牡丹皮(去心)二兩 甘草二兩 半夏半升 麥門冬一升(去心). 上十二味 以水一斗 煮取三升 分溫三服. 亦主婦人少腹寒 久不受胎, 兼取崩中去血 或月水來過多 及至期不來.

 도핵승기탕 桃核承氣湯《傷寒論》 太陽病不解 熱結膀胱 其人如狂 血自下 血自下者愈 其外不解者 尙未可攻 當先解其外 外解已 但小腹急結者 乃可攻之 宜桃核承氣湯
: 桃仁五十個去皮尖 大黃四兩 桂枝二兩去皮 甘草二兩炙 芒硝二兩. 右五味 以水七升 煮取二升半 去滓 內芒硝 更上火微沸 下火 先食溫服五合 日三服 當微利

 별갑전환 鱉甲煎丸《金匱要略》 病瘧以月一日發 當以十五日愈 設不差 當月盡解, 如其不差 當云何? 師曰: 此結爲癥瘕 名曰瘧母 急治之 宜鱉甲煎丸
: 鱉甲十二分(炙) 烏扇三分(燒) 黃芩三分 柴胡六分 鼠婦三分(熬) 乾薑三分 大黃三分 芍藥五分 桂枝三分 葶藶一分(熬) 石葦三分(去毛) 厚朴三分 牧丹五分(去心) 瞿麥二分 紫葳三分 半夏一分 蟅蟲五分(熬) 阿膠三分(炙) 蜂窩四分(炙) 赤硝十二分 蜣螂六分(熬) 桃仁二分. 上二十三味 爲末 取鍛灶下灰一斗 淸酒一斛五斗 浸灰 候酒盡一半 着鱉甲於中 煮令泛爛如膠漆 絞取汁 內諸藥 煎爲丸 如梧子大 空心服七丸 日三服. 『千金方』用鱉甲十二片 又有海藻三分 大戟一分 蟅蟲五分 無鼠婦 赤硝二味 以鱉甲煎和諸藥爲丸.

cf. 별갑전환 鱉甲煎丸 《傷寒雜病論(桂林古本)》 問曰 瘧病以月一發者 當以十五日愈 甚者當月盡解. 如其不差 當云何? 師曰 此結為癥瘕 必有瘧母 急治之 宜鱉甲煎丸
: 鱉甲 柴胡 黃芩 大黃 牡丹 庶蟲 阿膠 右七味 各等分 搗篩 煉蜜為丸 如梧桐子大 每服七丸 日三服 清酒下 不能飲者 白飲亦可.

cf. 별갑전환 鱉甲煎丸《溫病條辨》 瘧久不解 脅下成塊 謂之瘧母 鱉甲煎丸主之
: 鱉甲炙十二分 烏扇6燒三分 黃芩三分 柴胡六分 鼠婦7熬三分 乾薑三分 大黃三分 芍藥五分 桂枝三分 葶藶熬一分 石葦去毛三分 厚朴三分 牡丹皮五分 瞿麥二分 紫葳8三分 半夏一分 人參一分 䗪蟲熬五分 阿膠炒三分 蜂窩炙四分 赤硝十二分 蜣螂9熬六分 桃仁二分. 上二十三味 為細末 取煅灶下灰一斗 清酒一斤五斗 浸灰 俟酒盡一半 煮鱉甲於中 煮令泛爛如膠膝 絞取汁 納諸藥煎為丸 如梧子大 空心服七丸 日三服.

 

 소건중탕 小建中湯《金匱要略》 虛勞裏急 悸衄 腹中痛 夢失精 四肢痠疼 手足煩熱 咽乾口燥 小建中湯主之.
: 桂枝三兩,去皮 甘草三兩,炙 大棗十二枚 芍藥六兩 生薑三兩 膠飴一升. 右六味 以水七升 煮取三升 去滓 內膠飴 更上微火消解 溫服一升 日三服.

 황기건중탕 黃芪建中湯《金匱要略》 虛勞裏急 諸不足 黃耆建中湯主之.
: 於小建中湯內 加黃耆一兩半. 餘依上法. 氣短胸滿者加生薑 腹滿者去棗加茯苓一兩半. 及療肺虛損不足 補氣加半夏三兩.

cf. 당귀건중탕 當歸建中湯《得效》卷三 治血滯身疼 及勞傷虛羸腹痛 呼吸少氣 小腹拘急連腰背 時自汗出 不思飲食.
: 當歸2兩 桂心1兩半 楊芍藥2兩 黃耆1兩半. 上銼散 每服水2盞半 加生薑3片 大棗2枚同煎 食前溫服

 황기계지오물탕 黃芪桂枝五物湯 = 계지가황기탕 桂枝加黃芪湯《金匱要略》 若身重 汗出已輒輕者 久久必身瞤 瞤即胸中痛 又從腰以上必汗出 下無汗 腰髖弛痛 如有物在皮中狀 劇者不能食 身疼重 煩躁 小便不利 此為黃汗 桂枝加黃芪湯主之 … 諸病黃家 但利其小便 假令脈浮 當以汗解之 宜桂枝加黃芪湯主之
: 桂枝三兩 芍藥三兩 生薑三兩 大棗十二枚 甘草 黃芪各二兩. 右六味 以水八升 煮取三升 溫服一升 須臾飲熱稀粥一升餘 以助藥力 溫服取微汗 若不汗 更服.

 阿膠 生地黃 麥門冬 麻仁 人蔘 桂枝 등과 配合하여 血虛로 인한 心悸 自汗 脈結代 등에 補心氣 振心陽을 목적으로 응용
자감초탕 炙甘草湯 = 복맥탕 復脈湯《傷寒論(康平本)》 傷寒解而後 脈結代 心動悸
: 甘草炙, 四兩 生姜切,三兩 人參二兩 生地黃一斤 桂枝三兩 阿膠二兩 麥門冬去心,半升 麻仁半升 大棗擘,三十枚. 右九味. 以清酒七升. 水八升. 先煮八味. 取三升. 去滓. 內膠烊消盡. 溫服一升. 日三服. (一名復脈湯)

cf. 가감복맥탕 加減復脈湯 《溫病條辨》 風溫‧溫熱‧溫疫‧溫毒‧冬溫 邪在陽明久羈 或已下 或未下 身熱面赤 口乾舌燥 甚則齒黑唇裂 脈沉實者 仍可下之, 脈虛大 手足心熱甚於手足背者 加減復脈湯主之 … 溫病耳聾 病系少陰 與柴胡湯者必死 六‧七日以後 宜復脈輩復其精 … 勞倦內傷 復感溫病 六‧七日以外不解者 宜復脈法 … 溫病已汗而不得汗 已下而熱不退 六‧七日以外 脈尚躁盛者 重與復脈湯 … 溫病誤用升散 脈結代 甚則脈兩至者 重與復脈 雖有他證 後治之 … 汗下後 口燥咽乾 神倦欲眠 舌赤苔老 與復脈湯 … 熱邪深入 或在少陰 或在厥陰 均宜復脈.
: 炙甘草六錢 乾地黃六錢(按地黃三種用法 : 生地者 鮮地黃未曬乾者也 可入藥煮用 可取汁用 其性甘涼 上中焦用以退熱存津, 乾地黃者 乃生地曬乾 已為丙火煉過 去其寒涼之性 本草稱其甘平, 熟地制以酒與砂仁 九蒸九曬而成 是又以丙火‧丁火合煉之也 故其性甘溫. 奈何今人悉以乾地黃為生地 北人並不知世有生地 僉謂乾地黃為生地 而曰寒涼 指鹿為馬 不可不辨) 生白芍六錢 麥冬不去心,五錢 阿膠三錢 麻仁三錢 (按柯韻伯謂 : 舊傳麻仁者誤 當系棗仁. 彼從心悸動三字中看出傳寫之誤 不為無見 今治溫熱 有取於麻仁甘益氣 潤去燥 故仍從麻仁). 水八杯 煮取八分三杯 分三次服. 劇者加甘草至一兩 地黃‧白芍八錢 麥冬七錢 日三夜一服.

cf. 일갑복맥탕 一甲復脈湯《溫病條辨》 下後大便溏甚 周十二時三 四行 脈仍數者 未可與復脈湯 一甲煎主之, 服一二日 大便不溏者 可與一甲復脈湯 … 下焦病 但大便溏者 即與一甲復脈湯
: 即於加減復脈湯內 去麻仁 牡蠣一兩

cf. 이갑복맥탕 二甲復脈湯《溫病條辨》 熱邪深入下焦脈沉數 舌乾齒黑 手指但覺蠕動 急防痙厥 二甲復脈湯主之
: 即於加減復脈湯 生牡蠣五錢 生鱉甲八錢

cf. 삼갑복맥탕 三甲復脈湯 《溫病條辨》卷三. (滋陰淸熱 潛陽熄風) 溫病後期 熱爍肝腎之陰 虛風內動之手指蠕動 甚則心中痛 舌乾齒黑 唇裂 脈沉細數.
即於二甲復脈湯內 加生龜板一兩

二甲複脈 防痙厥之漸 即痙厥已作 亦可以二甲複脈止厥. 茲又加龜版名之三甲者 以心中大動 甚則痛而然也. 心中動者 火以水爲體 肝風鴟張 立刻有吸盡西江之勢 腎水本虛 不能濟肝而後發痙 既痙而水難淬補 心之本體欲失 然大動也. 甚則痛者 陰維爲病主心痛 此證熱久傷陰 八脈麗於肝腎 肝腎虛而累及陰維 故心痛 非如寒氣客於心胸之痛可用溫通 故以鎭腎氣·補任脈·通陰維之龜版止心痛 合入肝搜邪之二甲 相濟成功也.

 계지인삼탕 桂枝人參湯《傷寒論(桂林本)》 太陽病 外證未除 而數下之 遂協熱而利 利下不止 心下痞鞕 表裏不解者 桂枝人參湯主之. … 胸痹 心中痞 留氣結在胸 胸滿 脇下逆搶心者 枳實薤白桂枝厚朴栝蔞湯主之 桂枝人參湯亦主之.
: 桂枝四兩 甘草四兩炙 白朮三兩 人參三兩 乾薑三兩. 右五味 以水九升 先煮四味 取五升 納桂枝 更煮取三升 去滓 溫服一升 日再服 夜一服.

풍인탕 風引湯《金匱要略》 除熱癱癇
: 大黃 乾薑 龍骨各四兩 桂枝三兩 甘草 牡蠣各二兩 寒水石 滑石 赤石脂 白石脂 紫石英 石膏各六兩. 右十二味 杵 粗篩 以韋囊盛之 取三指撮 井花水三升 煮三沸 溫服一升. 治大人風引 少小驚癎瘈瘲 日數十發 醫所不療 (除熱方. 巢氏云 脚氣宜風引湯.).

 

 오령산 五苓散《傷寒論(桂林本)》 太陽病 發汗後 大汗出 胃中乾 煩躁不得眠 欲得飲水 少少與之 令胃氣和則愈. 若脈浮 小便不利 微熱 消渴者 五苓散主之
: 豬苓十八銖去皮 澤瀉一兩六銖 茯苓十八銖 桂枝半兩去皮 白朮十八銖. 右五味 搗為散 以白飲和服方寸匙 日三服 多飲暖水 汗出愈.

茯苓 白朮 甘草 등을 配合하여 陰寒의 阻遏로 陽氣가 不行하여 水濕이 停留한 痰飮喘咳에 응용
복령계지백출감초탕 茯苓桂枝白朮甘草湯 = 영계출감탕 苓桂朮甘湯《傷寒論(康平本)》 傷寒若吐若下後 心下逆滿 氣上衝胸 起則頭眩 脈沈緊 發汗則動經 身為振振搖者 茯苓桂枝白朮甘草湯主之
: 茯苓四兩 桂枝去皮,三兩 白朮 甘草炙,各二兩. 右四味 以水六升 煮取三升 去滓 分溫三服.

 계령감로산 桂苓甘露散= 계령백출산 桂苓白朮散《黃帝素問宣明論方》 治傷寒‧中暑‧胃風‧飲食 中外一切所傷傳受 濕熱內甚 頭痛口乾 吐瀉煩渴 小便赤澀 大便急痛 濕熱霍亂吐下 腹滿痛悶 及小兒吐瀉驚風.
: 茯苓一兩 去皮 甘草二兩 炙 白朮半兩 澤瀉一兩半兩 去皮 石膏二兩 寒水石二兩 滑石四兩 豬苓半兩. 上為末 每服三錢 溫湯調下 新水亦得 生薑湯尤良. 小兒每服一錢 同上法. (一方甘草一兩半). 此藥下神金丸 止瀉利 無不驗也 並解內外諸邪所傷 濕熱.

당귀사역탕 當歸四逆湯《傷寒論(宋本)》 手足厥寒 脈細欲絕者 當歸四逆湯主之
: 當歸三兩 桂枝三兩,去皮 芍藥三兩 細辛三兩 甘草二兩,炙 通草二兩 大棗二十五枚,擘,一法十二枚. 右七味 以水八升. 煮取三升 去滓 溫服一升 日三服.

 防己 白朮 甘草 등과 配合되어 虛證의 風濕이나 水腫 身重痛自汗 등에 氣虛證을 겸했을 때 이용
방기황기탕 防己黃芪湯《金匱要略》 風濕 脈浮身重 汗出惡風者 防己黃耆湯主之.
: 防己一兩 甘草半兩 炒 白朮七錢半 黃耆一兩一分 去蘆. 右銼麻豆大 每抄五錢匕 生薑四片 大棗一枚 水盞半 煎八分 去滓 溫服 良久再服. 喘者加麻黃半兩 胃中不和者加芍藥三分 氣上衝者加桂枝三分 下有陳寒者加細辛三分. 服後當如蟲行皮中 從腰下如冰 後坐被上 又以一被繞腰以下 溫令微汗 差.

 


일러두기

· 기원의 학명은 정명을 기준으로 기술하였으며, 생약명도 이에 맞추어 기재하였습니다.
· 국내외 공정서에 지표성분의 규정이 있을 경우에만 해당 성분을 다른 색깔로 표시하였습니다 (상세 기준은 공정서 또는 당 사이트의 한약성분정보 참조).
· 누락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세한 해설은 위의 교재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전국한의과대학 방제학 공통교재에 수재된 처방은 번호를 붉은 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배합례의 처방에는 전문한의약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므로 무자격자가 임의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상은 아래의 교재 해당 부분을 편집자의 의도에 맞추어 수정하여 요약 기술하고, 현지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해당 본초가 사용된 방제, 강의 요약 등을 추가한 것입니다. 본초학각론 강의자료(우석대, 부산대, 원광대)의 오류를 교정하고 보충하기 위해 여기에 게시합니다.

1: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20:156-7.
2: 주영승. 증보운곡본초학. 전주:도서출판우석. 2013:326-32.
3: 신민교. 정화임상본초학. 서울:영림사. 2010:316-8.


 




각주

  1.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
  2. 물론, 특정 성분-cinnamaldehyde 등-에 의해 강심 작용이 나타난다고 한다. 그러나 이 성분은 다른 식물 기원 약재에서도 흔하게 발견된다. 그렇지만 이를 함유한 다른 약재가 계지나 계피와 같은 효능을 보이지 않는 점에서 특정 성분의 효과로만 보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간접적인 강심’이라고 기술하였다.
  3. 정유가 0.69% 함유되어 있고 그 중 cinnamic aldehyde가 64.75%. 5~6년생 수목의 정유함량이 가장 높다고 하나, 보통 심은지 2년 이후의 가지를 채취(단, 계피는 10년 이상된 나무에서 채취) 
  4. 김인락(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상한론표준처방. 교정의서국. 2022.
  5. 방제학 공통교재
  6. 射干의 이명이다.
  7. 쥐며느리의 일종인 공벌레 Armadillidium vulgare Latreille, 1804의 건조체. ‘土鱉’이라 하기도 하여 자충과 혼동되어 사용되기도 하였다.
  8. 凌霄花의 이명이다.
  9. 소똥구리 Gymnopleurus mopsus (Pallas, 1781)와 그 근연종의 건조체. 鹹寒 有毒 歸手足陽明 足厥陰經. 定驚 破瘀 通便 攻毒. 治驚癇 癲狂 癥瘕 腹脹便結 血痢 痔漏 疔毒.